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practice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19초

Exploring Teachers' Perceived Beliefs regarding Teaching Practice based on Lesson Study Context

  • Changsri, Narumon;Inprasitha, Maitree;Pattanajak, Auiji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67-77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eachers' perceived beliefs regarding teaching practice in the context of three-yea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ProDev) implementing lesson study incorporating Open Approac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distributing to the teachers in three school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teaching practice and interviewing members of lesson study tea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perceived beliefs regarding teaching practice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3 phases of lesson study as the followings: 1) Perceived beliefs related to collaboratively designing research lessons 2) Perceived beliefs related to collaboratively observing their friend teaching the research lesson 3) Perceived beliefs related to collaboratively doing post-discussion or reflection on the activities of the two phases.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효능감 변화 (A Chang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Course)

  • 홍주연;한인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55-17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hang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course. For this purpose we collect data through questionnaire from 61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make a questionnaire we rearrange Ryang's MTES items.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e course. The data are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SPSS23. The result of paired t-test sho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So we can conclude that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s changed and improved after teaching practice course.

수학학습에서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교차연습의 효과 (The Effect of Interleaved-practice by the Discriminative-contrast hypothesis in Mathematics)

  • 류지민;박미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99-21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에서 학습하는 내용이 영역과 유형의 차이에 따라 구획연습과 교차연습의 성취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통해 수학학습에서의 교차연습의 효과가 '분산-연습 가설'에 의한 것인지 혹은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교차연습이 구획연습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 선행 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 중학교 1학년 103명을 구획연습, 교차연습, 먼-구획연습, 먼-교차연습 집단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회에 걸쳐 학습활동을 하였고 일주일의 파지간격을 둔 후 최종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영역에서의 유사한 유형에서는 교차연습의 효과가 나타났고, 서로 다른 영역의 다른 유형에서는 교차연습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교차연습의 효과는 '분산-연습 가설'보다는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와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가 필요한 연구문제를 제안하였다.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Exploring Teacher Change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Focused on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1-272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 수업개선에 초점을 맞춘 관행공동체의 형성과 참여를 통해서 교사들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해서 교사들은 수학 수업에 관한 다양한 담론과 지식을 공유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학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변화를 신념과 수업관행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의 수학 학습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수학 수업개선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수업관행의 변화 측면에서 교사들의 수학 수업이 학습자 중심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변화는 설문분석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분석 결과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결국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수학 수업의 변화를 위해서는 수업의 변화에 대한 가치 및 수학 교과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 PDF

Features of Student Engagement in Chines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 Ye, Lijun;Si, Haixi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333-345
    • /
    • 2010
  • This study focuses on student engagement in Chines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By the record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video case, this study explored the main acts and time of student engagement. The data showed that among the student engagements: (1) Students' responses to teacher's question occurred most frequently; (2) Collective responses were much more than the individual responses; (3) Students' responses and classroom practice spent the longest time; (4) The most frequent student engagements occurred in the aspects of classroom practice; and (5) Students rarely asked a question to teachers.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teacher's effective guidance could improve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and the content of classroom practice is very important to the quality of student engagement.

수학적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의 실제 조사 (A Survey on the Teachers' Belief about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Practice)

  • 조완영;김남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1호
    • /
    • pp.51-61
    • /
    • 2000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the focus of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ver past 30 years. But nowadays problem solving is being beginning to be of less interest to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Moreover, mathematics teachers have an urgent need to be provided with well-documented informations about "teaching of(expecially, via) problem solving" though following research issues :ⅰ) the role of the teacher in a problem-centered classroom, ⅱ) what actually takes place in problem-centered classrooms, and iii) groups and whole classes' problem solving rather than individuals. This paper intends to give some informations about practice of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ry school.

  • PDF

The Issues and Challeng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A group of Surveys from South China

  • Wang, Linqu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9-126
    • /
    • 2008
  • In this paper, the current problems and challenges of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 and conditions are discussed with an oriental perspective. What are mathematics teachers' needs of their professional practice? What contradictions and difficulties do they meet in the condition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roblems and challenges are described with the result of a group of surveys.

  • PDF

Creative Potential of Olympiad Problems

  • Samovol Peter;Applebaum Mark;Braverman Alex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89-102
    • /
    • 2006
  • The present article is dedicated to discussing the methods of teaching schoolchildren to solve creative problems. A few types of Olympiad problems were chosen as a didactic content of the article. The relevance of the choice receives proper grounding. Explanations are followed by examples from pedagogic practice. The article was written for the use of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ists that are researching the problem of improving creative thinking with schoolchildren.

  • PDF

수학 교과 역량 관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선행 연구 탐색 (A study on literature review of mathematical modeling in mathematical competencies perspective)

  • 최경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87-210
    • /
    • 2017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수학적 모델링이 제시되면서, 국내에서 1990년 이래로 꾸준하게 연구되어 온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의 교육적 가치와 현장 적용의 필요성을 재음미해보고자, 수학 교과 역량의 관점에서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모델링은 수학 교과 역량 중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로 제시되고는 있지만, 문제해결 뿐만 아니라 추론, 의사소통, 창의 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을 지지하는 교수 학습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학 교과 역량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의 위치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방안으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수학 교과서와 수업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