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objective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2초

제 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 분석 (An analysis of strand map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on the 7th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biology)

  • 김영신;김후자;손종경;정재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3-71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생물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학년에서 7개의 중요한 영역인 세포, 식물의 형태와 기능, 동물의 형태와 기능, 유전, 생물의 다양성, 진화, 생태와 환경 영역을 분석하였다. 목표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포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를 포함해서 저학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너지 대사 개념이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초등학교에서 에너지 대사 개념을 학습할 때 에너지 개념은 다루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와는 달리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과서들이 식물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주요 개념들을 다루고 있다. 셋째, 유전과 진화와 같은 개념이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중학교 이상인 고학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생물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유전과 진화가 학년간의 연계성이 없어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개념들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생물의 다양성, 생태와 환경, 진화 그리고 식물의 형태와 기능 영역이 일부 학년 수준에서만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초중고의 모든 학년을 통하여 수업 목표간의 연계성을 알아보는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기 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y)

  • 이승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7-5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을 정보활용교육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모형은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게 도서관의 시설, 자료, 인적자원, 정보문제 해결과정, 협동수업 및 블렌디드 학습,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등이 고려되었다. 수업 모형은 "학습목표 설정${\rightarrow}$학습자 분석${\rightarrow}$학습환경 분석${\rightarrow}$학습과제 분석${\rightarrow}$교수 전략${\rightarrow}$매체 선정 및 개발${\rightarrow}$수업적용${\rightarrow}$평가"의 순서로 개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스마트러닝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Comparis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2007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7th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위수민;김보경;조현준;손정주;오창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0-21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objectives in elementary science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compare the classified data of 2007 revised curriculum with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a view of creative objectives. For the purpose, the frame and manuel was developed to classify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ird- to forth-grade level were classified through the frame.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bjectives, stated in elementary science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biased to the 'conceptiona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and the 'underst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the remaining dimension of the Bloom's revised taxonomy is very scanty. Comparing with 7th national curriculum,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objectives system has not conspicuous improvement in creativity area. It was suggested to improve present objectives system, because of give learners more experience to opportunity about creativity.

능력 중심 교육의 가치가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운영 개선에 주는 시사점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alu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김희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3-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improve the industrial high school through the inquir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CBE).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1)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dustrial high school must be based on job analysis. (2) Instructional objectives must be defined as a performance objective and enabling objectives. (3) Instruction must be individualized in method, the instructional contents must be organized in the unit of module. (4) Evaluation system must be not knowledge based but performance-based. (5) Physical Environment of work shop must be organized based on facilities, equipments and machines abstracted by job analysis. (6)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CBTE) program is required to train competent teachers in practice.

대학교수자용 웹기반 수업설계 시스템 (An Implementation of Web-based Instructional Design System for University Instructors)

  • 간진숙;이칭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3호
    • /
    • pp.222-232
    • /
    • 2010
  • 본 연구는 교수자들이 효율적인 수업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수업설계 과정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업설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제적으로 정교화된 Dick & Carey 수업설계 모형과 매체 활용을 위한 ASSURE모형을 수업설계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였다. 이 시스템의 모듈은 과목별 수업설계 모듈, 차시별 수업설계 모듈, 포트폴리오 모듈 등 3단계로 정의하였으며 각각의 단계별 모듈을 활용하여 수업설계에 필요한 요소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각 단계별 수행 시 정의와 예시 등을 안내하여 교수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포트폴리오 모듈에서는 수업설계 작업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개별 교수자의 수업설계 결과를 축척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지속적인 수업개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서 이제까지 수업활동에 대해 교수자 개인별 경험 및 주관적 판단에 의해 수업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체제적으로 수엽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기반 수업설계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 개발 후 지속적인 워크숍을 통해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실제 수업현장에서 사용한 것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고 세분화된 수업설계 시스템의 요구와 수업설계 시 단계별 선택 방법을 사용자 중심으로 가능하도록 요구하였으며 나만의 공간인 포트폴리오 기능을 더욱 강화해야하는 등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e-Learning 교수설계자 자격종목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item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 나현미;장혜정;정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69-182
    • /
    • 2009
  • 산업자원부(현(現), 지식경제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에서 실시한 2005년도 e-Learning 산업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61.1%의 기업이 평균 3.1명의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직종별로 살펴보면 교수설계자가 부족하다는 응답은 32.8%로 가장 많았다. 늘어나는 산업규모에 대비하여 e-Learning 인력수급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는 e-Learning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양성하는 공급 구조가 변화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족한 e-Learning 인력의 공급을 늘리는 한편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e-Learning 전문 자격제도의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수요가 높은 교수설계자를 중심으로 기업 e-Learning 전문 인력 자격 종목 개발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기업과 학교 및 관련 기관의 의견수렴과 전문가의 검토 등을 통하여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에 대한 규명과 이에 따른 자격 종목의 선정과 직무내용, 검정방법 및 출제기준 등을 제시하여 현장 활용도가 높은 자격 종목을 개발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Concepts that Should be Taught to Achieve Class Objectives of Genetics Unit in Biology

  • Lim, Soo-Min;Kim, Jeong-A;Sonn, Jong-Kyung;Jeong, Jae-Hoon;Kim, Young-Shin;Song, Ha-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67-782
    • /
    • 2009
  • The researchers who are studying biology and teachers who are teaching biology think that the genetics-related concepts are highly significant than other concepts in biology. With such background, researches on the identification of major concepts have been under way to guide in biology class. Minim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on what concepts should be taught to achiev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class in relation to the unit of genetics in middle and high school.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concepts of genetics that should be taugh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genetics unit in secondary school. For this purpose 5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genetics unit on the 9th grade and 4 instructional objectives of Biology I were selected and the concepts that were taught to achieve class obj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4 science teachers from middle schools and 85 biology teachers from high schoo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9.1 and 10.2 concepts on average were taught in the 9th grade and in Biology I respectively. Moreover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ncepts that were taught according to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ppeared amo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p<.05). But such statistical difference did not appear among the high school teachers (p>.05). Furthermore the concepts for the 9th grade consist of the basic genetics concepts although Biology I concepts were integrated and advanced contents for same concepts. Thus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ncepts of genetics units to be taught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n linkage.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nd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Promoting Inquiry Competence)

  • 조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73
    • /
    • 1992
  • In response to epoch-making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innovative curricular materials have been begun to develop since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However, the new inquiry-centered materials have failed to be successfully used in teaching/learning practices of science. Among the various reasons for the failure, the very nature of the inquiry approach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problem. Nevertheless, fostering inquiry facultie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of science i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practical inquiry-oriented instructional method. In order to obtain this goal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was analyzed and the status quo of science education in which inquiry-oriente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applied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is paper.

  • PDF

소프트웨어 제작 분야의 성취 목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Software Developing Education)

  • 정영식;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5-193
    • /
    • 2014
  • 소프트웨어 제작 교육은 미래의 IT 기술을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컴퓨터와 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치는 교육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국, 미국, 인도, 에스토니아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정보 과학의 한 영역으로서 소프트웨어 제작 분야의 성취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를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2~3개의 세부 영역과 그에 따른 성취 목표를 제시하였다.

성과중심교육을 위한 옥내배선설비공사 수업 설계 교재 개발 (Course Design Manual Development on the Job of Indoor Wiring Installations Using ISD and DACUM process for Work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김세동;김효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논문집
    • /
    • pp.363-368
    • /
    • 2002
  • Performance-based course design on the job of receiving substation installations is presented to achieve a work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t includes a job analysis method called ISD(Instructional Systems Design & Development) and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which is designed to accept various requirements of industrial fields. It is provided with course profile, key contents, terminal learning objectives, intermediate learning objectives, instruction strategy, instruction sequence, case study, action learning and lesson pl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