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the urushiol congeners from the extracts of lacquer trees

옻나무 추출물 중 우루시올 동종체의 함량비 분석

  • Cho, Yumi (Department of Chemistry and Medical Chemistry, Yonsei University) ;
  • Jung, Yu-Kyung (Department of Chemistry and Medical Chemistry, Yonsei University) ;
  • Kim, Jinsan (Department of Chemistry and Medical Chemistry, Yonsei University) ;
  • Lee, Joonbae (Department of Chemistry and Medical Chemistry, Yonsei University) ;
  • Paeng, Ki-Jung (Department of Chemistry and Medical Chemistry, Yonsei University)
  • 조유미 (연세대학교 화학 및 의화학과) ;
  • 정유경 (연세대학교 화학 및 의화학과) ;
  • 김진산 (연세대학교 화학 및 의화학과) ;
  • 이준배 (연세대학교 화학 및 의화학과) ;
  • 팽기정 (연세대학교 화학 및 의화학과)
  • Received : 2008.07.08
  • Accepted : 2009.01.03
  • Published : 2009.02.25

Abstract

Active components of lacquer tree referred to as urushiol congeners, which are catechol derivatives with various alkyl or alkenyl substituents. The olefin side chains typically have one, two or three double bonds. In this study, the each congener's ratio analysis of extracts from korean lacquer tree are compared to the one from other asian lacquer tree.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LLE) method with soxhlet system from tree's bark and sap. Extracts were analyzed by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and on-line electro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LC-MS/MS).

옻나무는 아시아지역 전역에 주로 분포하며 예로부터 도료 및 약용 식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옻나무가 그 기능이 더욱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우선 옻나무에서 우루시올의 추출을 위하여 나무는 soxhlet의 방법으로, 옻나무 추출물은 liquid-liquid extraction (LLE)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우루시올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각 성분들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 visible detector system (HPLC/UV-Vis)에 먼저 적용하여 분리의 최적 조건을 찾았다. 그리고 각 성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on-line electro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LC-MS/M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자량에 따른 성분 확인과 함량을 연구하였다. 이동상의 조건으로는 methanol : 0.1% formic acid : DDW를 929 : 1 : 70의 부피비로 사용하여 최적의 분리 조건을 얻었다. 이러한 LC의 조건으로 다시 LC-MS/MS에 적용하여 MRM의 방식으로 각각의 함량을 구할 수 있었다. 분자량에 따라 총 4종류의 우루시올 동종체들이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옻나무 추출물의 경우 외국산 옻나무의 것 보다 곁사슬에 이중결합이 많은 우루시올 동종체의 함량이 많이 존재하며 그 전체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규, '목칠공예', 솔, p. 50-53(2005)
  2. J. Kumanotani, Prog. Org. Coat. 26, 163-195(1995) https://doi.org/10.1016/0300-9440(95)00559-5
  3. 최진규, '약이 되는 우리 풀.꽃.나무 2', 한문화, p. 148-156(2001)
  4. R. Oshima and J. Kumanotani, Carbohydr. Res., 127, 43-57(1984) https://doi.org/10.1016/0008-6215(84)85105-8
  5. L. Rong,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51, 238-243 (2004) https://doi.org/10.1016/j.porgcoat.2004.08.006
  6. M. J. Kim, J. Korea. Plant. Res., 11, 70-79(1998)
  7. P. D. Adawadkar and M. A. ElSohly, Phytochem., 22, 1280-1281(1983) https://doi.org/10.1016/0031-9422(83)80241-6
  8. M. J. Kim, Y. H. Choi, and S. S. Kwak, J. Korea Plant. Res., 11, 40-46(1998)
  9. C. R. Dawson, J. Am. Chem. Soc., 76, 2959-2963(1954) https://doi.org/10.1021/ja01640a030
  10. C. R. Dawson, J. Am. Chem. Soc., 76, 5070-5074(1954) https://doi.org/10.1021/ja01649a017
  11. Y. Du and R. Oshima, J. Chromatogr., 284, 463-473 (1984) https://doi.org/10.1016/S0021-9673(01)87848-1
  12. J. C. Craig and C. W. Waller, J. Pharm. Sci., 67, 483-485(1978) https://doi.org/10.1002/jps.2600670411
  13. J. H. P. Tyman and A. J. Matthews, J. Chromatogr., 235, 149-164(1982) https://doi.org/10.1016/S0021-9673(00)95796-0
  14. C. Y. Ma, J. Chromatogr., 200, 163-169(1980) https://doi.org/10.1016/S0021-9673(00)84927-4
  15. Y. Yamauchi and R. Oshima, J. Chromatogr., 243, 71-84(1982) https://doi.org/10.1016/S0021-9673(00)88165-0
  16. Y. Du and R. Oshima, J. Chromatogr., 295, 179-186 (1984) https://doi.org/10.1016/S0021-9673(01)87609-3
  17. J. F. Rivero-Cruz, D. Chavez, B. H. Bautista, L. A. Ana and R. Matat, Phytochem., 45, 1003-1008(1997) https://doi.org/10.1016/S0031-9422(97)00032-0
  18. M. J. Kim, J. Breed. Korea, 29, 115-123(1997)
  19. J. H. P. Tyman, Chem. Soc. Rev., 8, 499-537(1979) https://doi.org/10.1039/cs9790800499
  20. 윤중국,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p. 30(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