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xploring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1초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교육관점에서의 메타버스 관련 이슈 탐색 -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Exploring Issues Related to the Metaverse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Focusing on News Big Data)

  • 박주연;정도헌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에 나타난 메타버스 관련 이슈들을 교육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특징을 탐색하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및 미래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되는 메타버스 관련 뉴스 데이터를 41,366건 수집하였고, 대표적인 용어 가중치 모델인 TF-IDF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든 키워드의 가중치 값을 계산하여 순위화한 후,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교한 확률기반 텍스트마이닝 기법인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하여 주요 토픽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관점에서 메타버스의 핵심 이슈로는 플랫폼 산업, 미래인재, 기술의 확산 등과 같은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기술, 직업, 교육이라는 세 개의 핵심 주제로 2차 데이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래교육에서 메타버스는 교육플랫폼의 혁신, 미래 직업의 혁신, 미래 역량의 혁신과 관련한 이슈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대한 양의 뉴스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관점에서 이슈를 도출하고 미래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중등학교의 진로 교육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Career Education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9-17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사회에서 중등학교의 진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방향으로 첫째, 교사 역량 강화와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및 다양화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 외부적인 협력과 연계 강화 방안으로 진로 교육 전문가와의 협업 및 의사소통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진로 정보망 개선을 통한 온라인 진로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책적인 지원 및 제도적 개선방안이 있다. 여섯째, 진로 교육 대상을 전 생애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위기를 극복하여 기회로 삼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해 주기 위하여 첫째, 학생 개인의 학업과 진로에 관한 구체적인 목표, 계획, 성취 정도를 관리하는 전 생애적 관점의 개별 맞춤형 진로 교육 종합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 중심의 진로·직업 체험을 확대하여 직무 관련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 현장 전문가의 멘토링을 함께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진로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모든 교원의 진로 교육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하여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재교육도 필요하다.

한의과대학 예과생의 진로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of premedical students in Korean Medicine college)

  • 진성미;박선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7-61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of premedical students in Korean Medicine college and those relationships with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vocational value. Methods : A total of 140 pre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motive for career choice, specialty preference after college gradu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so they responded in the web-survey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and vocational value inventory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ight items of motive for career choice were collected from the pilot study from 70 premedical students. Results : 'Job stability' was the top motive for career choice(25.5%). The average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 was relatively low(13.7) : higher in male(14.3) and the early career decision group(14.2) than female (12.9) and late decision group(12.9),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9 and p=0.036, respectively) in the subgroup analyses. The result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showed that 'self-knowledge' (79.3) and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78.6) were the two highest,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vocational value inventory ('fulfilling abilities' and 'self-improvement'). More characteristics were also described.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Medicine premedical students have high vocational ident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specified studies for identifying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for Korean Medica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desig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edical education programs.

중국국적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과정분석 (A Process Analysis of the Employment Prepar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공수연;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1호
    • /
    • pp.133-150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of Chinese migrant women and exploring measures to support their employment in a practical mann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15 Han Chinese and Korean Chinese women, who represent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were conducted. Each interview lasted for about an hour and a half on average, and there were additional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s on vocational cours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4 steps by utilizing the analysis methods suggested by Lichtman (the three C's of data analysis: codes, categories, concepts), which were transformed to fit the final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undamental reasons that Chinese migrant women seek employment in Korea are as follows: role model as a mother based on motherhood and the desire to be recognized as a member of society. Second, as for employment strategies, although all the respondents were only dependent on the referral of their acquaintances and national institutions, Han Chinese and Korean Chinese women ha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each other. Third, they attributed the causes of unemployment to personal aspects such as the amount of effort made and luck, and social structural aspects, including employment instability and low acceptance of multi- cultural individuals. Fourth, the migrant women hoping for 'complete integration' in the future, suggested some practical employment support measures. Such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ir reasons for getting a job, employment strategies, attributions of unemployment, and employment outlook, rather than as response measures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issues in Korea.

Marine Algicolous Endophytic Fungi - A Promising Drug Resource of the Era

  • Sarasan, Manomi;Puthumana, Jayesh;Job, Neema;Han, Jeonghoon;Lee, Jae-Seong;Philip, Rosamm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039-1052
    • /
    • 2017
  • Endophytic fungi have currently been acknowledged as the most promising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for drug discovery, and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exploring their diversity, species richness, and bioprospecting. Fungal endophytes from unique environmental settings offer a pool of potentially useful medicinal entities. Owing to the constant stresses imposed on macroalgae by marine environments, it is believed that algae and their associated endophytic symbionts represent a good source of structurally diverse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Despite the proven significance of active metabolites of algal endophytes, little have been exploited. This review highlights the latest discoveries in algicolous endophytic research,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bioactive metabolites from algal endophytes. Compoun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reported biological activities, like anticancer,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Present experimental evidence suggests that a majority of the bioactive metabolites were reported from Phaeophyceae followed by Rhodophyceae and Chlorophyceae. An intensive search for newer and more effective bioactive metabolites has generated a treasure trove of publications, and this review partially covers the literature published up to 2016.

Getting Emotional about Quality: Questioning and Elaborating the Satisfaction Concept

  • Lilja, John;Wiklund, Hakan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6권3호
    • /
    • pp.38-55
    • /
    • 2005
  • Consumption has generally become more fragmented, hedonic and individual specific, satisfying not only functional but also emotional needs. In parallel, customer satisfaction is now thought to be both a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and the closely related concept of job satisfaction is commonly seen as an emotional reaction. The reasoning within quality management does, however, still lean heavily toward cognitive judgements (i.e. performance ratings), the emotional component clearly being under explored. Further, performance variables have shown not to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satisfaction for certain 'experience products', the effect fully mediated by emotions. As a consequence a cognitive judgement based quality concept has lost its ability to predict satisfaction, which clearly contradicts with the modem quality definition, stressing quality as the ability to satisfy the customer. Emotions have however entered the quality discourse and it has been proposed that having customers that are merely feeling satisfied will not suffice. Instead, there has been a plethora of executive exhortations in the trade press calling on business to 'delight the customer'. Strategies for doing so have however usually been imprecise and unclear, and the different drivers of delight and satisfaction are not well explored. This paper aims to complement the previous cognitive dominance by exploring the multiple emotional responses involved in customer satisfaction. A conclusion being that we currently are measuring something, in terms of satisfied, that is more or less independent of what we aim for, in terms of delight. It is also most likely that - depending on the situation, product, and person - othe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re more important outcomes of purchase and usage than merely satisfaction. It is questioned whether a single, summary response such as satisfaction is feasible or even desirable.

건설기업 원가관리 패턴의 현황 및 변화 분석 (Patterns and Trends in Cost Control Practice of Korean General Contractors)

  • 정영수;주미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79-87
    • /
    • 2011
  • 원가관리는 가장 기본적인 건설관리 업무기능 중 하나로서, 전통적인 관리기법이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건설조직 또는 각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원가관리의 실무적인 세부기법들은 다소 다르게 적용되며, 이러한 세부기법의 선택적용은 발주방식, 경영전략, 기술전략, 그리고 현장여건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프로젝트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우리 건설기업은 지속적이며 급격한 환경변화에 적응하며 성장하여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차원의 원가관리 방법을 조사함으로써 현황파악과 함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원가관리는 '재무관점 원가' 뿐 아니라 '기술관점 원가'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본 조사는 기술적 관점의 원가로서 사업관리 기술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원가관리의 실무기능을 분류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을 작성하여 각 기업의 관리방법을 조사하였고, 마지막으로 설문응답을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총 45개 종합건설기업의 응답결과를 기업규모, 매출특성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Exploring Development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

  • 김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28-739
    • /
    • 2017
  • 이 연구는 노인계층의 재정적 자립과 지속적 사회생활을 통해 그들이 주체적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향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일자리 간 연계가, 노인들이 안정적인 일자확보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게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탐색을 통해 향후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일자리 기회가 비숙련직 중심으로 열려있으므로 표준화된 정규 편성된 프로그램과 연계되지 못하였고,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의 부족으로 인한 고용불안으로 이어졌다. 또한 노년층의 직업능력개발이 경제활동 목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여, 직업능력개발 관련 프로그램들이 취업과 직접 연계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문제를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연계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및 표준화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노인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관리 지원하여 교육기관과 일자리 간 연계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포용주택 공급을 통한 사회적 혼합 가능성 탐색 - 미국의 포용주택 제도를 중심으로 - (Exploring Possibilities of Social Integration in Inclusionary Housing: Focusing on Inclusionary Zoning in the United States)

  • 박미선
    • 지역연구
    • /
    • 제36권4호
    • /
    • pp.43-56
    • /
    • 2020
  • 본 논문은 미국 포용주택 제도를 중심으로 사회적 혼합 달성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계획고권을 활용한 포용주택 제도의 발생 배경과 운영방식, 사회적 혼합 달성의 효과 및 한계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주거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중심적 정책이 우세한 국가임에도, 주택가격이 높고 부담가능주택이 부족한 대도시 중심으로 포용주택 제도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용적률 보너스를 포함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정책대상이 되는 중저소득층이 부담가능하도록 주택을 공급하며 최대한 장기간 저렴하게 유지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사회적 혼합에 긍정적인 효과가 발견되고 특히 아이들의 교육 성취도가 높은 편이나, 유의미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여전히 그 성과가 실험중이다. 포용주택을 직접 해당부지에 건설하는 경우와 인근에 건설하는 경우로 나누어 사례분석한 결과 장단점이 모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택가격이 높고 빠르게 상승하는 대도시지역에서 중저소득층을 위한 부담가능한 주택공급 가능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뉴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배달 플랫폼 참여자의 사회적 이슈 분석 (Exploring Social Issues of On-demand Delivery Platform Participants)

  • 박수경;이현준;이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79-85
    • /
    • 2021
  • 코로나19 이후 배달 플랫폼에 참여하는 개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좀 더 나은 미래 설계를 위하여 한 개 이상의 소득원을 확보한다는 엔(n)잡러 세태와 맞물려, 더욱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해당 현상에 관한 학술적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시작된 2019년 1월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을 연구대상으로, 관련 뉴스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사회적 논의주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결과는 현상에 대한 소개, 참여자 속성에 대한 논의, 그들의 수익에 관한 관심, 좋은 일자리인지에 대한 담론,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우려라는 주제로 함축·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배달 플랫폼 비즈니스와 관련된 논의의 관점을 개인 참여자로 확대하여 현상을 체계적으로 조망하였다는데 의의가 존재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감성분석 결합을 통하여 특정 주제에 관한 긍정·부정 감성조망 등 해당 현상을 둘러싼 더욱 세밀한 사회적 담론 분석이 형성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