•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distribution

검색결과 1,397건 처리시간 0.029초

S/G 슬러지 중 구형입자의 특성측정 (The Characterization of Spherical Particles in S/G Sludge)

  • 표형열;박양순;박순달;박용준;박경균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29-136
    • /
    • 2005
  •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슬러지 중에서는 이온교환수지가 발견되어서는 안 된다. 증기발생기 슬러지 시료 중에서 발견되어 이온교환수지 입자로 의심되는 구형 입자들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미세조작기술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입자 크기 분포를, EPMA로 구형입자의 성분을, 그리고 IR 분광 스펙트럼 비교에 의하여 이온교환수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슬러지의 입자 크기는 1내지 200 ${\mu}m$이었으나 구형입자는 40-500 ${\mu}m$이었으며, 슬러지의 주요 불순원소가 Si, Al, Mn, Cr, Ni, Zn, 그리고 Ti이었으나 구형입자는 Si, Cu, Zn 이었다. 주성분은 두 경우 모두 철이었으며, IR 분광스펙트럼을 S/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온교환수지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들은 것은 증기발생기 슬러지 시료 중에서 발견된 구형 입자가 이온교환수지는 아니며 일반적인 슬러지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작은 슬러지 입자들이 크게 뭉쳐서 생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 PDF

한우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C/EBPα) 유전자의 동정과 mRNA의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mRNA Expression of the Hanwoo CAT/enhancer-binding Protein α(C/EBPα) Gene)

  • 정영희;이상미;박효영;윤두학;문승주;정의룡;강만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09-916
    • /
    • 2004
  •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C/EBP)는 지방전구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말현하는 전사인자군에 속한다. 이러한 C/EBP 중에서 C/EBP $\alpha$ 는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침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 C/EBP$\alpha$ 유전자를 분리 동정하고 그 발현을 조사하였다. 한우 C/EBP$\alpha$ 유전자는 1059bp의 open reading fram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53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우 C/EBP $\alpha$ 아미노산을 다른 종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Northern blotting 분석에 의하여 12개월 한우에 있어서 C/EBP$\alpha$ mRNA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방조직에서 가장 높은 말현을 나타내었으며 대장과 폐에서 매우 낮은 말현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12개월26개월 30개월 한우 의 등심과 지방에 있어서 C/EBP$\alpha$ 유전자의 발현을 real-time RT-PCR로 분석한 결과 등심 에서는 26개월에 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지방에서는 12개월과 26개월에 서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모색 발현 유전자의 DNA Marker를 이용한 쇠고기 품종 판별 (Identification of Beef Breed using DNA Marker of Coat Color Genes)

  • 정의룡;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5-360
    • /
    • 2004
  • 본 연구는 축우의 모색발현에 관여하는 MC1R, MGF 및 TYRP1 3종류의 모색 유전자의 PCR-RFLP marker를 이용하여 쇠고기 품종 판별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MC1R 유전자의 104번째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codon에 GGT 염기를 갖고 있는 Holstein 젖소와 Angus 육우는 제한효소 인지부위가 존재하여 537 bp증폭산물이 절단되어 329와 208bp 두개의 band가 검출되었으나 한우에서는 GTG로 G 염기가 T염기로 치환됨으로써 제한효소 인식부위가 소실되어 537 bp의 단일 bind 만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처럼 MC1R 모색유전자의 품종 간 특정 염기서열의 차이가 곧 특정 제한효소의 염기 서열상의 인지 부위 차이를 가져와 한우와 Holstein 젖소 및 Angus 육우 품종간의 RFLP 유전자형 출현에 확실한 차이가 인정되어 한우 품종에 특이적인 MC1R 유전자의 RFLP marker를 이용한 한우육 판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MGF 유전자의 RFLP 유전자형 출현빈도에서 한우는 r/r형이 75%로 출현율이 매우 높은 유전자형으로 분석된 반면 Hereford종은 R/R 형이 80%로 출현율이 매우 높았고 Holstein종과 Angus종은 R/r형이 100% 출현함으로써 한우와 Holstein 및 수입육우 품종간의 MGF 유전자형 출현빈도에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한편, TYRP1 유전자의 RFLP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모든 품종에서 동일한 RFLP type이 검출되어 TYRP1 모색 유전자를 이용한 쇠고기 품종 구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 모색 관련 MC1R과 MGF 두 유전자의 품종 특이적 PCR-RFLP 유전자형은 한우육과 국내산 Holstein젖소고기 및 Angus 수입육간의 품종을 식별하는데 매우 유용한 DNA marker로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단백질 전기영동을 이용한 토종꿀의 판별 (Discrimination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by SDS-PAGE)

  • 이득찬;이상영;차상훈;최용순;이해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
    • /
    • 1998
  • 꿀의 식품학적 특성만으로는 토종과 양봉꿀의 판별이 불가능하므로 꿀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특성으로 판별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꿀 속의 단백질을 Bradford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 토종꿀은 $0.1{\sim}3.3\;mg/g$이었고 양봉꿀은 $0.2{\sim}1.6\;mg/g$으로 토종꿀이 양봉꿀의 단백질함량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단백질 전기영동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벌꿀의 단백질 pattern을 관찰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주요 단백질의 분자량이 각각 56,000 Da과 59,000 Da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집한 모든 토종꿀과 양봉꿀에서 같은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 단백질이 토종벌과 양봉벌의 생리적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 주요 단백질을 두 단계의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주요 단백질은 토종꿀과 양봉꿀을 구별할 수 있는 SDS-PAGE의 marker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꿀의 주요 단백질을 잘 분리하기 위해서는 10%의 gel농도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토종꿀과 양봉꿀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aenia hydatigena from Sheep in Khartoum, Sudan

  • Muku, Rosline James;Yan, Hong-Bin;Ohiolei, John Asekhaen;Saaid, Abubakar Ahmed;Ahmed, Sara;Jia, Wan-Zhong;Fu, Bao-Qu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93-97
    • /
    • 2020
  • The cestode Taenia hydatigena uses canids, primarily dogs, as definitive hosts, while the metacestode larval stage cysticercus infects a range of intermediate hosts, including domestic animals such as goats, sheep, and pigs. Cysticercosis due to T. hydatigena has large veterinary and economic drawbacks. Like other taeniids, e.g., Echinococcus, intraspecific variation is found among the members of the genus Taenia. In Africa, few studies are available on the epidemiology and distribution of T. hydatigena, and even fewer studies are available on its genetic variation. In this study, we molecularly identified 11 cysticerci from sheep in Sudan and demonstrated the genetic variation based on the NADH dehydrogenase subunit 1 (nad1) and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x1) mitochondrial genes. The isolates were correctly identified as T. hydatigena with more than 99% similarity to those in the GenBank database. Low diversity indices and insignificant neutrality indices were observed, with 3 and 2 haplotypes for the nad1 and cox1 genes,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e presence of unique T. hydatigena haplotypes in Sudan, as haplotypes with 100% similarity were not found in the GenBank database. With few available studies on the genetic variation of T. hydatigena in Africa, this report represents the first insights into the genetic variation of T. hydatigena in Sudan and constitutes useful data.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adiponectin (AdipoQ) gene in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 Wang, Linjie;Xue, Ke;Wang, Yan;Niu, Lili;Li, Li;Zhong, Tao;Guo, Jiazhong;Feng, Jing;Song, Tianzeng;Zhang, Hongp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088-1097
    • /
    • 2018
  • Objective: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adiponectin binds to its two receptors to regulate fatty acid metabolism in adipocytes. To better understand their functions in the regulation of intramuscular adipogenesis in goats, we cloned the three genes (adiponectin [AdipoQ], adiponectin receptor 1 [AdipoR1], and AdipoR2) encoding these proteins and detected their mRNA distribution in different tissues. We also determined the role of AdipoQ i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SMSCs). Methods: SMSCs were isolated using 1 mg/mL Pronase E from the longissimus dorsi muscles of 3-day-old female Nanjiang brown goats. Adipogenic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n satellite cells by transferring the cells to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pplemented with an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cocktail. The pEGFP-N1-AD plasmid was transfected into SMSCs using Lipofectamine 2000. Expression of adiponectin in tissues and SMSCs was detect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cytochemical staining. Results: The three genes were predominantly expressed in adipose and skeletal muscle tissues. According to fluorescence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es, adiponectin protein expression was only observed in the cytoplasm, suggesting that adiponectin is localized to the cytoplasm of goat SMSCs. In SMSCs overexpressing the AdipoQ gene, adiponectin promoted SMSC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and significantly (p<0.05) up-regulated expression of AdipoR2, acetyl-CoA carboxylase, fatty-acid synth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though express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AdipoR1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nclusion: Adiponectin induced SMSC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indicating that adiponectin may promote intramuscular adipogenesis in goat SMSC.

곁사슬에 디아조벤젠기를 갖는 비선형 광학 폴리퀴논디이민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onlinear Optical Polyquinonediimine Containing Di-Azobenzene Group in the Side Chain)

  • 이상배;양정성;박동규
    • 폴리머
    • /
    • 제25권4호
    • /
    • pp.496-50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곁사슬에 di-azobenzene 그룹을 갖는 polyquinonediimine (PQDI)을 $TiCl_4$존재 하에서 축합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단량체와 고분자는 FT-IR과 $^1H-NMR$로 확인 하였으며, 특히 적외선 스펙트럼에 의하여 고분자의 특성 피크인 1625 cm$^{-1}$ 부근에서 >C=N 이중결합이 형성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Di-azobenzene이 한쪽에 붙어있는 PQDI는 유전 상수가 큰 메탄올, 아세톤 및 비극성 용매에는 거의 녹지 않았으나, 유전 상수가 작은 극성 용매에는 아주 좋은 용해성을 보여주었다. GPC에 의한 분자량 분포는 1.38로 좁은 분포를 가졌고, X-ray 분석으로부터는 halo만 나타나기 때문에 열처리 없이 유리 전이온도 부근에서 분극처리를 행하여 SHG를 측정하였다. 고분자의 열 분석에 의하면, TGA측정에서는 280 $^{\circ}C$에서 분해온도가 나타나므로, 열적으로 안정한 고분자임을 알 수 있으며, DSC에 의한 T$_g$값은 116$^{\circ}C$이였고, di-azobenzene이 곁사슬로 결합된 PQDI의 SHG값 x$^{(2)}$ 는 1.2pm/V 값을 가졌고, 경시 안정성의 특정 결과 초기 상태에서는 약간의 SHG 감소를 가져왔으며, 20시간 후에는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 PDF

나도국수나무족의 분류: 산국수나무속 (Taxonomy of tribe Neillieae (Rosaceae): Physocarpus)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2-352
    • /
    • 2015
  • 장미과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많은 분류학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에 속하는 약 18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도국수나무족은 숙존하거나 조락하는 탁엽, 열편으로 갈리는 잎, 난형이고 광택이 있는 종자 및 풍부한 배유를 갖는 특징에 의해 장미과 내의 다른 족들과 뚜렷이 구분되며,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서도 단계통군으로 강한 지지를 받는다. 그러나, 나도국수나무족 내의 종 간에 나타나는 복잡한 형태 변이 양상으로 인해 다양한 분류체계가 제시되어 있고 많은 종들이 기재되어 있으나, 전세계에 분포하는 나도국수나무족의 모든 종을 포함한 종합적인 분류학적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기준표본을 포함한 표본 조사 및 야외 조사를 바탕으로 한 형태형질 분석 결과와 현재까지 밝혀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모든 학명에 대한 자세한 명명법적인 검증 및 처리 그리고 나도국수나무족, 산국수나무속 및 각 종에 대한 기재, 분포도 및 조사한 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국수나무속에 6종을 인식하였으며, 다음의 학명에 대한 선정기준표본을 지정하였다 (Opulaster pubescens, Opulaster ramaleyi, Spiraea opulifolia var. parvifolia, Spiraea opulifolia var. tomentella, Physocarpus michiganensis, Physocarpus missouriensis).

Adhesion of Model Molecules to Metallic Surfaces, the Implications for Corrosion Protection

  • de Wit, J.H.W.;van den Brand, J.;de Wit, F.M.;Mol, J.M.C.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50-60
    • /
    • 2008
  • The majority of the described experimental results deal with relatively pure aluminium. Variations were made in the pretreatment of the aluminum substrates and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the resulting changes in oxide layer composition and chemistry. Subsequently, the bonding behavior of the surfaces was investigated by using model adhesion molecules. These molecules were chosen to represent the bonding functionality of an organic polymer. They were applied onto the pretreated surfaces as a monolayer and the bonding behavior was studied using infrared reflection absorption spectroscopy. A direct and clear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hydroxyl fraction on the oxide surfaces and the amount of molecules that subsequently bonded to the surface. Moreover, it was found that most bonds between the oxide surface and organic functional groups are not stable in the presence of water. The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using molecules, which are capable of chemisorption with the oxide surface. Finally, it was found that freshly prepared relatively pure aluminum substrates, which are left in air, rapidly lose their bonding capacity towards organic functional group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adsorption of contamination and water to the oxide surface. In addition the adhesion of a typical epoxy-coated aluminum system was investigated during exposure to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coating was found to quite rapidly lose its adhesion upon exposure to water. This rapid loss of adhesion corresponds well with the data wher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studied epoxy coating only bonds through physisorptive hydrogen bonding, these bonds not being stable in the presence of water. After the initial loss the adhesion of the coating was however found to recover again and even exceeded the adhesion prior to exposure. The improvement could be ascribed to the growth of a thin oxyhydroxide layer on the aluminum substrate, which forms a new, water-stable and stronger bond with the epoxy coating. Two routes for improvement of adhesion are finally decribed including an interphasial polymeric thin layer and a treatment in boiling water of the substrate before coating takes place. The adhesion properties were finely also studied as a function of the Mg content of the alloys. It was shown that an enrichment of Mg in the oxide could take place when Mg containing alloys are heat-treated. It is expected that for these alloys the (hydr)oxide fraction also depends on the pre-treatment and on the distribution of magnesium as compared to the aluminium hydroxides, with a direct impact on adhesive properties.

Mitochondrial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iberian Flying Squirrel(Pteromys volans) Populations

  • Lee, Mu-Yeong;Park, Sun-Kyung;Hong, Yoon-Jee;Kim, Young-Jun;Voloshina, Inna;Myslenkov, Alexander;Saveljev, Alexander P.;Choi, Tae-Young;Piao, Ren-Zhu;An, Jung-Hwa;Lee, Mun-Han;Lee, Hang;Min, Mi-S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269-277
    • /
    • 2008
  • Siberian flying squirrel, an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is distributed through major mountain regions of South Korea. The number of Siberian flying squirrel(Pteromys volans) in South Korea has decreased and their habitats are fragmented and isolated because of anthropogenic activities. So far no molecular genetic data has, however, been available for thei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 obtain better information concerning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iberian flying squirrel in South Korea, we examined 14 individuals from South Korea, 7 individuals from Russia, and 5 individuals from northeastern China along with previously published 29 haplotypes for 1,140 bp of the mtDNA cytochrome b gene. The 14 new individuals from South Korea had 7 haplotypes which were not observed in the regions of Russia and Hokkaido. The level of genetic diversity(0.616%)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was lower than that in eastern Russia(0.950%).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tDNA haplotypes and reduced median network confirm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lineages of Siberian flying squirrel, occupying; Far Eastern, northern Eurasia, and the island of Hokkaido. The South Korean population only slightly distinct from the Eurasia, and eastern Russian population, and is part of the lineage Far Eastern. Based on these, we suggest that the South Korean population could be considered to belong to one partial ESU(Far Eastern) of three partial ESUs but a different management unit. However, the conservation priorities should be reconfirmed by nuclear genetic marker and ecologic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