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ommunity learning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7초

예비 유아교사의 전공 관련 봉사학습의 의미 탐색 (Examining Conceptions of Voluntee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Diverse Perspectives)

  • 안효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1-485
    • /
    • 2010
  •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how volunteering to hel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onceptualiz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ree parties involved;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professors, and principals as well as teachers, and children‘s mothers from a local day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journals, interviews, and several other artifacts, such as student portfolios, and letters from mother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fined voluntary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service that requires motivation and responsibility, and as an activity that helps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Secondly, university professors constructed the system for service learning activities and help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nge the view from volunteering activity to volunteering learning. Thirdly, the local community referred to thes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artnerships made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child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scribe the perspectives of parties involved and may be helpful in planning and executing specialized volunteer projects as well as in understanding volunteer behavior.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스마트 기기용 콘텐츠 개발 전략 (Contents Development Strategies for Field Trips with Creative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 김홍래;임병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39-146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바탕으로 한 학습 환경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필요한 콘텐츠 개발 방법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습 공간을 교실이 아닌 사회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창의적체험자원지도(CRM)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풍부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콘텐츠가 필요하다. 이러한 콘텐츠 개발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이 중요하며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u-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역 중심의 개발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PDF

성인학습자를 위한 CAD와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방안 (A Training Scheme of CAD and 3D Printing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Adult Learners)

  • 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07-812
    • /
    • 2015
  • 평생교육은 시대적 키워드이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친화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전문적인 학사관리를 대학이 제공해야한다. 이를 통해 대학은 성인학습자에게 생애 단계별 평생학습을 지원하고 평생교육대학의 교육편제를 유지하면서 계속학습의 편의를 마련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평생학습도시 여건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한다. 본 논문은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산업체환경을 고려하여 평생학습자에게 비학위 재교육 과정으로 3D 프린팅과 CAD 전문인력 양성과정개설을 위한 정책적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서비스러닝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 신명희;김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99-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을 통한 교실 안의 학습이 지역사회에 실용적으로 전이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2019년 12월28일까지 교양 과목 수강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수업과 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즉,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수업이 자기주도 학습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자율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그렇다면 학습자 개인의 변인은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 자율성과 문제해결능력 r=.6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개방성과 자기평가(r=.60) 자율성과 자기평가(r=.5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의 결과를 가져왔다. 서비스러닝에 있어서의 학습자 자율성은 서비스러닝 활동의 학습 촉진 및 협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학생들은 자기가 학습한 내용을 심화하여 지역사회기관 봉사를 통해 실천하고 경험하며 학교에서의 배움이 강의실에 머물러 있지 않고 사회로 환원이 가능한 개방성, 자율성, 봉사의 실천을 통해 실질적 세계에서 부딪칠 수 있는 문제해결 그리고 성찰을 통한 자기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학습자들은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존감을 고취 시킬 수 있었다.

영월읍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모니터링 결과 분석 - 2018년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Community Central Revitalization Project in Yeongwol - Focusing on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ject in 2018 -)

  • 정미경;김기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4호
    • /
    • pp.43-54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s to monitor three of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jects implemented as part of the community central revitalization projects in Yeongwol. We used an established indicator (i.e., quantitative evaluation) as well as an interview (i.e.,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out the monitoring process. The PM (project manager) committee members, consisting of six interdisciplinary experts, carried out the monitoring from $24^{th}$ of October until the $26^{th}$ of November 2018. We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into the aspects of needs, software, and hardware, and analyzed them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locals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programs, they were in overall not well informed about the ongoing programs and the program that suits their needs the most. The service organization should therefore actively publicize the program an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it .Second, instead of a one-off program, the locals should be empowered to take over the program eventually and develop it as a local business model. Last, the locals from the center as well as the outskirts of Yeongwol should organize a learning net, collaboratively develop a further program, and assess its effectiveness by employing a thorough monitoring system.

지역사회 소규모학교 살리기 정책 방향과 해결 과제 (Policy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Revitalizing of Small School in Local Community)

  • 조금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9-111
    • /
    • 2019
  • 저출산과 도심공동화현상으로 소규모학교의 수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 추세에서 이제까지 교육부가 1982년 이후 학교 통폐합시 지속적으로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삼아 온 것은 지방교육재정 효율화를 위한 것이라 하더라도 오히려 농산어촌 교육의 악순환 구조를 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 요건과 시대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학생 수의 지속적 감소 속에 학생 수를 기준으로 통폐합시 도시지역에서도 학교없는 마을들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소규모학교들을 통폐합하기보다는 지역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환경을 고려한 작은 학교 살리기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학교와 마을의 상생뿐만 아니라 21세기 지식 정보화사회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서도 소규모 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지역사회 소규모 학교를 확산시키고 미래 사회 변화에 적합한 소규모 학교로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학교 유휴시설 활성화 방안 및 공간적 전략 -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대상으로 - (The Practical Use of Unused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Spatial Strategy to Build Learning City - Focused on Dongnae-Gu in Busan -)

  • 강윤원;김종구;손지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51-156
    • /
    • 2016
  •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 도시의 구현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 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현실에서는 그 공간의 부족과 불균형화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시설의 공간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간 서비스 취약지역에 초등학교의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공간적 불균형화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현재는 학교의 소극적인 참여로 그 효과가 미비하긴 하지만, 추후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해준다면 충분히 공간적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학교시설 복합화를 위한 지역주민의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Residents' Needs for Mixed-use School Facilities)

  • 황성혜;박수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25-135
    • /
    • 2010
  •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qualitatively improved by revision of the school curriculum, local residents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ha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 mixed-use of school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need for school facilities. This study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of local residents who have used school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ports and learning facilities were the most used of five different types of school facilities, (2) school facilities were mainly used in the evenings (18:00~22:00 hrs), but the respondents differed in terms of time of use according to gender, age and work hours, (3) the result showed high needs for all types of facility and needs for sports facilities among them were the highest, and (4) preferred time of use wa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and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various directions for the mixed-use of school facilities by analyzing local residents' current use and their needs for further use of these facilitie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수행 영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uty Performance area of Fisheries &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 Teachers)

  • 김삼곤;차철표;반건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79-90
    • /
    • 2010
  • This study referred to relevant literatures, collected professional advice, created the sphere of duty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education and teachers' specialty, and researched the feasibility of duty sphere classified from 2nd of September in 2008 to 20th of October in 2008 by selecting 80 professional teachers at random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4 schools that had local 1.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per to classify the sphere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professional teachers into teaching-learning sphere, actual training guidance sphere, life guidance sphere, class management sphere, administrative performance sphere, specialty extension spher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phere. 2. For the contents of each sphere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teachers' duty, it is proper to systematize teaching-learning field with 32 contents of duty, actual training guidance field with 21 contents of duty, life guidance sphere with 18 contents of duty, class management sphere with 12 contents of duty, administrative performance sphere with 18 contents of duty, specialty extension sphere with 15 contents of du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phere with 9 contents of duty respectively.

공정관광객의 방문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 국내 공정관광객을 대상으로 - (Segmenting Responsible Tourists by Motivation - Focusing on Domestic Tourism -)

  • 김경희;이선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245-260
    • /
    • 2015
  • Since the Discussion on responsible tourism sector began in the 1980s, the interest in responsible tourism has increased. Responsible tourism aims to preserve the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and make the benefits return benefits to local stakeholders. This study aims to obtain an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responsible tourism market by using a segmentation approach to provide better information for responsible tourism marketers in Korea.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obtained from 471 tourists in seven responsible tourism sites. As for the motivations of responsible tourism, seven factors ('faimly togetherness', 'escape relaxation', 'personal growth', 'social interaction', 'various experience', 'learning' and 'natural experience') were extracted. Six distinct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motivation: escape from daily life relaxation seekers (19.15%), overall low motivation (7.8%), family togetherness seekers (21.18%). various experience seekers (12.77%), noverlty learning seekers (22.46%) and want-it-all (16.55%).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urism behaviors of each segmentation were also analyzed. The findings should be of interest to practitioners of responsible tourism marketing and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