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69/krsa.2021.37.3.019

The Determinants of Change in Residential Size of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Residential Mobility  

Jung, Suyoung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7, no.3, 2021 , pp. 19-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change in residential size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residential mobi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articularly, this study examined the upward and downward in residential size,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ra of increasing non-face-to-face environment. For the empirical analysis, I used 「2018 Korea Housing Survey」 and employ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e change of residential siz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geographic.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change in residential size. When people move within Seoul, housing factors, accessibility, age of residents,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can be the determinants. When people move from Seoul to Gyeonggi or Incheon, housing factors, safety, gender,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ork as determinants. On the other hand, when moving from Gyeonggi or Incheon to Seoul, whether it is studio or not, housing type, accessibility,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disability of homeownership are the determinants. When moving within Gyeonggi or Incheon, housing factors, Accessibility to green areas, safety, age of resident, income,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re the determinants.
Keywords
Residential Size; Residential Mobility; Seoul Metropolitan Area;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국민일보, '집값 과열에...30대, 서울서 밀려 인천으로',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8379&code=11151500&cp=nv(2021.5.6. 방문).
2 파이낸셜 뉴스, '경기 집값 뛰어넘는 서울 전셋값...脫서울 불렀다', https://www.fnnews.com/news/202010121757127309(2021.5.6. 방문).
3 윤성주, 2018, 소득계층이동 및 빈곤에 대한 동태적 고찰: 재정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11(1), pp.21-48.
4 이재수.성수연, 2014, 서울 전출입 가구의 주거이동 패턴과 특성 연구: 2000-2010, 「국토계획」, 49(7), pp.53-65.
5 장선영.오주석.김세용, 2020, 수도권 가구의 주거이동 결정 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36(5), pp.125-135.
6 최열.김영민.조승호, 2010,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39(3D), pp.313-321.
7 최희용.전희정, 2017,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이동방향 간주거환경만족도 차이 분석, 「도시행정학보」, 30(1), pp.163-180.
8 하성규, 2004, 「주택정책론」, 서울:박영사.
9 김기영.전명식.강현철.이성건, 2015, 「예제를 통한 회귀분석」, 파주:자유아카데미.
10 김순귀.정동빈.박영술, 2008, 「SPSS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서울:한나래아카데미.
11 박남희.김준영, 2004, 분당신도시 거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6), pp.27-35.
12 오근상.오문현.김은영.남진, 2013, 서울시 소득계층별 주거 상하향이동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8(5), pp. 127-144.
13 이민주.박인권, 2019, 대도시 공간배제적 주거이동 영향요인 실증분석, 「국토연구」, 101, pp.49-73.   DOI
14 최열.김형준, 2012,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주거이동 결정요인 비교 분석, 「국토계획」, 47(4), pp.219-231.
15 한국은행, 2020,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서울: 한국은행.
16 강민성.서원석, 2018, 가구생애주기 및 점유형태별 주거격차 분석: 거주면적과 주택수요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2), pp.117-136.
17 고정희, 2019, 한국 임차가구의 주거이력(Housing Careers) 패턴에 관한 연구 - 민간주택가구와 공공임대주택 가구의 비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김경휘, 2009, 근로빈곤가구의 주거 상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0(3), pp.149-179.
19 김미경.이창무, 2013, 주택여과과정의 실증분석, 「주택연구」, 21(2), pp.23-45.
20 김성준.안건혁, 2012, 신도시 주택공급정책과 거주계층의 공간적 분포특성: 판교 신도시 필터링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1), pp.237-244.
21 김주영.정성훈, 2008, 신도시 가구의 주거선호와 주거이동 특성, 「주거환경」, 6(2), pp.15-23.
22 김현수.성주한.윤영식, 2016, 수도권 거주 은퇴자의 주거 면적 변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9(3), pp.39-62.
23 Braid, R. M., 1984, The Effects of Government Housing Policies in a Vintage Filtering Model. 「Journal of Urban Economics」, 16(3), pp.272-296.   DOI
24 김태현.최막중, 2008, 서울시내 주거이동의 시.공간적 특성, 「국토계획」, 43(7), pp.193-194.
25 윤복자.유완.김혜정, 1993, 서울시 거주 가구의 주거이동 동기와 유형 (Motives for Moving and Patterns of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ity of Seoul),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9(1), pp.21-29.
26 서원석, 2019, 대도시권 주거이동 가구의 이동유형별 주거특성 및 주거만족도 비교분석, 「GRI 연구논총」, 21(1), pp.49-69.
27 Clark, W.V., & Onaka, J.L., 1983, Life Cycle and Housing Adjustment As Explan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Urban Studies」, 20(1), pp.47-57.   DOI
28 Kim, J., Chung, H., & Blanco, A. G., 2013, The Suburbanization of Decline: Filtering, Neighborhoods, and Housing Market Dynamics. 「Journal of Urban Affairs」, 35(4), pp.435-450.   DOI
29 중앙일보, '10억대 집값 떠밀려...10만명 탈 서울 러시', https://news.joins.com/article/24004293 (2021.5.6. 방문).
30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31 Leven, C. L., 1976. 「Neighborhood Change: Lessons in the Dynamics of Urban Decay」. Praeger Publishers.
32 천현숙, 2004,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들의 주거이동 동기와 유형, 「경기논단」, 6(1), pp.91-111.
33 Rossi, P. H., 1955, 「Why Families Move: A Study in the Social Psychology of Urban Residential Mobility」, Glencoe: Free Press.
34 Weicher, J. C., & Thibodeau, T.G., 1988, Filtering and Housing Market: An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Urban Economics」, 23(1), pp.21-40.   DOI
35 국토교통부, 2021년 주거종합계획.
36 Alonso, W., 1960, A Theory of the Urban Land Market. 「Paper in Regional Science」. 6(1), pp.149-157.   DOI
37 김재익, 2011,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거이동의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9(1), pp.97-115.
38 김진유.지규현, 2007, 저소득가구 주거이동특성 분석: 수도권 국민임대주택 입주가구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2(1), pp.81-97.
39 전명진.강도규, 2016, 수도권 주거 이동 가구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 「지역연구」, 32(1), pp.83-103.   DOI
40 박영근.김판준.황태수, 2007,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5(1), pp.89-105.
41 Galster, G., & Rothenberg, J., 1991, Filtering in Urban Housing: A Graphical Analysis of a Quality-Segmented Market.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1(1), pp.37-5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