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lat Board-shaped Lacquer ware Excavated from Daho-ri in Changwon, Korea

다호리 출토 판상 칠기의 재질 분석

  • Kim, Soochul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Minsoo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Yun, Eunyoung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김수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박민수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Received : 2012.09.07
  • Accepted : 2012.10.23
  • Published : 2012.12.10

Abstract

Analysis of Flat board-shaped Lacquer ware excavated from Daho-ri was conducted. The result of species identification is identifed as Pinus spp. As a result of microscopic observation, lacquer fragment is consist of 5 layers and its thickness is about 100 ㎛.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lacquer ware revealed that they had a very similar absorption band as refined lacquer, confirming that they were painted with lacquer. Result of Analysis for Circular metal ornament is alloy smelted by tin and lead. It is called Pewter. While The species of wooden objects investigated until now is broad-leaved tree; the species of flat board-shaped lacquer ware is conifer.

다호리 유적에서 출토된 판상칠기에 대하여 수종 및 칠 도막, 금속장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판상칠기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로 식별되었고 칠 도막의 현미경 관찰 결과, 총 5회의 칠을 했으며 칠 전체 두께는 약 100 ㎛이다.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정제칠과 비교하여 옻칠임을 확인하였다. 원형의 금속장식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는 주석과 납의 이원계 합금으로 백랍(白蠟, Pewter)이라 불리는, 주석을 주체로 하는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지금까지 조사된 다호리 유적 출토 유물의 수종이 활엽수재였던 것에 반해 판상칠기의 목재는 침엽수재인 소나무류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