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quer tre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옻 추출물을 이용한 돈육의 생산과 가공기술의 개발 V. 옻 추출물 급여 후 돼지 림프구의 분포와 소장 점막 내부의 형태 변화 (Production of High Quality Pork with Feed Additives of Lacquer Tree Extracts and Development of Meat Processing Technique V. Lymphocyt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nge in Small Intestine of Pigs after Fed with Fermented Lacquer Tree Extracts)

  • 김상현;성낙주;박중춘;최충국;송영민;조규완;차혜진;김용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8-273
    • /
    • 2008
  • For evaluation of immune stimulation effect of lacquer tree extracts, lymphocytes were counted by labeling of FITC-conjugated monoclonal antibody in the pheripheral blood of pigs that fed with a fodder supplemented by lacquer tree extracts. Populations of MHC-II+, CD4+, and CD8+T lymphocytes were increased more than 2% level after 1 week feed supply of the lacquer tree extracts. The increase of those T cells reached at maximum level after 2 weeks in the tested group. B lympyocytes with surface IgM were increased 5% after 1 week feed supply of the lacquer tree extracts, and their numbers reached maximum after 2 weeks in the tested group. For the assessment of cytotoxicity of the lacquer tree extracts, morphological changes were examined on the epithelial cells of small intestine from pigs fed with a fodder supplemented by 0.1 % lacquer tree extracts for 6 weeks (the tested group). Thin-sectioned tissue of small intestine was fixed with glutaraldehyde, then coated with gold particles, and the specimen was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villi on the mucus membrane of jejunum and ileum from the tested pigswere enlarged on the tip and were linked each other.

옻나무의 암수에 따른 주요인자와 옻채취량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on Several Factors and Collection Amount of Rhus Lacquer by the Sex of Rhus verniciflua)

  • 송병민;이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9-284
    • /
    • 2005
  • 본 연구는 옻나무의 암수구분에 의한 직경, 수고 및 수관폭에 따라 옻채취량의 변화관계를 조사하여 옻나무의 암수별 각인자의 옻채취량에 대한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암수구분에 의한 직경과 옻채취량의 관계에서는 암수 모두 직경증가에 따라 옻채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수나무개체들이 암나무 보다 옻채취량에 있어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암수구분에 의한 수관폭의 변화가 옻채취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작게 나타났으나, 수관폭이 증가할수록 옻채취량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또한 암수구분에 의한 회귀분석은 수나무보다 암나무의 주요인자들이 옻채취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경, 수고, 수관폭 및 옻채취량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지별 옻피의 항산화 활성과 옻닭국 기호특성 비교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us verniciflua Bark from Different Area)

  • 박성진;양병욱;함영태;오덕환;김중범;양지연;강병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30-4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옻나무 껍질의 총 폴리테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과 우루시올 함량을 측정하고, 옻나무 피를 첨가한 옻닭 국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원주산 옻나무 껍질의 total polyphenol, flavonoids, DPPH free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등이 함양산 및 중국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Urushiol 함량은 함양산이 $4.59{\pm}0.04$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중국산 옻나무 껍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옻나무 껍질을 첨가한 옻닭 국물의 관능검사에서는 원주산을 첨가한 옻닭국물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옻나무 추출물 중 우루시올 동종체의 함량비 분석 (The analysis of the urushiol congeners from the extracts of lacquer trees)

  • 조유미;정유경;김진산;이준배;팽기정
    • 분석과학
    • /
    • 제22권1호
    • /
    • pp.65-74
    • /
    • 2009
  • 옻나무는 아시아지역 전역에 주로 분포하며 예로부터 도료 및 약용 식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옻나무가 그 기능이 더욱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우선 옻나무에서 우루시올의 추출을 위하여 나무는 soxhlet의 방법으로, 옻나무 추출물은 liquid-liquid extraction (LLE)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우루시올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각 성분들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 visible detector system (HPLC/UV-Vis)에 먼저 적용하여 분리의 최적 조건을 찾았다. 그리고 각 성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on-line electro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LC-MS/M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자량에 따른 성분 확인과 함량을 연구하였다. 이동상의 조건으로는 methanol : 0.1% formic acid : DDW를 929 : 1 : 70의 부피비로 사용하여 최적의 분리 조건을 얻었다. 이러한 LC의 조건으로 다시 LC-MS/MS에 적용하여 MRM의 방식으로 각각의 함량을 구할 수 있었다. 분자량에 따라 총 4종류의 우루시올 동종체들이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옻나무 추출물의 경우 외국산 옻나무의 것 보다 곁사슬에 이중결합이 많은 우루시올 동종체의 함량이 많이 존재하며 그 전체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갈근과 옻 혼합추출물의 성분변화 및 항알러지 효과 (Constituent Alterations of Pueraiae Radix and Lacquer Tree Mixture Extract and their Anti-allergic Effects)

  • 정용준;양윤정;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10
    • /
    • 2013
  • 옻나무는 옻오름 같은 알러지 반응으로 인해 식품으로의 활용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알러지 반응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갈근 추출물과 혼합하여 알러지 억제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알러지를 유발시키는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적 구조변화 및 생물학적 알러지 반응 억제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에 갈근 추출물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 반응 완화효과를 RBL-2H3 세포에서 ${\beta}$-hexosaminidase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갈근 추출물에서 매우 우수한 억제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갈근 추출물을 혼합한 결과 양성대조군 ketotifen보다 다소 우수한 효능이 나타났다.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물질 확인하고, 갈근과 혼합 추출 하였을 때의 알러지 유발물질 함량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GC/M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종의 알러지 유발물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갈근 추출물과 혼합시 알러지 유발물질은 그 함량이 적어지거나 소멸되었다. 따라서, 갈근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때 함량이 낮아지거나 소멸되는 알러지 유발물질 4종에 대하여 탈과립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옻의 알러지 유발물질 4종으로부터 알러지를 유도한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화 억제효능 양상이 유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갈근 추출물은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능을 통하여 옻과 갈근을 혼합하여 추출한 복합추출물의 경우 옻의 문제점인 알러지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칠과 화칠의 우루시올 조성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Urushio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between Fresh Sap and Fire Distilled Sap of Lacquer Tree)

  • 김명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0-46
    • /
    • 1998
  • For the comparison of the urushio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itivity between the fresh sap and fire distilled sap of lacquer tree(Rhus vernicifera), we analysed the urushiol composition by HPLC and EI-MS, and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itivities according to solvent fractionatio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rushiol composition between fresh and fire distilled saps of lacquer tree. The hexane frqctionsof two saps showed a strong DPPH radical scaverging activity (RC50 : 7.0-7.5$\mu\textrm{g}$). They also showed a strong antifungal activity onthe spore germination of Cladosporium herbarum(MIC : 8$\mu\textrm{g}$/ml), whereas they have no or low activity against the bacteria(BAcillus subtilis , Escherichia coli). In addition , hexane and butanol fractions of two saps showed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ultured tumour cell lines (GI50 : 0.35, 12.29$\mu\textrm{g}$/ml) in vitro.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fresh sap and fire distilled sap might have the similar urushio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ies.

  • PDF

옻나무 근삽시 삽상배지의 효과 (Effects of Cutting Media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양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6
    • /
    • 2001
  • 옻나무 근삽에 의한 묘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종류의 삽상배지를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상배지는 PV(peatmoss vermiculite = 1 : 1)와 PVS(peat moss : vermiculite : sand = 1 : 1 : 2) 처리구에서 3주 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고, 삽 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PVSC(peatmoss : vermiculite : sand : clay loam = 1 : 1 : 2 : 2)배지에서 80%로써 가장 높았다. 삽수당 신초형성수는 PH와 PVC 삽상배지가 2.2개로써 가장 많았고 HSC 삽상배지 는 1.3∼1.5개로써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eatmoss, vermiculite, sand 및 clay loam을 각각 1:1:2:2 (v/v/v/v)로 혼합한 PVSC 삽상배지가 옻나무 근삽의 삽상배지로 이용하기에 양호하였으며, 수장,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등의 묘소질 역시 양호하여 본포에 이식하기에 적당하였다.

  • PDF

다호리 출토 판상 칠기의 재질 분석 (Analysis of Flat Board-shaped Lacquer ware Excavated from Daho-ri in Changwon, Korea)

  • 김수철;박민수;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33-36
    • /
    • 2012
  • 다호리 유적에서 출토된 판상칠기에 대하여 수종 및 칠 도막, 금속장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판상칠기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로 식별되었고 칠 도막의 현미경 관찰 결과, 총 5회의 칠을 했으며 칠 전체 두께는 약 100 ㎛이다.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정제칠과 비교하여 옻칠임을 확인하였다. 원형의 금속장식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는 주석과 납의 이원계 합금으로 백랍(白蠟, Pewter)이라 불리는, 주석을 주체로 하는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지금까지 조사된 다호리 유적 출토 유물의 수종이 활엽수재였던 것에 반해 판상칠기의 목재는 침엽수재인 소나무류로 밝혀졌다.

Antifungal Activity of Urushiol Components in the Sap of Korean Lacquer Tree (Rhus vernicifera Stokes)

  • Kim, Myong-Jo;Kim, Chang-Jin;Kwak, Sang-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1-234
    • /
    • 1997
  • Four urushiol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sap of Korean lacquer tree(Rhus vernicifera Stokes) showed a strong antifungal activity, but they have no or low activity the bacteria and yeasts. Among them, 3-pentadecylcatechol marked the highest activity on the spore germination of Cladosporium herbarum ($MIC:4{\mu}g/ml$).

  • PDF

옻나무 우죽의 수피생산량 분석 (Bark Production Analysis on Top Branch of Rhus verniciflua)

  • 송병민;이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7-342
    • /
    • 2005
  • 본 연구는 옻을 채취한 옻나무에서 수피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옻나무의 직경에 따른 중량과의 관계와 우죽의 중량에 따른 수피와 건피량을 조사한 결과 옻나무중량에 대한 우죽중량의 비율은 평균 $48\%$였는데, 중량이 큰 나무들이 우죽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직경이 최소한 8cm정도는 되어야 우죽에서 1kg이상의 건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를 측정한 결과 생피무게는 $1.1{\sim}l.5kg$에 해당하는 옻나무가 $4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0.5{\sim}1.0kg$$37.5\%$로 조사되어 전체 우죽의 $80\%$이상이 1.5kg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피를 말린 건피의 무게는 $0.6{\sim}1.0kg$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0.1{\sim}0.5kg$으로 $25\%$로 나타나 전체 옻나무의 $75\%$정도가 1.0kg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죽중량에 대해 생피중량이 차지하는 평균비율은 $27\%$였으며, 우죽중량에 대한 건피중량의 평균비율은 $16\%$로 측정되었는데, 생피를 건조시켰을 때 평균건피중량은 생피의 $61\%$로 나타나 생피의 수분함유율이 평균 $39\%$로서 건피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죽 6.25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