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irst Job Exit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 분석

  • Received : 2020.02.25
  • Accepted : 2020.04.08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this study, using the job history data of the Youth Panel(1-12th year: 2007 ~ 2018)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t is found that characteristics and duration distribution of first jobs of wage and salary worker, and estimated the factors of first job exit by utilizing surviv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ular workers are less likely to leave their first jobs than temporary/daily workers. In addition, the group with a high degree of major congruence was found to have a lower chance of leaving the first job than the group with a major mismatch. 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departure, which shows that the possibility of leaving low-income workers is very high.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직업력자료(1~12차 : 2007~2018년)를 이용하여 임금근로자의 첫 일자리 취업 특성과 지속기간 분포를 살펴보고,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을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상용직 근로자의 이탈 가능성이 임시/일용직 근로자에 비해 낮고, 전공일치도가 높은 집단은 전공불일치 집단보다 이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탈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저소득 취업자의 이탈 가능성이 매우 큼을 반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기욱. 직원 이직률과 기업성과의 관계: 고성과자와 비고성과자의 이직률을 고려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16권 1호(2016): 1-26. https://doi.org/10.22914/JLP.2016.16.1.001
  2. 김경휘. 정규직 청년근로자의 고용특성 및 정규직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권(2009): 25-57.
  3. 김미란.민주홍. 대학졸업생의 노동시장 안착과정과 전공별 차이. 직업능력개발연구 14권 1호(2011.4): 117-146.
  4. 김안국.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노동경제논집 28권 3호(2005.12): 39-76.
  5. 김은석. 청년근로자의 직무만족이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권 3호(2014): 47-64.
  6. 김유빈.최충. 청년층 노동시장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7.
  7. 김정숙. 대졸자들의 취업준비 활동의 차이 및 직업이행 효과. 교육과학연구 40권 1호 (2009): 141-165.
  8. 나인강. 이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5권 1호(2011):23-48.
  9. 문영만.홍장표. 청년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산업노동연구 23권 2호(2017): 195-230.
  10. 안준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초기 안전성에 관한 연구. pp. 1-59. 한국고용정보원, 2015.
  11. 오성욱.이승구.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이 직무적합도 및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권 제2호(2009): 1-19.
  12. 윤윤규.김유빈.오선정.강동우.김세움. 청년 고용.노동시장의 현황, 문제점 및 정책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17.
  13. 이병희. 노동시장 이행 초기 경험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2권 제1호 (2002): 1-18.
  14. 이승구.이제경. 한국 대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1권 3호(2008): 1-25.
  15. 이승렬.김세움.김진영.성재민.오선정.홍민기. 청년층 노동시장정책의 종합적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7.
  16. 이영민.임정연.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결정요인 및 효과분석. 기업교육연구 12권 1호(2010.6): 129-153.
  17. 조대연.두민영.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기업교육연구 18권 1호(2016.6): 29-56.
  18. 최지원. 대졸자의 첫 일자리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와 개인특성, 취업준비 특성, 첫일자리 특성 및 첫일자리 성과의 관계. 직업능력개발연구. 21권 2호(2018.7): 1-30. https://doi.org/10.36907/KRIVET.2018.21.2.1
  19. Batt, R., and A. J. S. Colvin. "An Employment Systems Approach to Turnover Human Resources Practices, Quits, Dismissals,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4(4) (2011): 695-717 https://doi.org/10.5465/amj.2011.64869448
  20. Eckardt, R., Skaggs, B. C., and M. Youndt. "Turnover and Knowledge Loss: An examination of the differential impact of production manager and worker turnover in service and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51(7) (2014): 1025-1057. https://doi.org/10.1111/joms.12096
  21. Hancock, J. I, Allen, D. G., Bosco, F. A., McDaniel, K. R., and C. A. Pierce. "Meta-analytic Review of Employee Turnover as a Predictor of firm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39(3) (2013): 573-603. https://doi.org/10.1177/0149206311424943
  22. Hausknecht, J. P. and C. O. Trevor. "Collective Turnover at the Group, Unit, and Organizational Levels: Evidence, Issue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Management 37(1) (2011): 352-388. https://doi.org/10.1177/0149206310383910
  23. Kwon, K., Chung, K., Roh, H., Chadwick, C. and J. J. Lawler.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ntex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Turnov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 Human Resource Management 51(1) (2012): 47-70. https://doi.org/10.1002/hrm.20433
  24. Light, A. and K. McGarry. "Job Change Patterns and the Wages of Young Me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0(2) (1998): 276-286. https://doi.org/10.1162/003465398557519
  25. Neumark D. "Youth Labor Markets in the U.S.: Shopping Around vs Staying put." NBER Working Paper No.658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