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7초

사고 유형에 따른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Activity Preferenc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ccording to Thinking Styles)

  • 신종호;서정희;최재혁;김용남;김윤근;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95-506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ctivity pre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 cluster analysis procedure was performed to classify students on the basis of thinking styles. Two clusters of different thinking styles were deduced: the gifted group with a high level thinking style (cluster 1), and the average group with a low level thinking style (cluster 2). The gifted group (cluster 1) preferred projects, simulations, discussions and game activities to other types of loaming activities. 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also were clustered into each three unique subgroups with respect to levels and patterns in thinking styles, and these subgroups also showed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The clusters of gifted students included the self-regulated learning type (cluster a), cooperative-learning type (cluster b), and the passive-learning type (cluster c). The clusters of average students included the independent learning type (cluster i), no-preference learning type(cluster ii), and the no-motivation & teacher-directed learning type (cluster iii). Theses clust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in thinking styles but also in terms of preferences regarding learning activities. These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 PDF

이러닝의 품질특성과 만족도에 관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of quality and satisfaction of e-Learning context)

  • 안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5-45
    • /
    • 2017
  • 이 연구는 이러닝의 품질요인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 있어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이러닝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신뢰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이러닝의 품질요인은 컨텐츠, 시스템, 서비스, 상호작용 등 요인으로 나뉘었고, 학습자 유형은 적극적 협동학습유형, 자기주도적 학습유형, 환경의존적 학습유형, 소극적 학습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닝의 각 품질요소는 사용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유형을 가진 그룹이 만족도 수준이 높았다. 학습유형은 품질요소와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소극적 학습유형은 커뮤니티, 교강사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타 유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닝의 성과에 있어 품질요소와 학습자특성 간 관계에 실증적 연구성과를 추가하였으며, 추후 이러닝 사용목적, 사용형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등 이러닝의 성과 연구에 있어 타 요인들과의 관련성 연구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학습유형, 학습전략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Type,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for University Students)

  • 홍소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21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학습유형, 학습전략 간에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부산소재 K대학교의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과 학습과정 설문지(Study Process Questionnaire; SPQ)와 학습동기전략 설문지(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rie; MSLQ)를 사용하여 감각처리 유형, 학습유형, 학습전략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카이 제곱 검정(chi square test),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 유형과 학습유형의 상관관계에서 감각등록저하 유형은 표층형 학습유형(p=0.03), 감각추구 유형은 심층형 학습유형(p=0.02)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감각처리 유형과 학습전략의 상관관계에서 감각추구 유형은 조직화 학습전략(p=0.00), 감각민감 유형은 조직화 학습전략(p=0.03)및 초인지 학습전략(p=0.00)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감각추구 성향의 차이에 따라 group A와 B로 나누었을 때 학습유형(p=0.00) 및 학습전략(p=0.03)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감각처리 유형과 학습유형, 학습전략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감각처리 유형에 따라 학습유형, 학습전략이 달라짐으로 개인에게 맞는 학습 유형과 학습전략을 선택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지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의 학습유형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Kolb's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 우정희;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학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D시에 소재하는 일개대학의 간호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다. 학습유형은 적응자가 60명(3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렴자 59명(33.9%), 융합자 28명(16.1%), 분산자 27명(15.5%) 이었다. 교수방법 선호도를 살펴보면, 토론교수법이 7.2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접교수법은 7.26점, 동료 교수법이 7.22점으로 높았다. 독립학습 교수법은 6.54점, 프로젝트 교수법은 6.25점, 공학중심 교수법은 5.77점, 교수게임 교수법은 5.45점으로 평균정도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수법은 4.23점으로 가장 낮았다.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은 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경우는 적응자가 35명(46.1%), 그렇지 않은 경우는 수렴자가 46명(46.9%)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유형의 분석은 교수자의 수업운영 전략을 계획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7 Learning Style Inventory Korean Version for IT Major Students

  • Park, J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42-47
    • /
    • 2020
  •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the 7 Learning Style Inventory(LSI) for IT major Students by systematic translation process and to test learning style of IT major University students. Translated and developed Korean version of LSI was verified of validity by comparing with existing V.A.K. learning style model. We can develop various tactics for 7 learning styles of students. Once the learning style of each student is confirmed, customized teaching for individual and team can be done more efficiently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each learning style. Developed LSI was applied to the IT major students of two classes from Chungwoon University in Incheon. Results of LSI survey show that learning styles of 24 students out of 35 students from two classes are matched with V.A.K. learning styles of same students. It was 68.6% match in learning style, and shows that validity of 7 LSI. We need to elaborate Korean questionnaires of the LSI more, and extend and apply to the non-IT major students group.

학년과 성에 따른 소외 영재의 학습 스타일과 과제선호도 탐색 (Exploring Learning Styles and Task Preferences of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 이미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96-307
    • /
    • 2014
  • As an educational trial for pursuit of educational excellence in the disadvantaged gifted, this study was to explore learning styles and task preferences by student's grade and gender. Furthermore, this study sought to present the practical basis to develop programs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Total 153 disadvantage gifted students responded items of the Learning Styles Inventory-III and the Task Preferences Scale, which responses were analyzed by student's grade and gender in using MANOVA. As the results, the 1st grad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preferred Direct instruction, Technology, and Learning games to the higher grade leve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preferences by students' grade level. The 4th grad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preferred Creative tasks and Difficult tasks more than other grade level students.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대학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이공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Focusing on freshmen enrolled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the medium-sized university)

  • 이경희;이성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73-486
    • /
    • 2013
  • 본 연구는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학습유형을 살펴보고, 학습유형과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탐색하여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보다 적합한 대학수학교과 수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olb의 LSI에 대한 신뢰도분석을 한 후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 282명을 대상으로 LSI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유형은 수렴형, 동화형, 조절형, 확산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상적개념화(AC)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구체적경험(CE)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수렴형이 조절형과 확산형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넷째, 학습유형과 학업성취 도간 상관관계에 있어서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의 학문적 특성과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고려하는 맞춤형의 다양한 교수-학습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4단계의 학습사이클을 개별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간호학생의 학습유형과 간호전문직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s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on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김진숙;고일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2-472
    • /
    • 2016
  • Purpose: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s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were explained.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with 245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April 14 and May 7, 2014. Results: The dominant learning styles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assimilating (33.9%) and diverging (33.1%), with converging (11.4%) being the least dominant.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in the nursing students was high (mean 65 out of 80).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nursing students was high (mean 159 out of 225), especially among sen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2.44, p=.065), even though nursing students with converging learning style had higher problem-solving ability than nursing students with other learning styles.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as influenced by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being a senior and preference for discuss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16.9% of the variance in problem-solving ability.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with 12.3% was the most influential. Conclusi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as more influenced by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than by learning styles. Therefore, we suggest strategies to develop a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that leads to promo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 (Temperament by MBTI Personality Type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Nursing Students)

  • 장현정;김명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00-410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지와 학습유형에 관한 42개 문항, 학습전략에 관한 25개 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의견일치에 따라 1점~6점까지 선택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가장 많은 성격유형은 ESFJ(외향성 감정형)이었으며, 성격유형별 기질로는 SJ(감각적 판단형)기질이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성격유형별 기질에 따른 학습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4가지 성격유형별 기질은 표층형(F=2.981, p=.032), 심층형(F=5.542, p=.001) 및 성취형(F=3.863, p=.010)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격유형별 기질에 따른 학습전략의 차이에서는 시연(F=5.454, p=.001), 정교화(F=9.693, p=.001), 조직화(F=7.898, p=.001), 상위인지(F=3.924, p=.009)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학습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공과대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학습양식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 Affective Learning Style of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s)

  • 김은정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20-2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t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CALSIU(The Cognitive & Affective Learning Style Inventory for University School Students) by Kim, E. J. was modified for applying to university students and performed with 399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Daejeon and Chungnam. Statistical analysis done in this study were ANOVA and Scheffe's test.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s have intuitive perception type, whole processing type, and deep storage & recall type. Secondly, the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have strong non-academic learning type. Third, interaction attitude of affective learning styles is the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ents with independent type get high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instructor should consider the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it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ir teaching & learning strategy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of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