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교정치료에 따른 자존감 비교연구 - 대구, 경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thodontic Treatment)

  • 김홍식;송재상;임병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1-390
    • /
    • 2012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with self-esteem and how orthodontic treatment has an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of each general characteristic and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alocclus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for adult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ed a survey for 420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dental related depart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department of non-dental health i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Taegu, Gyeongbuk-do province from May 15, 2012 to May 30, 2012, and in 420 questionnaires of the investigated 420 target students, total 400(95.2%) questionnaire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with falsely or erroneous responses were used for study analysis. Results: In the rela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 with self-esteem, for self-esteem by each gender, male student showed higher, for self-esteem by residential area, the university student residing at metropolitan area showed higher, for self-esteem by financial status, high class and middle class students in home financial status showed higher, for self-esteem by face shape, the student with triangular face shape showed higher, and in the relation of self-esteem with orthodontic treatment, the university student who is getting orthodontic treatment showed higher self-esteem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nclusion: For gender, male university student, for residential area, the university student residing at metropolitan area, the high class university student in financial status, the university student with triangular face shape, and the university student who is getting orthodontic trea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녹지의 대기정화효과 분석을 위한 해석적 대기확산모델의 유도 (Analytic Model for Concentration Deficit Profile Caused by a Large Vegetated Area)

  • 김석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39-544
    • /
    • 2000
  • A simple analytic model is proposed here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deficit field caused by a large area of vegetated area. With non-dimensional deposition velocity chosen as small parameter, the regular perturbation method is exploited to derive the mass balance equation and the dynamic equations for the concentration deficit field, Analytic solutions to those equations are obtained in a closed form for several cases of interest, assuming that the concentration field is stationary and the plume can be nicely approximated as Gaussian for a point source. The results suggest that quite a negligible fraction (less than 1%) of the gaseous air pollutants emitted into the air is removed by the vegetated area of which width is 4 km in wind-wise direction, the typical dimension of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around the metropolitan regions in South Korea.

  • PDF

옥상텃밭의 공공성 평가에 따른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Rooftop Garden by Assessing the Publicness : a Case of Mullae Roof Garden, Mullae-dong, Seoul)

  • 강내영
    • 농촌계획
    • /
    • 제22권3호
    • /
    • pp.131-142
    • /
    • 2016
  • Urban agriculture, which can be defined as agriculture performed in a city,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restore deserted community and expand green land in city area through cultivation activities. In Korea, 'Urban Agriculture Promotion and Support Act' was enforced from May 2012. In addition, in the same yea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lared 'the beginning of urban agriculture era,' established municipal ordinance, and increased budget to actively support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urban agriculture practices have been increasing every year. Yet, the way of developing urban agriculture in a uniform way of expanding green land has led to difficulties of securing proper spaces. Accordingly, 'roof top' spaces have gained attention. This study analyzes rooftop garden, one of the spaces of carrying out urban agriculture, from the publicness perspective. The study selected a case study of a public rooftop garden in Mullae-dong, Yeongdeungpo-gu, investigated present conditions and usage features of the garden, and explored the conditions to be a 'public' roof top garde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indicators were derived for analysis framework; physical aspects- accessibility, locality, openness, comfortness, and non-physical aspects- subjectivity, cooperativeness,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ness and locality scores were the highest, and comfortness scored the lowest, in ensuring the publicness of Mullae roof top garden. Second, non-physical indicators had stronger effect than physical indicators on rooftop garden users' awareness on publicness and building a garden community. In conclusion, in order to vitalize roof top garden, users should be engaged from the very first planning stage of building a garden, opening hours should not be limited, and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users to subjectively manage the operation of rooftop garden than merely creating a physical environment.

수도권지역의 지표이용도 및 인공열 상세적용에 따른 고해상도 수치실험 연구 (A Study on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with Detailed Classification of Landuse and Anthropogenic Hea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이한경;지준범;민재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2-2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표이용도 특성이 반영된 고해상도 기상예측모델 도시캐노피모형(WRF-UCM)의 수치모의 실험을 통해 도심과 전원 지역 기상변수 및 에너지수지 변화 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UCM을 적용하지 않은 WRF 모의 결과를 규준실험으로 설정하였으며, 거칠기 길이 변화와 인공열 고려에 따라 총 4가지 실험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UCM을 적용한 실험에서 거칠기 길이의 수정 전과 후의 기온과 풍속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공열을 고려한 UCM의 모의 기온과 풍속은 고려하기 전보다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모의 실험 간의 차이는 전원 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자동기상관측(AWS) 기온 관측 자료에 대하여 UCM에 인공열을 고려한 결과의 평방근오차(RMSE)가 가장 적었다. 또한,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의 중랑 에너지수지관측소지점의 현열플럭스 관측자료에 대한 검증 수치는 인공열을 고려하여 UCM을 적용한 실험의 RMSE와 BIAS 값이 가장 낮았다. 인공열을 고려한 UCM 적용이 도심의 현열플럭스 모의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UCM을 적용한 후 도시 지역 잠열플럭스의 변화 모의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도심과 전원 지역 모두 UCM 적용 후에 관측 값과 더 가까운 검증 수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WRF 모델에 UCM의 적용이 지표플럭스 모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분할 방법에 의한 ISCST3 모델링으로 수도권 지역에서 SO2 농도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O2 Concentrations by the Regional Segment ISCST3 Mode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구윤서;김성태;신봉섭;신동윤;이정주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4호
    • /
    • pp.245-257
    • /
    • 2003
  • $SO_2$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ere predicted by the regional segment ISCST3 modeling. The SMA was segmented by three modeling regions where the weather monitoring station exists since the area of the SMA, approximately $100km{\times}100km$, is too wide to be modeled by one modeling domain.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by the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concentrations at 39 air monitoring stations located in the SMA to validate the ISCST3 modeling coupled with the regional segment approach.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by the regional segment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depicting the measurements than those by the non-segment ISCST3 modeling. The correction methods of the calculated concentrations reviewed were here the correlation method by the first order linear equation and the ratio method of observed to calculated concentrations. The corrected concentrations by two method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ata. The ratio method was, however, easily applicable to the concentration correction in case of a wide modeling region considered in this study.

비수도권 지역에 독립 거주 중인 미혼 청년 가구의 월세 부담 및 거주성 비교 분석 (Incongruence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Young Renters Living Independently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 이현정;남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2
    • /
    • 2024
  • 본 연구는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19-34세) 월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 2곳으로 나뉘어 거주실태와 주거소비수준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주거 독립 청년은 대체로 20대 중반의 대졸 이상 고학력 임금근로자로 1인 가구였고, 특・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 가구 중 고학력자가 많은 반면 비특・광역시에서 임금근로 자가 많았다. 청년 가구는 원룸형의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2년 미만 거주해 오는 무부채 가구로 주거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 극소수만 이용 중인 주거복지서비스는 주로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복지 상담 및 정보 이용 서비스에 편향되었다. 또한 지역 주택시장의 차이로 비특・광역시보다 특・광역시 가구가 2배 더 많은 보증금과 약간 더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였다. 주거비 지표 중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에서 두 지역 모두 기준선(25%) 이상의 과부담 가구가 다수였고, RIR 30% 이상인 주거빈곤층도 상당수였다. 주거비 지표의 영향 변인으로 소득 증가와 주거 복지서비스 이용이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를 감소시켰고, 추가로 비특・광역시에서 주택만족도를 증가시켰다. 한편 거주환경의 세부 요소들은 생활환경과 편의시설 요인으로 대별되었고, 생활환경 요인 중 치안 및 방범 상태, 주변 도로의 보행 안전, 대기오염 정도, 이웃과의 관계 4가지 요소만 지역 간 차이를 보여 특・광역시보다 비특・광역시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울러 거주환경 지표로 주택 및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는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에 만족할수록 상승하였으며, 공통 설명 변인으로 주택 만족도에서 주택규모와 노후주택 거주, 전체 주거환경에서 주택만족도가 추가되었다. 이처럼 주거 독립한 비수도권 청년에게 주거사다리의 첫 진입 단계인 월세 거주는 주거비 부담을 현저히 키우므로 이를 경감시키는 지원과 함께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거주성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면적 변화 결정요인: 수도권 내 주거이동 방향에 따라서 (The Determinants of Change in Residential Size of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Residential Mobility)

  • 정수영
    • 지역연구
    • /
    • 제37권3호
    • /
    • pp.19-36
    • /
    • 2021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인구가 거주하는 수도권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주거이동이 나타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비대면 상황이 증가하는 시대에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는 주거면적의 변화 역시 이동 방향에 따른 차이가 존재할 수 있고 영향요인 또한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이동 방향에 따른 주거면적의 상향, 하향과 영향요인의 분석은 인구 집중도가 높은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주택정책 방향성에 시사점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내 이동방향에 따른 주거면적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한다.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주거이동 방향에 따른 주거면적의 상향 및 하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수도권 주거 이동 방향에 따른 주거면적 상향 및 하향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2018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t-test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주거이동 방향에 따라서 주거면적의 상향 및 하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경인지역에서 경인지역으로 이동했을 경우 주거면적의 상향을 경험한 가구가 많았다. 둘째, 주거 면적 상향 이동의 경우 이전 거주지가 서울인 경우가 많고, 하향 이동의 경우 경인지역에서 이동한 가구가 많다. 마지막으로 각 주거이동 방향별로 주거 면적 상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도권 내 주거 면적의 상향 및 하향 이동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대구 시민의 공공도서관 인식 조사연구 (A Survey of Citizens'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윤희윤;오선경;이재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9-124
    • /
    • 2016
  • 어느 지역이든 공공도서관이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서비스 기관,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서비스 대상인구에 대한 인식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비중과 중요성, 이용실태와 비이용 이유, 독서프로그램 참여 및 비참여 이유, 도서관 확충(신설) 요망지역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관련 연구, 관계법령, 국민 독서실태조사, 전국문화기반 시설 총람, 대구시민 의식조사, 대구 도시브랜드 시민의식 조사, 광역시도 및 대구시 기초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현황 등과 비교하여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인프라 충실화 및 이용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기술부문 엔지니어링업체의 수주액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Amount of Orders Received in Construction Technology Engineering Industry Sector)

  • 이재송;김현수;장근영;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1087-10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부문 엔지니어링업체를 대상으로 수주액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은 회귀모형을 활용하였고, 그리고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5개 년도에 대하여 각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연도별로 수주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어떠한 추세를 가지는지 파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각 연도별로 수주액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유의한 변수일지라도 그 수주액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주건수의 증가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수주액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하다가 2014년에는 다소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보유인력의 증가는 수주액에 대한 영향력이 2010년에 비하여 2014년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2010년에 비하면 2014년에 2배 가량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수도권 지역의 업체가 강세인 점도 확인하였다. 기술종목수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 중 유일하게 수주액과 음(-)의 관계가 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2011년에 비하여 2014년에는 영향력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수주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역별 토지용도별 주택단지 전력수요 실태 조사 (Survey of Power Demand in Housing Complex by Area and Land Use)

  • 최상봉;남기영;김대경;정성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74-76
    • /
    • 2003
  • As more and more housing complex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is paper tries to survey for the estimation of power demands in these areas. For the selection of areas for the survey, in the case of housing complexes, selection of residential and non residential buildings is made by city size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For general hospitals, sports facilities and government buildings of the non residential building category, metropolitan areas, where thes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re survey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