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 소규모학교 살리기 정책 방향과 해결 과제

Policy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Revitalizing of Small School in Local Community

  • 조금주 (상명대학교 계당교양교육원 분원)
  • 투고 : 2019.01.03
  • 심사 : 2019.02.11
  • 발행 : 2019.02.28

초록

저출산과 도심공동화현상으로 소규모학교의 수는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 추세에서 이제까지 교육부가 1982년 이후 학교 통폐합시 지속적으로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삼아 온 것은 지방교육재정 효율화를 위한 것이라 하더라도 오히려 농산어촌 교육의 악순환 구조를 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 요건과 시대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학생 수의 지속적 감소 속에 학생 수를 기준으로 통폐합시 도시지역에서도 학교없는 마을들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소규모학교들을 통폐합하기보다는 지역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환경을 고려한 작은 학교 살리기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학교와 마을의 상생뿐만 아니라 21세기 지식 정보화사회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서도 소규모 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지역사회 소규모 학교를 확산시키고 미래 사회 변화에 적합한 소규모 학교로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With the low birth rate and the inner city decline, the number of small schools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is tre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consistently used the number of students as a standard for the merger and abolition of schools since 1982, but it seems that has generated a vicious circle of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also it did not reflect realistic requirements and changes in the times although it is efficiency of local education finances. With the number of students constantly decreasing, it has a high probability to make villages without schools in urban areas if decisions are made by the number of students.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that regional contexts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rather than to conduct the merger and abolition of small schools with economic logic.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small schools for coexistence of schools and villages and a cultivating the manpower needed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fore, we tried to find tasks for expanding small schools of the local community and developing small schools suitable for future social change.

키워드

표 1.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 추진 과정(1982∼2016)

CCTHCV_2019_v19n2_99_t0001.png 이미지

표 2. 학생 수 증감 추이(2005∼2017)

CCTHCV_2019_v19n2_99_t0002.png 이미지

표 3. 학교 수 증감 추이(2005∼2017)

CCTHCV_2019_v19n2_99_t0003.png 이미지

표 4. 60명 이하 소규모학교 현황(2001∼2017)

CCTHCV_2019_v19n2_99_t0004.png 이미지

표 5. 소규모학교 통폐합 현황(1982∼2017)

CCTHCV_2019_v19n2_99_t0005.png 이미지

표 6. 주요 시·도별 작은 학교 살리기 정책

CCTHCV_2019_v19n2_99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노화동, 정석, "농촌마을 폐교위기 극복을 위한 마을공동체의 역할 -제주특별자치도 8개 마을의 임대주택 제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제3호, pp.45-54, 2015. https://doi.org/10.14577/kirua.2015.17.3.45
  2. 이병환, "농산어촌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 탐색," 교원교육, 제24권, 제4호, pp.55-57, 2008.
  3. 조창희, 조찬묵, 김정치, 문병익, 김재구, 이보형, 김기민, 적정규모 학교 육성 추진 현황 점검.분석 -농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을 중심으로연구자료 CRM 2014-7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4.
  4. 김봉석, "대구지역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문제점과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 레포트 대구, 제12호, pp.196-205, 2017.
  5. A. Hargreaves and D. Shirley, The global fourth way: The quest for educational excellence,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012.
  6. 박의창, 김기수, "한국과 일본의 폐교현황과 활용유형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7권, 제2호, pp.184-187, 2017.
  7. 엄문영,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 분석 및 향후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6권, 제2호, pp.1-34, 2017.
  8. 이인회, "교육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 분석," 탐라문화, 제42호, pp.347-375, 2013.
  9. 석혜정, 서명화, 주철안, "교육과정 운영 자율화 소규모학교의 조직 효과성 사례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28, 2013.
  10. 이혜영, 김지하, 마상진, 농산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효과 분석(연구보고 RR 2010-0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0.
  11. 이상민, 조창희, "지역특성을 고려한 학교교모 적정화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5권, 제1호, pp.40-48, 2016.
  12. 김기은, 소규모 초등학교 통폐합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3. 차수범,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통합 정책 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14. 강은주, "학교 적정규모 관련 법제의 타당성 및 실효성 분석," 탐라문화, 제47호, pp.81-109, 2014.
  15. 박삼철, "학교통폐합 정책의 주요 쟁점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제32권, 제4호, pp.1-2, 2014.
  16. 최준렬, 강대중, 농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7.
  17. 유경진, 농어촌 지역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8. 허진영, 학교규모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사회성 발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 공은배, 한만길, 이혜영, 학교.학급의 적정규모(연구보고 RR 84-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4.
  20. 임연기, "소규모학교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제62차 학술대회 발표집, pp.1-20, 2013.
  21. 김달효, "학급규모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19권, 제1호, pp.5-27, 2013.
  22. 우명숙,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 교육시설, 제18권, 제5호, pp.16-19, 2011.
  23. 이정훈, "학습공동체로서의 작은 학교 운동에 관한 연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23-42, 2003.
  24. 김형대, "소규모학교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제62차 학술대회 발표집, pp.89-109, 2013.
  25. 이종재, 이차영, 김용, 송경오, 한국교육행정론, 서울:교육과학사, 2012.
  26. 이화룡, 류춘근, 오세희, 박소영,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통합초등학교의 공간구성 및 폐교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제19권, 제3호, pp.21-31, 2012.
  27. 교육통계연보, 2017.
  28. J. Nathan and S. Thao, Smaller, safer, saner successful schools. National Clearinghouse for Educational Facilities, Washington, D.C., 2007.
  29. L. Darling-Hammond, P. Ross, and M. Millliken, Brookings Papers on Educational Policy, 발행처 삽입, 2010.
  30. 김은효, 이용환, "농산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의 대안 탐색," 교육연구, 제36호, pp.63-89, 2013.
  31. 조금주 외, 서울형 소규모학교 모델 적정화 및 발전 방안 연구 -재동초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32. 박은성, 존폐 위기 작은 학교 살리기 나선 강원교육청, 한국일보, 2017.6.21.
  33. https://blog.naver.com/sigma_shin/221176033243, 2018.01.02.
  34. 김병학, 작은 학교 살리기-진천 문백초, 충북일보, 2014.02.16.
  35. 김병학, 작은 학교 살리기-옥천 청성초, 충북일보, 2014.04.13.
  36. 조순익, 순천교육청, 작은 학교 활성화 위한 희망찬 출발, 전남조은뉴스, 2018.03.16.
  37. 도철, 전남 작은 학교 살리기 현황과 대안, 무등일보, 2018.08.06.
  38. 김형규, 경북도 '작은 학교' 장점 살리기 나서, 대구일보, 2018.08.01.
  39. 김장운, 新 맹모삼천지교 -제주 작은 학교로 가다-, 연합뉴스, 201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