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meal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8초

Effect of feeding fermented soybean meal on broiler chickens' performance: a meta-analysis

  • Irawan, Agung;Ratriyanto, Adi;Respati, Adib Norma;Ningsih, Niati;Fitriastuti, Rahma;Suprayogi, Wara Pratitis Sabar;Hadi, Rendi Fathoni;Setyono, Wahyu;Akhirini, Novi;Jayanegara, Anuraga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881-1891
    • /
    • 2022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FSBM) on broiler chickens' performance by employing a meta-analysis approach. Methods: A total of 16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database after being systematically selected using a PRISMA protocol. Hedges' g effect size was used to quantify poole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using random-effects models at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 Publication bias among studies was computed with Egger's test and visualized using funnel plot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FSBM inclusion increased final body weight (BW) (SMD = 0.586, 95% CI: 0.221 to 0.951, p = 0.002) of broiler chickens, particularly in starter period (SMD = 0.691, 95% CL: 0.149 to 1.233, p = 0.013) while in the finisher period, the effect was weaker (SMD = 0.509, 95% CI: 0.015 to 1.004, p = 0.043). Average daily gain (ADG), feed intake (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not affected with FSBM inclusion when compared to control.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FI increased in starter period (SMD = 0.582, 95% CI: 0.037 to 1.128, p = 0.036). When considering types of microorganism as moderating variables in the subgroup analysis, we found that Aspergillus oryzae, mixed probiotics+bromelain protease,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bacteria significantly increased ADG and FI (p<0.01). Additionally, either Bacillus subtilis+protease or Bacillus subtilis alone decreased FCR (p<0.001). However,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vels of FSBM inclusion had no effects on final BW (p = 0.502), ADG (p = 0.588), FI (p = 0.861), and FCR (p = 0.462). Conclusion: Substituting SBM in broiler chickens' diet with FSBM improved BW of broiler chickens, especially in the starter period whereas the effects on ADG, FI, and FCR were mostly dependent on microbial strains used for fermentation.

면실박 대체 보리가루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upon addition of barley flour as a substitute for cotton seed meal)

  • 이찬중;이은지;박혜성;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5-149
    • /
    • 2017
  •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영양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면실박 대체용 유기성자원을 선발한 결과 보리가루가 대체 배지재료로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면실박대체용 보리가루가 5% 첨가된 배지에서는 11.4 cm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으며, 보리가루가 30% 첨가된 배지에서는 9.0 cm로 균사생장이 가장 느렸다. 보리가루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보리가루 첨가량이 5%와 10%에서 균사밀도가 조금 낮았지만 다른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55.9 g/850 ml였고, 보리가루와 면실박이 10% 첨가된 처리가 158 g/850 ml으로 가장 높았고, 보리가루만 첨가된 처리에서는 수량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갓의 직경과 대경도는 보리가루 10%와 면실박 1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굵기와 갓 경도는 보리가루만 10% 첨가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갓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보리가루만 10% 첨가된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a, b 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느타리 종균 접종전 혼합배지의 pH는 4.7~5.0, 총질소함량은 1.7~2.2로 대조구에 비해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고, 총탄소함량은 44.6~45.0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처리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Cu, Fe 등 미량원소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비빔밥) 및 그 재료들의 항산화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 김업식;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7-683
    • /
    • 2004
  •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인 비빔밥에 들어가는 재료로 호박(squash), 참취(frugrantedible wild aster), 표고버섯(shiitake mushroom, Cortinellus shiitake), 고사리 (roots of ballonflowers, Platycodongroundiflourum), 도라지(fornbraber) 및 당근(carrot)을 생시료, 간단 조리 및 양념 조리 한 것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DPPH 수소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소공여능은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모두 참취가 월등히 높았고, 그 다음이 표고버섯이었다. 전반적으로 간단조리시나 양념 조리함으로써 항산화성이 향상되었다. 비빔밥을 한 그릇 음식인 김밥 및 햄버거와 비교했을 때 비빔밥>김밥>햄버거의 순으로 비빔밥의 항산화성이 월등히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공복 시 및 비공복시 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는 비빔밥 재료들의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시 시료간에 유의적 차가 없었으나(p<0.05), 생시료보다 간단조리나 양념조리 경우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간 향상되었으며 공복환경(pH 1.2)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취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장 환경에서 시료간 조리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위한경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비빔밥을 김밥이나 햄버거와 비교시 비빔밥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위 환경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Dose-dependent effects of a microbial phytase on phosphorus digestibility of common feedstuffs in pigs

  • Almeida, Ferdinando N.;Vazquez-Anon, Mercedes;Escobar, Jeffer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85-993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creasing doses of a novel microbial phytase (Cibenza Phytaverse, Novus International, St. Charles, MO, USA) on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 in canola meal (CM), corn, corn-derived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rice bran (RB), sorghum, soybean meal (SBM), sunflower meal (SFM), and wheat. Methods: Two cohorts of 36 pigs each (initial body weight = $78.5{\pm}3.7kg$) were randomly assigned to 2 rooms, each housing 36 pigs, and then allotted to 6 diets with 6 replicates per die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est ingredient was the only dietary source of P and diets contained 6 concentrations of phytase (0, 125, 250, 500, 1,000, or 2,000 phytase units [FTU]/kg) with 0.4% of $TiO_2$ as a digestibility marker. Feeding schedule for each ingredient was 5 d acclimation, 5 d fecal collection, and 4 d washout. The STTD of P increased (linear or exponential $p{\leq}0.001$) with the inclusion of phytase for all ingredients. Results: Basal STTD of P was 37.6% for CM, 37.6% for corn, 68.6% for DDGS, 10.3% for RB, 41.2% for sorghum, 36.7% for SBM, 26.2% for SFM, and 55.1% for wheat. The efficiency of this novel phytase to hydrolyze phytate is best described with a broken-line model for corn, an exponential model for CM, RB, SBM, SFM, and wheat, and a linear model for DDGS and sorghum. Based on best-fit model the phytase dose (FTU/kg) needed for highest STTD of P (%), respectively, was 735 for 64.3% in CM, 550 for 69.4% in corn, 160 for 55.5% in SBM, 1,219 for 57.8% in SFM, and 881 for 64.0% in wheat, whereas a maximum response was not obtained for sorghum, DDGS and RB within the evaluated phytase range of 0 to 2,000 FTU/kg. These differences in the phytase concentration needed to maximize the STTD of P clearly indicate that the enzyme does not have the same hydrolysis efficiency among the evaluated ingredients. Conclusion: Variations in enzyme efficacy to release P from phytate in various feedstuff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termining the matrix value for phytase in a mixed diet, which likely depends on the type and inclusion concentration of ingredients used in mixed diets for pigs. The use of a fixed P matrix value across different diet types for a given phytase concentration is discouraged as it may result in inaccurate diet formul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olytic microorganisms and their effects on proteolysis in total mixed ration silages of soybean curd residue

  • Hao, Wei;Tian, Pengjiao;Zheng, Mingli;Wang, Huili;Xu, Chun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00-110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proteolytic microorganisms and evaluate their effects on proteolysis in total mixed ration (TMR) silages of soybean curd residue. Methods: TMRs were formulated with soybean curd residue, alfalfa or Leymus chinensis hay, corn meal, soybean meal, a vitamin-mineral supplement, and salt in a ratio of 25.0: 40.0:30.0:4.0:0.5:0.5, respectively, on a basis of dry matter. The microbial proteinases during ensiling were characterized, the dominate strains associated with proteolysis were identified, and their enzymatic characterization were evaluated in alfalfa (A-TMR) and Leymus chinensis (L-TMR) TMR silages containing soybean curd residue. Results: Both A-TMR and L-TMR silages were well preserved, with low pH and high lactic acid concentrations. The aerobic bacteria and yeast counts in both TMR silages decreased to about 105 cfu/g fresh matter (FM) and below the detection limit, respectively.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increased to 109 cfu/g FM. The total microbial proteinases activities reached their maximums during the early ensiling stage and then reduced in both TMR silages with fermentation prolonged. Metalloproteinase was the main proteinase when the total proteinases activities reached their maximums, and when ensiling terminated, metallo and serine proteinases played equally important parts in proteolysis in both TMR silages. Strains in the genera Curtobacterium and Paenibacillu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proteolytic bacteria in A-TMR and L-TMR, respectively, and both their proteinases were mainly with metalloproteinase characteristics. In the latter ensiling phase, Enterococcus faecium strains became the major sources of proteolytic enzymes in both TMR silages. Their proteinases were mainly of metallo and serine proteinases classes in this experiment. Conclusion: Proteolytic aerobic bacteria were substituted by proteolytic lactic acid bacteria during ensiling, and the microbial serine and metallo proteinases in these strains played leading roles in proteolysis in TMR silages.

GL 예측모델 (estimated Glycemic Load, eGL)을 활용한 한국 성인의 식사 평가 및 대사질환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Estimated glycemic load (eGL) of mixed meals and its associations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13~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하경호;남기선;송윤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54-368
    • /
    • 2019
  • 본 연구는 2013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식사내 다량영양소 및 식이섬유 구성성분을 이용하여 혼합식 섭취에 따른 혈당반응인 당흡수지수를 추정하였고, 1일 총 당흡수지수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영양소 및 식품군 섭취량을 평가하고, 당흡수지수와 대사질환 지표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당흡수지수는 탄수화물 및 식이섬유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방 및 단백질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당흡수지수가 증가할수록 탄수화물 섭취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나, 탄수화물에 비해 식이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곡류 및 과일류 섭취량은 당흡수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고기 생선 달걀 콩류의 섭취량은 당흡수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흡수지수는 이상지질혈증 위험도와 양의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당흡수지수가 가장 높은 그룹의 남성은 가장 낮은 그룹의 남성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한국 성인의 혼합식 섭취에 기초한 당흡수지수는 다량 영양소 및 식이섬유의 섭취량을 함께 반영하므로 기존의 탄수화물 섭취량만을 평가한 지표에 비해 전반적인 식사계획 및 평가에 적합한 지표인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대사질환 지표가 당흡수지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므로, 향후 식사의 질과 대사질환 지표와의 관련성을 고려한 당흡수지수의 적절한 수준이 모색된다면 식이 조절을 위한 식단계획, 영양교육 및 식품표시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혼합연구설계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Using Mixed Methods Research)

  • 이현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4-42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and self efficac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 Methods: For this study,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 approach was used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148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qualitative data for exploration of health-promoting behavior experience were collected from three focus-group interviews of 17 participant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5.0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contents analysis with Nvivo 12.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self efficacy, grade, and regularity meal explained 43.0% of the varia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seven themes from the collected significant statements about experi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ncluded the daily life going on without delay; changes in body which is felt;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health care; making effort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ies; revising eating habit; looking for the way to relieve stress; and attempting to divert my though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erify health program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university authorities and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nursing students' health-promoting behavior.

홍삼박을 이용한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첨가배지 개발 (Development of new substrate using redginseng marc for bottle cultur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이찬중;한혜수;전창성;정종천;오진아;공원식;박기춘;박춘근;신유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9-144
    • /
    • 2011
  • 면실박을 대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기성 폐자원으로 생산되는 홍삼박의 첨가량을 구명하기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홍삼박의 총 탄소함량은 45%, 총 질소함량은 2.7%이었으며, C/N율은 16.7이었다. 혼합배지의 이화학성 중 pH는 4.6~4.9이였으며, 총 질소함량은 2.5~2.8로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홍삼박 첨가량에 따라 인산($P_2O_5$), 칼륨($K_2O$), 마그네슘(MgO)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홍삼박만 20% 첨가시에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나 칼슘(CaO)함량은 홍삼박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나트륨($Na_2O$)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느타리버섯 균사 생육은 홍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 속도는 늦었으며, 자실체 수량은 면실박의 50%까지 첨가하여도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면실박 대신 홍삼박만 20%첨가시에는 수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자실체 갓직경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대의 굵기는 홍삼박처리에서 조금 높았으나 길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확기 갓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홍삼박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다양한 기질에 대한 표고버섯 톱밥재배 가능성 (Utilization of various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oak mushrooms (Lentinula edodes))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3-3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의 배지 조성에 따른 생산성 및 버섯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위해 총 10가지의 농업부산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하였다. 대두박과 면실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배양기간 동안 균사가 완전히 생장하지 않아서 재배에 이용할 수 없었다. NIFoS 2462 균주에서는 대두피, 면실피, 파옥쇄, 혼합배지에서는 밀기울보다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며, NIFoS 2778에서는 밀기울의 생산량이 다른 영양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두피를 사용한 배지에서 발생한 버섯들은 다른 배지에서 발생된 버섯들보다 작은 크기의 버섯이 생산되었으며, 반대로 옥분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다른 영양원을 사용한 배지보다 큰 버섯이 생산되었다. 이를 통해 배지에 첨가되는 영양원이 버섯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양원들의 기초 성분 조사 결과, 대두박과 면실박은 조단백질과 조회분의 비중이 높았다. 그리고 면실박에서는 총유기물 함량과 가용성무질소물의 양이 다른 영양원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양원들의 기초성분이 버섯 재배시 생산량 및 버섯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지며, 이와 같은 표고 재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자원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 및 안동 일부 지역주민의 식단 조사 -대표식단의 혈당반응 조사를 위한- (The study on Typical Meals Survey in Seoul and Andong Areas -For Investigation of Glycemic Responses to Typical Domestic Meals-)

  • 김명애;윤석권;한민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302
    • /
    • 1998
  •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식단을 알기 위하여 45가지 항목으로 된 설문서를 만들어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대부터 50대까지 고루 분포하였으며 수입은 100∼200만원의 54%로 중류 생활자가 주로 조사대상이 되었다. 잡곡은 80% 이상의 사람이 이용하였고 10% 미만은 섞거나 먹지 않았으며, 잡곡은 보리와 콩이 주류였고, 가정에서 밥 이외에 먹는 식사로는 비빔밥, 김밥이 많았다. 면류는 라면류와 칼국수를 주로 먹었으며 50% 정도는 약간의 밥을 동시에 섭취하였고, 가정에서 빵류는 식빵을 제일 많이 이용하였다. 국은 약 81% 정도가 자주 먹거나 거의 먹었으며 제일 많이 먹는 국은 채소된장국, 미역국, 쇠고기국 순서였다. 찌개와 국은 87% 정도가 둘 중 하나만 상에 오른다고 하였으며 찌개는 된장찌개, 김치찌개를 많이 이용하였다. 반찬은 3∼4 종류가 제일 많고 제일 자주 먹는 육류는 돼지고기와 쇠고기 구이였다. 생선류는 주로 구워서 제일 많이 섭취하였고, 김치는 99%가 매일 먹으며 가지수는 2가지 종류가 제일 많고, 종류로는 배추김치가 많았다. 나물류로는 콩나물과 숙주나물, 시금치, 쑥갓, 미나리나물을 많이 이용하였다. 외식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은 밥류에서 갈비탕 등의 탕류와 비빔밥, 면류에서 짜장면, 양식에서는 돈까스, 빵류에서는 햄버거가 많이 이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