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e (salar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4초

도시가계의 10분위별 외식비 지출행태 분석 (An Analysis of Eating Out Expenditure Behavior of Urban Households by Decile Group)

  • 최문용;모수원;이광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20-7830
    • /
    • 2015
  • 우리나라 도시근로자의 가계소득과 외식비는 함께 증가하고 있으나, 시간이 경과와 더불어 가계소득에 비해 외식비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계소득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도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외식비 지출패턴의 변화는 소득계층에 따라서도 달라 외식비가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이후 감소하나 10분위의 외식비 비중이 가장 낮고 1분위의 비중이 가장 높다는 것과, 외식비 비중의 표준편차도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작고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크다는 것을 보인다. 외식비모형에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소득계수가 모두 유의하며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계수의 크기가 작다는 것과 외환위기는 1분위와 10분위를 제외하고 음의 부호로 유의하다는 것을 밝힌다. 1분위와 2분위에서는 계절에 따른 외식비 변화가 없으며,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계절에 따른 외식이 분명해진다는 것도 제시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른 외식비 패턴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향적 이동회귀를 실시하여 단순 추정에 따른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외식비의 소득탄력성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외식비를 분산분해하여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에서는 소득이 중요한 변수이나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에서는 소득 이외의 요인들이 외식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인다.

최저임금 조정이 노동자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imum Wage Adjustment on Working Hours and Labor Income of Workers)

  • 신우리;송헌재;임현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42권1호
    • /
    • pp.73-10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고려하여 산정한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노동자의 비율이 임금노동자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 내 최저임금 영향자의 비율이 1%p 늘어날 때 최저임금에 영향을 받는 노동자들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약 1.3시간 줄어들며, 월평균 급여는 약 1.4만 원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이 최저임금에 적용을 받는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노동비용의 상승을 상쇄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노동자들의 노동소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 PDF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irst Job Exit)

  • 황광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41-7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직업력자료(1~12차 : 2007~2018년)를 이용하여 임금근로자의 첫 일자리 취업 특성과 지속기간 분포를 살펴보고,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을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상용직 근로자의 이탈 가능성이 임시/일용직 근로자에 비해 낮고, 전공일치도가 높은 집단은 전공불일치 집단보다 이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탈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저소득 취업자의 이탈 가능성이 매우 큼을 반증하고 있다.

  • PDF

가계저축규모의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Family Savings)

  • 양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1-215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family savings. Family savings were defined in four ways such as monthly savings, average propensity to save, financial assets, and net financial assets.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dealt with were family income, household size, number of earners, age, occupation, education, housing tenure, and urbanization.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Survey of Family Finance 1990. The main statistical method was multiple regression. Family income was found to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determine four family saving variables holding other characteristics constant. Also, household siz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savings. Two-earner households were found to have high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and less financial assets compared to single-earner households. Fro monthly savings and average propensity to save, the households with forties andfifties household head tended to be less than others, while financial asset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age of household head. Compared to salary earner households, blue-colored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low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and the households with professionals had significantly higher financial assets. The college-graduated households tended to have less monthly savings than the elementary-graduated households. Also, the housing renters were found to have more monthly savings and high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compared to the housing owners.

  • PDF

가구주 학력이 외식수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hold Head on Eating-out Demand)

  • 김영숙;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07-1413
    • /
    • 2005
  • 본 연구는 총 가구주의 교육정도가 외식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식료품에 대한 교육계층별 지출패턴을 조사하여 외식에 대한 지출구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득에서 식료품에 대한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구주가 무학일 경우 가장 높고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낮아져 대학원 졸업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교육계층에서 외식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외식문화가 보편화${\cdot}$대중화되어 낮은 교육계층에는 외식비가 가계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외식수요함수를 추정한 결과 외식가격상승은 무학과 대학원졸을 제외한 교육계층에서 외식수요를 감소시키고, 소득증가는 모든 교육계층에서 외식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모든 교육계층에서 소득계수가 가격계수보다 커서 가격보다 소득이 외식수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간에 따른 외식 수요 패턴을 보기 위한 전향적 이동회귀는 소득과 가격의 영향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외식의 단기적 특성을 보기 위해 충격반응함수를 도입한 결과는 모든 교육계층에서 가격충격은 외식수요를 감소시키며, 소득충격은 외식수요를 증가시키나, 가격충격은 소득충격에 비해 외식수요에 미치는 충격의 크기도 대단히 작았다.

도시 근로자가계의 가족생활주기별 소비지출 분석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and Family Life Cycle)

  • 노윤주;이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권1호
    • /
    • pp.27-4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over family life cycle. The data used in the study is the 1994 Survey data from Annual Report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he study sample included 26,980 salary and wage earners’ households living in cities. The family life cycle was classified into six stages and items of expenditure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Frequency distribution, mean, one-way ANOVA, Scheff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average consumption propensity differs among family life cycle. Second, the amount and budget share of consumption expenditure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differ significantly among family life cycle in all expenditure categories. Third, family life cycle i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on expenditure of food and education, and also on budget share of education.

  • PDF

서울과 부산지역 특급호텔 조리사 직무만족 요인들의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Cooks' Job Satisfaction in Luxury Hotels in Seoul and Busan)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62-272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job satisfaction of cooks working in the luxury hotels in Seoul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ose in Busan.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randomly chosen luxury hotels located in both areas. Out of 264 cook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130 and 134 turned out to be from Seoul and from Busan, respectively. SPSS 14.0 version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to combine job satisfaction variables, identifying five factors; competence development, work environment, salary and employee benefits, co-worker relations, superior relations. While this study used t-test for identifying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ities and between the part of demographic variables, ANOVA was applied in othe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education, age, job position, and income.

  • PDF

PERFORMANCE OF SMALL SCALE LIVESTOCK/CROP DEMONSTRATION-CUM-TRAINING FARMS IN SRI LANKA

  • de Jong, R.;Kuruppu, L.G.;Jayawardena, Q.W.;Ibrahim, M.N.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571-582
    • /
    • 1994
  • Three livestock/crop demonstration-cum-training farms have been established on plots of half, one and two acres, typical of the "Kandyan Forest Garden System" Vegetables, bananas, pepper, coffee, coconut and fruit trees are widely spaced, for intercropping with grass, and have been surrounded with live fences that also provide fodder for livestock to increase the family income. Each unit is operated by a selected employee and his family under a monthly incentive scheme based upon the gross margin. On these farms the technical parameters in dairying are better than elsewhere in the Mid-Country. Economic performance over 1985-1992 showed that dairying contributed most to the total gross margin of the half, one and two acre units, i.e. 31, 63 and 69%, respectively. Next came crops (29%, 37% and 19%), poultry (22%, 0% and 9%), and goats (18%, 0% and 3%). In the three farms the cash income per Sri Lankan Rupee spent was 1.5, 4.6 and 2.1, respectively. The overall ratio was 3.2 for dairying, 1.1 for poultry, 4.5 for goats and 9.9 for crops. Actual family labour in the three farms was 548, 548 and 639 days, compared to the 270, 330 and 440 days anticipated in the initial feasibility study. The average incentive payments, which were 20% (half acre), 61% (one acre) and 133% (two acres) of the parastatal salary of the employee, were only insufficient for the extra labour applied in the half acre unit. Dairying and goats proved to be attractive cash earners with a domestic fuel were important benefits. Poultry did little to improve farm income.

강원지역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영양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 in Primary School and High School)

  • 이정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from their regular duties, the current status of food distribution to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itians and their governing authorities. Dietitians of primary school had higher score on direct management and working career. High school dietitian had higher scores on consignment management, freedom in amount of food distribution and number of meals a day. The highest score was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oworkers and the lowest score was on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salary. In general, dietitians in all schools are not satisfie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lary. Depending upon the duty ti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ir dutie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ture of duties and the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average income. Even though they got paid less, they felt satisfaction because of the less working times. The amount of labor for those in primary schools was more than the one for dietitians in high schools. It is likely that they got more satisfied when other related People feel satisfied with their own things and duties based on the nature of the duties, discretion of duties, professionalism, relationship with other coworker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It is to develop the nature of the duties for all the dietitians in order to launch the new and right ideas in meal plans for students. It is also to promote and uphold th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t management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the stable human resources. Assuming we will come up with a wide and broad nationwide survey, and further research shall be more reliable and objective than any others.

울산 일부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Job Stress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 김지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7-345
    • /
    • 2008
  • 본 연구는 울산지역 일부 치과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파악하여 스트레스 주원인과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68명 중 연령은 25세 이하가 66.1%였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87.5%였다. 업무영역에서 진료 담당이 86.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현 직장 근무경력별로는 1~4년 미만이 47.6%로 가장 높았다. 월평균 보수는 100~150만원 미만이 63.7%, 1일 평균 근무 시간은 8시간 이하가 57.1%였으며 주 5일 근무를 실시하는 경우가 58.3%, 야간 진료를 실시하는 경우가 78.0%였다. 2.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물리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25세 이하가 26세 이상보다 높았으며(p < 0.05), 월평균 보수가 적을수록(p < 0.05), 하루 평균근무시간이 길수록(p < 0.01) 높았다. 직무요구로 인한 스트레스는 야간 진료를 실시하는 종사자(p < 0.05)와 주5일 근무를 실하는 종사자(p < 0.05)가 높았다. 직무자율로 인한 스트레스는 현 직장 근무경력이 많을수록(p < 0.01), 월평균 보수가 많을수록 높았고(p < 0.01), 직무 불안정에 인한 스트레스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다(p < 0.05). 조직체계 스트레스는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많을수록(p < 0.05) 높았고, 직장 문화로 인한 스트레스는 25세 이하가 (p < 0.01), 월평균 보수가 많을수록(p < 0.05), 주 5일 근무를 실시하는 종사자가 높았다(p < 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