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competence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6초

119구급대원의 자기계발 교육이 업무능력,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elf-Help Education on Job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119 Paramedic's)

  • 김소라;문태영;최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0-49
    • /
    • 2021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이 업무능력,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구급대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직무의 전문성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강원 및 대구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19구급대원 성인 남녀 205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2일부터 8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 업무능력 및 직무 만족도, 삶의 질 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이 업무능력(개인적 영역), 직무 만족도(개인적 영역, 조직적 영역, 전문적 영역), 삶의 질(개인적 영역, 전문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1, p<.001). 119구급대원들의 삶의 질에는 업무능력(고객 지향성, p<.01), 직무 만족도(상관 및 동료, 전문성, p<.001)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할 때,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 활성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과 전공만족도간의 관련성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윤미혜;지민경;신민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83-19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과 전공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치위생전공 대학생활과 높은 질적 수준의 치과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예비 전문 치과위생사로써 증진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 8일부터 2019년 4월 26일까지 대전·청주·군산지역의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감성지능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와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유능성과 전공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전공만족도의 영향 요인은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 임상실습 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각 개별화된 맞춤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며,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훈련프로그램을 접목시킨 다차원적인 향상 전략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화학 수업의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 in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 양희선;김미영;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159-1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 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을 위한 교육 전략으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화학 수업 프로그램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에서의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가 화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지식 이해', '공감', '관점 공유', '아이디어 생성', '1차 프로토타입', '1차 검증', '2차 프로토타입', '2차 검증'의 총 8단계로 수정·보완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성취기준을 선정하고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주제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4가지 주제가 개발되어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3월에서 8월까지 화학I시간에 적용하고, '공감', 'STEAM교육역량', '문제 해결 과정' 검사를 토대로 수업 장면에 대한 질적 데이터 분석과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학수업에서의 '공감'요소는 타인과의 공감과 문제 상황과의 공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STEAM교육역량'에서는 과학, 디자인 역량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문제 발견, 문제 정의, 문제 해결책 고안, 문제 해결 검토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자인씽킹 기반 화학 수업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융복합 다문화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onvergence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Competence and Empathy for Nursing Students)

  • 이창금;박연숙;이혜경;이금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37-34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다문화간호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실험군은 J시 소재 간호학과 3학년 45명, 대조군은 K시 소재 간호학과 3학년 40명, 총 85명이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PC를 이용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동질성 확인은 $x^2$ test와 t-test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차이는 paired t-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실험군의 경우 중재 전 3.07에서 중재 후 3.69로 유의하게(p< .000) 증가했고, 대조군은 중재 전 3.16에서 중재 후 3.23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p<.000)가 있었다. 공감능력은 실험군은 중재 전 3.14에서 중재 후 3.50로 유의하게((p<.000)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중재전 3.10에서 중재후 3.1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p<.000)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융복합 다문화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구조의 개선에 대한 제안 : IT서비스 및 솔루션 기업을 중심으로 (An Suggestion of the Software Industry Structure Improvement in Korea : Focusing on the IT Service and Solution Provider Firms)

  • 안연식;문송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1호
    • /
    • pp.165-176
    • /
    • 2014
  • This paper was tried to show the improvement model for software industry structure in Korea regarding to have the global level of competence in Korean software fir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model for software industry structure, the detailed status about software industry which as in the supply and demand perspectives and comparativeness dimension were analysed. Also to this model the special survey results from the 35 professionalists in the software industry were included. This improvement model suggests the big software firms have to consider the economy of the scale, and to enter global IT market, the other SMEs have to pursuit themselves as a specified technology firms. So it is good for the oversea project collaboration with the solution provider firms and IT service firms. And it is desirable to make a the economy of scale regarding as the solution venture startup, M&A, networking the software firms as supply chain. Also the development of new business model for new market and firms with the high-tech business competency will be required.

직업기초능력강화 융복합 기본간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Convergence Fundamental Nursing Program with Empowering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 백경화;서형은;조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03-311
    • /
    • 2019
  •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강화 융복합 기본간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본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이해, 공감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이다.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12월 사이 15주 동안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G시 G대학 간호학과에서 기본간호학이론과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기초능력강화 융복합 기본간호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t=-3.452, p=.001), 대인관계 이해(t=-5.405, p<.001) 및 공감역량(t=-7.226, p<.001)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 맞춤형 직업기초능력을 연계한 직업기초능력강화 기본간호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 직무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공교과목에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한국항공운항학회 항공서비스전공 문제기반학습 적용 교과목의 학습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 in Aviation Service Major)

  • 김하영;유정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69-18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ass effect of subjects to which Problem-Based Learning is applied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at university in Chungcheong. And we derive implications for continuously operating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For the study, <Service Manners and Practice>, <Theory of Air Reservation Operation & Practice>, and <Introduction to In-flight Food & Beverage> were selected among the courses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ref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ies to which the study students belonged. First, we analyzed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before and after classes by reflecting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ies to which the study students belonged. As a result, all item except for interpersonal skills were improved.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egree of learning improvemen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 journal written during learning pre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for learning abilities such a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중간결과 평가지표 설정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for Intermediate Outcomes from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김현수;김경량;최윤상;정해동;전택기;홍찬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29-435
    • /
    • 2005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indices in order to make an objective and effective evaluation of achievements in the first stage of operation of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RVDP) (the first 3 years of its ope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valuation purposes are expansion of income-generating bases,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 strengthening of village's competence and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project's management system. 2. Evaluation items for the first three evaluation purposes, which are income-generating bases,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 and strengthening of village's competence, are record of performance and substantiality in project's operation, results from operation, and capability in managing the project. Those for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project's management system are participation of habitants and the projects's management system. 3. A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indices which can evaluate the state of operation in the interim of the project's operation and outcomes generated by then, the evaluation indices are selected by considering those criterions of representativeness, accessibility, usefulness and reliability. 4. As the indices developed in this study efficiency evaluate the process of project's operation and thus evaluate basically the project's operation on the basis of its efficiency. But, considering the purposes of the RVDP, it is included for the overall project's management system and plans for managing activities of the project to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effectiveness.

  • PDF

The 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of the Aged and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Level through Complex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 Zoo, Suk-Bum;Choi, Yoo-Rim;Sim, Ki-Cheol;Kim, Mi-Jung;Choi, Wan-Suk;Koo, Ja-Pung;Lee, Suk-Hee;Lee, Sang-Bin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4-22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effects that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sit up, push up) that everyone can easily practice regardless of a time and a place in order to manage practically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aged affects the difference on their body composition and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level. Looking into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of an experimental group, the weight of 2.5kg was reduced after applying complex training for 12 weeks and the body fat mass of 2.65kg was reduced. Also, the abdominal fat of 0.13% was decreased and the muscle mass of 1.56kg was increased. For the change factors of physical fitness,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balance and flexibility excluding ag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applying complex exercise training. The improvement of health fitness of the aged under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specified body functions which had been lowered by aging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So, it is regarded that their health fitness is the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activity competence required for daily life and to lead healthy living by the improved activity competence. Henceforth, it needs to study more the complex composition of several sports, exercise intensity and the frequenc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In addition, it needs to develop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 sex of the aged, an age, a physical fitness level, environment, a disease and the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during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