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검색결과 11,576건 처리시간 0.037초

Hybrid in-memory storage for cloud infrastructure

  • Kim, Dae Won;Kim, Sun Wook;Oh, Soo Cheol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7-67
    • /
    • 2021
  • Modern cloud computing is rapidly changing from traditional hypervisor-based virtual machines to container-based cloud-native environments. Due to limitations in I/O performance required for both virtual machines and containers, the use of high-speed storage (SSD, NVMe, etc.) is increasing, and in-memory computing using main memory is also emerging. Running a virtual environment on main memory gives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storage arrays. However, RAM used as main memory is expensive and due to its volatile characteristics, data is lost when the system goes down. Therefore,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run the virtual environment in main memo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brid in-memory storage that combines a block storage such as a high-speed SSD with main memory to safely operate virtual machines and containers on main memory. In addition, the proposed storage showed 6 times faster write speed and 42 times faster read operation compared to regular disks for virtual machines, and showed the average 12% improvement of container's performance tests.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Is it necessary to distinguish semantic memory from episodic memory\ulcorner)

  • 이정모;박희경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33-43
    • /
    • 2000
  • 정보처리 이론은 기억을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구분하였다. 기억체계 이론은 기억이 정보처리 이론에서 가정하는 하나의 장기기억이 아닌 중다기억 체계로 기억이 조직화되어 lT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기억체계정보처리 이론은 기억을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구분하였다. 기억체계 이론은 기억이 정보처리 이론에서 가정하는 하나의 장기기억이 아닌 중다기억 체계로 기억이 조직화되어 lT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기억체계 이론으로는 Schacter와 Tulving 의 기억모형(1994)과 Squire 의 장기기억 분류 모형(1987)이 있다 두 모형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구분, 기억장애에 보존된 암묵기억 수행에는 견해가 일치하지만, 기억장애가 일화기억만의 손상인지 아니면 의미기억을 포함하는지는 견해가 다르다. 그러나 현재의 자료로서는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구분이 더 정확한 설명인가 아니면 서술기억과 비서술기억의 구분이 더 나은 설명인가는 분명하지 않다. 전두엽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가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구분과 관련되어 있다. 이론으로는 Schacter와 Tulving 의 기억모형(1994)과 Squire 의 장기기억 분류 모형(1987)이 있다 두 모형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구분, 기억장애에 보존된 암묵기억 수행에는 견해가 일치하지만, 기억장애가 일화기억만의 손상인지 아니면 의미기억을 포함하는지는 견해가 다르다. 그러나 현재의 자료로서는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구분이 더 정확한 설명인가 아니면 서술기억과 비서술기억의 구분이 더 나은 설명인가는 분명하지 않다. 전두엽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가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구분과 관련되어 있다.

  • PDF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해마용적과 기억기능 (Hippocampal Volume and Mem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정문용;정화용;유현;정혜경;최진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131-13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TSD on memory function and hippocampal volume, and to identify major variables correlated to hippocampal volume and memory function. Thirty four Vietnam veterans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among whom eighteen were PTSD patients and sixteen were combat control subjects. The author used Impact of Event Scale(IES), Combat Exposure Scale(CES),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Korea Memory Assessment Scale(K-MAS) was assessed for memory func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as used to measure hippocampal volu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TSD and Non-PTSD veterans in IES, HDRS and BDI.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verbal memory and total memory of K-MAS between PTSD and Non-PTSD vetera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pocampal volume between PTSD and Non-PTSD veterans. Short term memory, verbal memory and total memor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hippocampal volume. Hippocampal volum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IES, HDRS, and BDI.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SD severity be associated with hippocampal atrophy and memory dysfunction. Reduced or smaller hippocampal volume may be preexisting risk factor for stress exposure or the development of PTSD on combat exposure.

  • PDF

플래시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정규파일 접근 (Regular File Access of Embedded System Using Flash Memory as a Storage)

  • 이은주;박현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1권1호
    • /
    • pp.189-200
    • /
    • 2004
  • Recently Flash Memory which is small and low-powered is widely used as a storage of embedded system, because an embedded system requests portability and a fast response. To resolve a difference of access time between a storage and RAM, Linux is using disk caching which copies a part of file on disk into RAM. It is not also an exception on embedded system. A READ access-time of flash memory is similar to RAMs. So, when a process on an embedded system reads data, it is similar to the time to access cached data in RAM and to access directly data on a flash memory. On the embedded system using limited memory, using a disk cache is that wastes much time and memory spaces to manage it and can not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a flash memory. This paper proposes the regular file access of limited using a page cache in the file system based on a flash memor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a flash memory. The proposed algorithm minimizes power consumption because access numbers of the RAM are reduced and doesn't waste a memory space because it accesses directly to a flash memory Therefor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ystem applying the proposed algorithm is expected.

  • PDF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가상 메모리 시스템을 위한 중복성을 고려한 GC 기법 (Duplication-Aware Garbage Collection for Flash Memory-Based Virtual Memory Systems)

  • 지승구;신동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3호
    • /
    • pp.161-171
    • /
    • 2010
  • 임베디드 시스템이 모놀리식(monolithic) 커널을 사용하면서, NAND 플래시 메모리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의 스왑(swap) 공간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저전력 소비, 충격 내구성, 비 휘발성의 장점을 가지지만, '쓰기 전 삭제'의 특징 때문에 가비지 컬렉션(GC) 작업이 필요하다. GC 기법의 효율성은 플래시 메모리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 사이에 중복된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GC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GC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의 지역성을 고려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GC 기법이 이전의 기법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37%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공황장애의 암묵 및 외현기억 편향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Bias in Panic Disorder)

  • 정나영;채정호;이경욱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8
    • /
    • 2012
  • Patients with panic disoder (PD) show recollection of their first panic attack, which resembles a trauma that is perceived as an unexpected frightening and subjectively life-threatening event. Information-processing models suggest that anxiety disorders may be characterized by a memory bias for threat-related information. This paper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investigated the implicit and/or explicit biase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mong the 17 studies, which addressed the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11 (64.7%) were found to be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In regards to the implicit memory bias, 4 out of 9 studies (44.4%) were found to support the memory bias. The result shows that evidence of explicit memory bias in PD patients was supported by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es. However, evidence of implicit memory bias seems less robust, thus, needs further research for replication. Also, development of new paradigms and applications of various methods will be needed in further researches on memory bias in PD patients.

기억으로서의 영상매체와 기억산업의 문화콘텐츠 - 중국 6세대 영화의 대항기억을 중심으로 - (Cultural Contents of Image Texts and Memory Industry as the Memory - Focused on the Counter Memory of the Sixth Generation Chinese Movies -)

  • 김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3-172
    • /
    • 2009
  • 문화콘텐츠가 문화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콘텐츠와 이를 활용한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다. 문화는 기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기억을 배제한 문화란 존재할 수 없다. 기억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집단적, 사회적 기억으로 작용한다. 또한 문화는 기억을 담지할 매체를 필연적으로 요구하는데, 최근의 영상텍스트는 새로운 기억매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사회 문화적 기억으로서 '기억'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 중국 6세대 영화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 기억과 그것을 담지해내는 영상텍스트의 기억복원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대항기억'으로서 '개인기억'의 문화적 의의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기억산업과 콘텐츠의 접합 가능성을 찾아보는 시도를 모색했다. 6세대 영화를 주목한 이유는 중국 당국이 제시하는 '공식기억'에 대항하며 '지하'에서 만들어졌던 이들 영화가 국제적인 영화제에서 괄목한 만한 성과를 획득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내장 메모리를 위한 프로그램 가능한 자체 테스트와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자가 복구 기술 (Programmable Memory BIST and BISR Using Flash Memory for Embedded Memory)

  • 홍원기;최정대;심은성;장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2호
    • /
    • pp.69-81
    • /
    • 2008
  • 메모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메모리의 집적도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작아지게 만들고, 고장의 감응성이 증가하게 하였다. 그리고 고장은 더욱 복잡하게 되었다. 또한, 칩 하나에 포함되어있는 저장 요소가 늘어남에 따라 테스트 시간도 증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테스트 구조는 내장 테스트를 사용하여 외부 테스트 환경 없이 테스트가 가능하다. 제안하는 내장 테스트 구조는 여러 알고리즘을 적용 가능하므로 높은 효율성을 가진다. 또한 고장 난 메모리를 여분의 메모리로 재배치함으로써 메모리 수율 향상과 사용자에게 메모리를 투명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장 난 메모리 부분을 여분의 행과 열 메모리로 효율적인 재배치가 가능한 복구 기술을 포함한다. 재배치 정보는 고장 난 메모리를 매번 테스트 해야만 얻을 수 있다. 매번 테스트를 통해 재배치 정보를 얻는 것은 시간적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을 막기 위해 한번 테스트해서 얻은 재배치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해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해 재배치 정보의 활용도를 높인다.

메모리 Hard Error를 극복하기 위한 메모리 Sparing 기법 설계 I : Column Sparing (Design of Memory Sparing Technique to overcome Memory Hard Error I : Column Sparing)

  • 구철회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39-42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technique of memory sparing to overcome memory hard error Memory Sparing i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commercial, military and space computer such as a Data Server, Communication Server, Flight Computer in airplane and On-Board Computer in spacecraft. But the documents about this technique are rare and hard to find. This paper has some useful information about memory error correction and memory error management.

  • PDF

Hierarchical Associative Frame with Learning and Episode memory for the intelligent Knowledge Retrieval

  • Shim, Jeon-Y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694-698
    • /
    • 2004
  • In this paper, as one of these efforts for making the intelligent data mining system we propose the Associative frame of the memory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the structured frame for performing the main brain function should be made. In this frame, the concepts of learning memory and episode memory are considered. Second,the learning mechanism for data acquisition and storing mechanism in the memory frame are provided. The obtained data are arranged and stored in the memory following the rules of the structured memory frame. Third, it is the last step of processing the inference and knowledge retrieval function using the stored knowledge in the associative memory frame. This system is applied to the area for estimating the purchasing degree from the type of customer's tastes, the pattern of commodities and the evaluation of a compan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