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Development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 Received : 2016.10.20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comes up with a practical direction of training program about a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to older adults for living an independent life including a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base. The aged people suffered from a employment uncertainty because the aged people's job opportunity is just opened to unskilled works and not related with a regular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program for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should be expanded and standardized. Also, there are less social agreement about older adult's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has a meaning above the purpose with economic activity. And the program should related with the employment. The direction of program for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to older adult should be the expansion and standardization of program. and should have the opportunity of sympathy about older adult's physical and social problem.

이 연구는 노인계층의 재정적 자립과 지속적 사회생활을 통해 그들이 주체적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향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일자리 간 연계가, 노인들이 안정적인 일자확보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게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탐색을 통해 향후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일자리 기회가 비숙련직 중심으로 열려있으므로 표준화된 정규 편성된 프로그램과 연계되지 못하였고,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의 부족으로 인한 고용불안으로 이어졌다. 또한 노년층의 직업능력개발이 경제활동 목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여, 직업능력개발 관련 프로그램들이 취업과 직접 연계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문제를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연계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및 표준화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노인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관리 지원하여 교육기관과 일자리 간 연계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하, 노인일자리 전환기적 과제와 중장기 발전 방향, '고령사회 대비 노인 삶의 질 향상 방안' 포럼 자료집, 2013.
  2. 정새날, 기업의 인력수급전략 및 고령인력 수요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6.
  3. 주성돈, 손호중, 정종원, 김명하, 김태훈, 유한정, 공공부문 노인인력 활용 확대 방안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4. 박경하, 하세윤, 윤남희, 강명수, 2011 노인일자리사업 운영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1.
  5. 박경하, 이현미,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
  6. 하세윤, 이현미, 2013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7. 한정란, 박성희, 원영희, 최일선,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4, No.1, pp.121-149, 2011.
  8.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편,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2015.
  9.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편, 2015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2016.
  10. 김신애, 여성노인 직업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노인일자리 사업 M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김은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일자리사업 교육만족도 및 교육 욕구 : 공익형, 복지형, 교육형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0.
  12. 이화정, 양병찬, 변종임,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학지사, 2005.
  13. 손유미, "고령자 고용촉진 정책과 향후 과제," 노인인력개발포럼, 제9호, pp.31-45, 2012.
  14. 이명희, 노인 취업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5. 기영화, 김남숙, "고령자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화 이론 모델정립 현장 사례 연구 : 노인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25-48, 2011.
  16. 김복미, 가정어린이집의 취사도우미(영양맘) 파견 사업에 대한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 청주시 가정어린이집 연합회, 2012.
  17. 기영화, 김남숙, 임경미, "고령자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의 사회적 자본화 이론 모델정립 기초 연구," 평생교육.HRD 연구, 제6권, 제3호, pp.29-44, 2010.
  18. 박성희, "직업생애사에 기반한 고령층 여성의 고용 가능성 지원을 위한 교육 복지 방안,"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2, No.4, pp.61-85, 2009.
  19. 김동배, 이윤화, 안인경, "노인의 소득창출을 위한 직업능력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107-127, 2004.
  20. http://media.daum.net/v/20140713180406564.
  21. http://media.daum.net/v/20140711055603476.
  22. http://media.daum.net/v/20160629174800899
  23. 원영희, 한정란, "교육복지 관점에서 본 노년기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평생교육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39-263, 2012.
  24. 김용수,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인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컬처 컨버젼스, 제4권, 제2 호, pp.71-90, 2013.
  25. 한정란, 원영희, 박성희, 최일선, "중년층과 노년층의 노인교육 요구,"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4호, pp.131-161, 2009.
  26. 김귀자, 한정란, "세대공동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8, No.2, pp.83-107, 2005.
  27. http://media.daum.net/v/20140805035303499.
  28. 배문조, 박세정 "인턴십 연계모델을 통한 노인일 자리 창출 방안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81-99, 2012.
  29. 선태무, 최은수,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에 대비한 평생교육정책 분석과 정책개발 탐색," 평생교육.HRD연구, 제8권, 제1호, pp.83-105, 2012.
  30. 손신, 신효진, "노인직업훈련프로그램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31집, pp.105-137, 2011.
  31. http://media.daum.net/v/20150203030707890.
  32. 신계수, 권승숙,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만족도가 사업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 벤처창업연구, 제10권, 제5호, pp.105-115, 2015.
  33. 정종보, 임왕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35-35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335
  34. 한정란, 노인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3.
  35. 홍석태, 양해술,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8권, 제5호, pp.287-199,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