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lementation of Web-based Instructional Design System for University Instructors

대학교수자용 웹기반 수업설계 시스템

  • Received : 2009.03.16
  • Accepted : 2009.12.15
  • Published : 2010.03.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help university professors for making their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easily and scientifically. To increase of learner's studying ability, the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is imperative. But most of university professors could not get proper experiences to know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system, specially to develop web-based system. This new system made it possible to select the proper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media type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data. And also every professor who is involved to know this system, can put informations for the target learners,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objectives, and present the proper media types and the many different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the each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inally, the results of the learner's study will be effective and professors showed their positive opinions for the using of the system.

본 연구는 교수자들이 효율적인 수업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수업설계 과정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업설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제적으로 정교화된 Dick & Carey 수업설계 모형과 매체 활용을 위한 ASSURE모형을 수업설계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였다. 이 시스템의 모듈은 과목별 수업설계 모듈, 차시별 수업설계 모듈, 포트폴리오 모듈 등 3단계로 정의하였으며 각각의 단계별 모듈을 활용하여 수업설계에 필요한 요소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각 단계별 수행 시 정의와 예시 등을 안내하여 교수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포트폴리오 모듈에서는 수업설계 작업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개별 교수자의 수업설계 결과를 축척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지속적인 수업개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서 이제까지 수업활동에 대해 교수자 개인별 경험 및 주관적 판단에 의해 수업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체제적으로 수엽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기반 수업설계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 개발 후 지속적인 워크숍을 통해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실제 수업현장에서 사용한 것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별 특성에 따라 다양하고 세분화된 수업설계 시스템의 요구와 수업설계 시 단계별 선택 방법을 사용자 중심으로 가능하도록 요구하였으며 나만의 공간인 포트폴리오 기능을 더욱 강화해야하는 등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영만, e세상, e러닝, 서울: 한언, 2007.
  2. 김신자, 효과적인 교수설계, 서울: 문음사, 1998.
  3. 박기용, 강이철, 설계의 본질에 기반한 교수설계의 정체성 성찰,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1호, pp.6, 3-96, 2007.
  4. 박기용,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와 원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4호, pp.1-30, 2007.
  5. 이칭찬, 신민희, 신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동문사, 2005.
  6. Gagne, R. M., Briggs, L. J. & Wager, W. W.,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2.
  7. 최수영, 백영균, 설양환 공역, 체제적 교수 설계,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3.
  8. 설양환 외 공역,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8판,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6.
  9. Gagne, R. M., Conditions of learning(4th ed.), New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5.
  10. 김형립 외 편역, 체제적 교수설계-이론과 기법, 서울: 교육과학사, 1993.
  11. 김동식, 교수설계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개념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11권, 제2호, pp.51-86. 1995.
  12. 김선희, 정순영, 웹기반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8권, 제2호, pp.53-60, 2005.
  13. Kemp, J., Morrison, G. & Ross, S., Designing effective instruction, NewYork: Merrill, 1994.
  14. 박기용, 최규린, 교수설계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과 실천, 중등교육연구, 56(1), pp.75-104, 2008.
  15. Wedman, J. & Tessmer, M., Instructional designer's decisions and priorities, A Survey of design practic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5(6), pp.5-23. 1993.
  16. Winer, L. R. & Vazquez-Abad, J., The present and future of ID practic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8(3), pp.55-67. 1995.
  17. Visscher-Voerman, I. & Gustafson. K. I., Paradigms i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52(2), pp.69-89, 2004. https://doi.org/10.1007/BF02504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