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note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2초

NOTES ON A NON-ASSOCIATIVE ALGEBRAS WITH EXPONENTIAL FUNCTIONS I

  • CHOI, SEUL HEE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8권2호
    • /
    • pp.197-204
    • /
    • 2006
  • For the evaluation algebra $F[e^{{\pm}{\chi}}]_M$, if M={$\partial$}, the automorphism group $Aut_{non}$($F[e^{{\pm}{\chi}}]_M$) and $Der_{non}$($F[e^{{\pm}{\chi}}]_M$) of the evaluation algebra $F[e^{{\pm}{\chi}}]_M$ are found in the paper [12]. For M={${\partial}^n$}, we find $Aut_{non}$($F[e^{{\pm}{\chi}}]_M$) and $Der_{non}$($F[e^{{\pm}{\chi}}]_M$) of the evaluation algebra $F[e^{{\pm}{\chi}}]_M$ in this paper. We show that a derivation of some non-associative algebra is not inner.

  • PDF

A Case Study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omputer Environments

  • Lee, Joong-Kwoe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2호
    • /
    • pp.81-93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mong hand-in-write-ups and final projects for each subject. All participants' activities and computer explorations were observed and video taped. If it was possible, an open-ended individual interview was performed before, during, and after each exploration.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observation, interviewing, field notes, students' written assignments, computer works, and audio and videotapes of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ies, all participants did not have strong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of the graph, making a model by using data, and general concept of a sine function, but they built strong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and connected them appropriatel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ies by using the computer technology.

  • PDF

NOTES ON A NON-ASSOCIATIVE ALGEBRAS WITH EXPONENTIAL FUNCTIONS III

  • Choi, Seul-Hee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53-159
    • /
    • 2008
  • For $\mathbb{F}[e^{{\pm}x}]_{\{{\partial}\}}$, all the derivations of the evaluation algebra $\mathbb{F}[e^{{\pm}x}]_{\{{\partial}\}}$ is found in the paper (see [16]). For $M=\{{\partial}_1,\;{\partial}_1^2\},\;Der_{non}(\mathbb{F}[e^{{\pm}x}]_M))$ of the evaluation algebra $\mathbb{F}[e^{{\pm}x},\;e^{{\pm}y}]_M$ is found in the paper (see [2]). For $M=({\partial}_1^2,\;{\partial}_2^2)$, we find $Der_{non}(\mathbb{F}[e^{{\pm}x},\;e^{{\pm}y}]_M))$ of the evaluation algebra $\mathbb{F}[e^{{\pm}x},\;e^{{\pm}y}]_M$ in this paper.

Arctium tomentosum (Asteraceae): A new report of a native genus in the flora of Mongolia

  • JAVZANDOLGOR, Chuluunbat;BAASANMUNKH, Shukherdorj;TSEGMED, Zagarjav;OYUNTSETSEG, Batlai;GUNDEGMAA, Vanjil;CHOI, Hyeok J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91-394
    • /
    • 2021
  • Arctium tomentosum Mill. (Asteraceae), from Ulaanbaatar in the Khentei phytogeographical region of Mongolia, is recognized here as a new genus and species of the flora of Mongolia. Arctium differs from other genera of Asteraceae by the hooked apex of the involucral bracts. While A. tomentosum is most similar to A. lappa, it is easily distinguished by the glandular hairs of the corolla limb and the widened inner involucral bracts. Taxonomic notes, a description of the morphology, detailed photos, habitat information, the phenology and a distribution map of A. tomentosum are provided.

수학 노트를 활용한 학습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 수학적 태도 및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Learning-Notebook o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Mathematical Attitude and Reactions)

  • 김경미;박종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41-463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소수의 학생들에게 모든 수학 학습 활동에서 학습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가운데 지필검사,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학생들 반응의 변화를 살펴보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교육이 없는 N초등학교 5학년 9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문제해결 활동을 할 수 있는 수학 노트 쓰는 방법을 고안하고, 둘째, 개발한 수학 노트 쓰기를 모든 수학 학습 활동에 활용한 후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셋째, 수학 노트 쓰기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반응 등의 변화를 살펴본다.

  • PDF

학생중심의 대학 이산수학 강의 운영사례 (Student-Centered Discrete Mathematics Class with Cyber Lab)

  • 이상구;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19
    • /
    • 2019
  • 본 연구는 학생이 학습과정(learning process)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능력을 향상하며, 자신감을 갖고 학생성공(student success)이라는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 기초수학 특히 이산수학 강좌의 운영사례를 다룬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제작된 강의록과 사이버실습실을 미리 제공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학습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예습, 복습, 질문, 답변, 토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팀별로 기말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하였다. 셋째, 한 학기 동안의 모든 학습과정을 보고서로 작성하여 제출,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강의 모델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과정 및 문제해결과정을 서술하고 발표하면서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자연스럽게 갖추는 과정을 경험하고 공유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교수자가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그리고 여러 지원 또는 우수한 조교가 돕지 않아도 교수 스스로 개인별, 수준별, 맞춤형, 창의적 이산수학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모델을 만든 것으로 이를 공유한다.

학습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의 노티스(Noticing) (Teacher Noticing in the Context of a Learning Community)

  • 권나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9-1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 학습을 관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체에서 교사가 노티스(주목) 하는 것의 종류와 공동체를 구성하게 한 파트너십의 역할에 관한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한 학습 공동체는 PRIME이라는 전문성 발달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과 학교간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생성된 팀들 가운데 하나로 세 명의 멘토교사와 세 명의 예비교사, 한 명의 대학에서 온 감독관이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학교에서의 미팅은 오디오 녹음으로 자료화하고 관찰 노트와 인터뷰 등의 여러 자료를 내러티브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학습 공동체에서의 활동을 통하여 교실 활동 상황을 포함한 교수 학습에 관한 활동과 자신들의 교수 학습에 관한 신념 등을 새롭게 노티스하게 되었다. 파트너십은 교사들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임무를 할당하며 다양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Macrofungi in Mongolia

  • Nyamsuren, Kherlenchimeg;Magsar, Urgamal;Batsumber, Solongo;Myagmardorj, Tseveendari;Tsogtbaatar, Enkhsaikhan;Cho, Youngho;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91-97
    • /
    • 2016
  • This paper reports the species of macromycetes collected in Mongolia: all the species are new to the area. Brief notes on taxonomy, ec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species are added. A total of 30 species of macromycetes were registered, 1 belonging to the division Ascomycota and 29 to the division Basidiomycota. It has been registered that 30 species belong to 25 genera, 17 families and occur in the flora fungus of Mongolia, until now. Specimen for 150 of samples macromycetes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15 in Tuv, Arkhangai and Huvsgul were enveloped. Macromycetes have been occured in 9 of 16 geographic regions. According to our studies 2 species in Khubsgul region, 2 species in Khangai region, 3 species in Khingan, 3 species in Dornod Mongol, 1 species in Khentei regions newly register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work, determined 7 species (23%) of macromycetes in forest steppe and steppe regions and 23 species (77%) of them in forest region. The trophic structure for the fungal species is as follows: 2 species lignophite (7%), 4 species moss saprophyte (13%), 5 species soil saprophyte (17%), 15 species mycorrhiz (50%) of all species were respectively.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69-593
    • /
    • 2008
  •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는 교사가 있다는 인식에 따라 교수 활동에 전문성을 부여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용 교수 지식(PCK)은 Shulman(1986)에 의해 교수 활동의 기반 지식으로 제기된 이래 교사의 전문성 논의에서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2007년부터 내용 교수 지식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한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기본 연구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을 차별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수학 교과의 경우, 국내 외 PCK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PC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 본 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일차적으로 PCK 분석틀을 설정하는 과정과 절차까지를 다루었다.

  • PDF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489-514
    • /
    • 2008
  • 그동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PCK)에 관한 연구를 교과별 여건과 진도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행해 왔으나, 2007년부터는 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은 차별화하면서도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연구틀을 정립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함수 관련 내용에 대한 수업 관찰 및 면담, 수업 노트 작성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PCK를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PCK 연구 과정과 결과는 수학 교사 개개인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실제적 도움을 주고, 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게 될 차기 년도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