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나무 우죽의 수피생산량 분석

Bark Production Analysis on Top Branch of Rhus verniciflua

  • 발행 : 2005.06.01

초록

본 연구는 옻을 채취한 옻나무에서 수피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옻나무의 직경에 따른 중량과의 관계와 우죽의 중량에 따른 수피와 건피량을 조사한 결과 옻나무중량에 대한 우죽중량의 비율은 평균 $48\%$였는데, 중량이 큰 나무들이 우죽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직경이 최소한 8cm정도는 되어야 우죽에서 1kg이상의 건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를 측정한 결과 생피무게는 $1.1{\sim}l.5kg$에 해당하는 옻나무가 $4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0.5{\sim}1.0kg$$37.5\%$로 조사되어 전체 우죽의 $80\%$이상이 1.5kg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피를 말린 건피의 무게는 $0.6{\sim}1.0kg$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0.1{\sim}0.5kg$으로 $25\%$로 나타나 전체 옻나무의 $75\%$정도가 1.0kg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죽중량에 대해 생피중량이 차지하는 평균비율은 $27\%$였으며, 우죽중량에 대한 건피중량의 평균비율은 $16\%$로 측정되었는데, 생피를 건조시켰을 때 평균건피중량은 생피의 $61\%$로 나타나 생피의 수분함유율이 평균 $39\%$로서 건피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죽 6.25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rk production from a top branch(Woojuk) of lacquer tree(Rhus verniciflua) that collected Rhus lacquer in summer,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factors - diameter, tree weight, weight of Woojuk and bark. The weight of Woojuk averaged was made up $48\%$ of the tree on average. As the weight of the tree increased, however, the Woojuk showed the rising trend. It was turned out that the tree size for making 1kg of dry bark must be at least DBB 8cm. The result on Woojuk's bark was that $43.3\%$ of total trees produced a green bark of 1.1kg to 1.5kg, and most of them put out 1.5kg and less. Also the rate of trees to make 0.6kg to 1.0kg of dry bark was highest in $50.8\%$, but its production in most trees was 1.0kg and below. As the moisture content of a green bark averaged $39\%$,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of 1kg in dry bark requires at least 6kg of top branch in lacquer tree.

키워드

참고문헌

  1. Kim, S. S. and J. M. Chung. 1995.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Jour. Korean For. Soc. 84(2) : 151-165
  2. Song, B. M. 1995. On -he planted accomplishment of Rhus vernicifera and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Rhus lacquer. Sangji Univ. Research Reports vol. 16 : 160-168
  3. Song, B. M. 1997. On the analysis of profitablility by production form of Rhus verniciflua. Korean J. Forest Economics 5(1) : 25-32
  4. Song, B. M. and J. K. Han. 1996.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farmhouses growing Rhus verniciflua. Korean J. Forest Economics 4(1) : 57-72
  5. 김기락. 1995. 옻나무 재배. 임업협동조합중앙회. 산림 No. 349 : 118-124
  6. 산림청 림업연구원. 1993. 새로운 단기 임업소독. pp. 65-72
  7. 유진우. 1990. 옻나무 재배와 수익성. 임업연구원 연구정보 No. 33 : 6-8
  8. 이세표, 이창재. 1989. 우리나라의 옻생산실태분석. 충북임업시험장. 연구보고서 : 5-36
  9. 정 균. 1985. 옻(漆). 155pp
  10. 정인표. 1979. 옻나무의 입지별 채칠량 비교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논문집 18 : 137-139
  11. 정인표. 1981. 옻채취시의 휴양일수가 채칠량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논문집 22 : 163-165
  12. 최경, 서정배. 1990. 옻나무. 경남 농업기술 : 158-164
  13. 山岸壽治. 1995. 漆職人 歲時記. 雄山閣出版. 286pp
  14. 伊藤淸三. 1980. 日本の漆. 東京文庫出版部. 682pp
  15. 澤口悟一. 1988. 日本 漆工の 硏究. 美術出版社. 389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