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ate film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관능기화 그래핀 및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s of Functionalized Graphenes and Reduced Graphene Oxide)

  • 문현곤;장진해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65-271
    • /
    • 2011
  • Hummers와 Offeman 방법을 이용하여 흑연으로부터 graphene oxide(GO)를 합성하였다. Hydrazine hydrate를 사용하여 GO를 환원시켜 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합성하였으며, 말단에 amine이 치환된 유기화제를 사용하여 관능기화 그래핀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GO, RGO, 그리고 관능기화 그래핀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TIR과 $^{13}C$ NMR를 이용하였다. 합성된 시료들의 안정성, 모폴로지 및 다양한 유기용매 내에서의 분산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AFM 사진으로부터 GO와 RGO는 한층 또는 두층 두께의 그래핀으로 이루어졌으며, 관능기화 그래핀들의 평균두께는 약 2.26~3.30 nm임을 알았다. 관능기화 그래핀들의 열 안정성은 RGO보다 낮았다. 관능기화 그래핀들은 용액상태에서 흑연의 특성 피크가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클로로포름과 톨루엔에 좋은 분산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라이 애쉬 첨가 시멘트 페이스트외 염화물 고정화율 (Chloride Binding Capacity of Fly Ash Cement Pastes.)

  • 이순지;소형석;소승영;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5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6-110
    • /
    • 1995
  • Chloride ion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common culprits in the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It breaks down the passive film and allows the steel to corrode actively at a high rat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ritical chloride ion concentrations in the pore solutions and chloride binding effect of cement pastes made with and without fly ash. Cement pastes with water-ratio of 0.5 allowed to hydrate in sealed containers for 28 days and to express poresolution. T도 expressed pore fluids were analyzed for chloride and hydroxyl ion concentrations. It was found that the replaced cement with fly ash have little effect on Chloride binding capacity ratio.

  • PDF

PMMA 보호막을 이용한 용액 공정 기반의 인듐-이티륨-산화물 트랜지스터에 관한 연구 (Study on Solution Processed Indium-Yttrium-Oxide Thin-Film Transistors Using Poly (Methyl Methacrylate) Passivation Layer)

  • 김한상;김성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7호
    • /
    • pp.413-416
    • /
    • 2017
  • We investigated solution-processed indium-yttrium-oxide (IYO) TFTs using a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passivation layer. The IYO semiconductor solution was prepared with 0.1 M indium nitrate hydrate and 0.1 M yttrium acetate dehydrate as precursor solutions. The solution-processed IYO TFTs showed good performance: field-effect mobility of $13.13cm^2/Vs$, a threshold voltage of 8.2 V, a subthreshold slope of 0.93 V/dec, and a current on-to-off ratio of $7.2{\times}10^6$. Moreover, the PMMA passivation layers used to protectthe IYO active layer of the TFTs, did so without deteriorating their performance under ambient conditions; their operational stabil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also improved by decreasing leakage current.

셀룰로오스-NMMO 수화물 용액의 압출가공 조건에 따른 셀룰로오스 분자량과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Cellulose Molecular Weight and α-Cellulose Content by the Extrusion Conditions of Cellulose-NMMO Hydrate Solution)

  • 김동복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62-372
    • /
    • 2013
  • 새로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NMMO pre-dope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 및 필름 제조를 위한 압출가공 시 열분해 및 기계적 분해에 따른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및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속분쇄에 의해 제조된 pre-dope를 압출기에 통과시켜 용액으로 제조할 때 가공온도, 셀룰로오스의 농도 및 체제시간에 따라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및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셀룰로오스의 분자량과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은 셀룰로오스의 농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셀룰로오스 농도 15% 및 짧은 체제시간 영역에서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은 높은 전단으로 인해 온도가 높을수록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다양한 가공조건으로부터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변화 거동은 분자량 변화와 다른 거동을 보였으며 셀룰로오스 용액 제조를 위한 압출가공조건이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해질 농도가 양극산화와 열수처리한 Ti-6Al-7Nb 합금의 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NODIZED AND HYDROTHERMALLY-TREATED TI-6AL-7NB ALLOY)

  • 장태엽;송광엽;배태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4-693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Ti-6Al-7Nb alloy is used instead of Ti-6Al-4V alloy that was known to have toxicity.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nodized and hydrothermally-treated Ti-6Al-7Nb alloy Materials and methods: Discs of Ti-6Al-7Nb alloy of 20 mm in diameter and 2 mm in thickness were polished sequentially from #300 to 1,000 SiC paper ultrasonically washed with acetone and distilled water for 5 min, and dried in an oven at $50^{\circ}C$ for 24 hours. Anodizing was performed at current density $30mA/cm^2$ up to 300 V in electrolyte solutions containing $\beta-glycerophosphate$ disodium salt hydrate $(\beta-GP)$ and calcium acetate (CA). Hydrothermal treatment was conducted by high pressure steam at $300^{\circ}C$ for 2 hours using a autoclave. All samples were soaked in the Hanks' solution with pH 7.4 at $36.5^{\circ}C$ for 30 days.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the precipitated HA crystals showed the dense fine needle shape. However,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lectrolyte they showed the shape of thick and short rod. 2. When the dense fine needle shape crystals was appeared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the precipitation of HA crystals in Hanks' solution was highly accelerated. 3. The crystal structures of $TiO_2$ in anodic oxide film were composed of strong anatase peak and weak rutile peak as analyzed with thin-film X-ray diffractometery. 4. The Ca/P ratio of the precipitated HA layer was equivalent to that of HA crystal in Hanks' solution.

중층심해에 분사된 액체 이산화탄소 용해 예측모델 개발 (Simulation Model for Dissolution of Liquid $CO_2$ Discharged at Intermediate Depth of Ocean)

  • 김남진;김종보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718-726
    • /
    • 2003
  • Carbon dioxide ocean disposal is one of the promising options to redu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because the ocean has vast capacity for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However, the dissolution rate of liquid carbon dioxide in seawater must be known in advance in order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in the ocean.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calculations of the solubility, the surface concentration and the dissolution behavior of carbon dioxide when liquid carbon dioxide is released at 1,000m and 1,500m in depth are peformed. The results show that the droplet is completely dissolved below 500 m in depth if the carbon dioxide droplet is released both at 1,000m in depth with the initial droplet diameter of 0.011m or less and at 1,500m in depth with the diameter of 0.016 or less. Also, the surfac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roplet with the hydrate film is about 50% of carbon dioxide solubility at 1,500 m in depth and about 60% of carbon dioxide solubility at 1,000 m in depth.

용액 공정을 이용한 Indium-Zinc-Oxide 박막 기반 저항 스위칭 메모리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Resistive-Switching-Memory Based on Indium-Zinc-Oxide Thin-Film by Solution Processing)

  • 김한상;김성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8호
    • /
    • pp.484-490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rewritable operation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osed of Al (top)/$TiO_2$/indium-zinc-oxide (IZO)/Al (bottom). The oxygen-deficient IZO layer of the device was spin-coated with 0.1 M indium nitrate hydrate and 0.1 M zinc acetate dehydrate as precursor solutions, and the $TiO_2$ layer was fabricat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The oxygen vacancies IZO layer of an active component annealed at $400^{\circ}C$ using thermal annealing and it was proven to be in oxygen vacancies and oxygen binding environments with OH species and heavy metal ions investigat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 device, which operates at low voltages (less than 3.5 V), exhibits non-volatile memory behavior consistent with resistive-switching properties and an ON/OFF ratio of approximately $3.6{\times}10^3$ at 2.5 V.

치과용 임플란트 적용을 위한 항균력을 가진 티타늄 표면의 평가 (An Evaluation of Antibacterial Titanium Surface For Dental Implant)

  • 강민경;문승균;김경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05-41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나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이용하여 각각 블라스팅 처리한 뒤 염화나트륨을 전해액 내에 섞어 양극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염소가 함유된 표면을 만들고 항균력을 평가하는데 있다. 그리고 표면 특성과 항균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EM 표면 관찰에서는 블라스팅 처리 후 양극산화한 결과 실험군 2와 3에서 연마처리한 실험군 1에 비해 거친 요철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2. EDS 조성분석 결과 실험군 2에서는 칼슘, 인, 염소 성분과 더불어 알루미늄이 관찰된 반면, 실험군 3에서는 칼슘, 인과 염소 성분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표면 거칠기 분석 결과 평균 표면 거칠기의 값이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1순으로 작았으며, 실험군 2와 3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항균력 평가 결과 실험군 2가 가장 적은 세균수를 보여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으나 이는 실험군 3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알루미나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이용하여 각각 블라스팅 처리한 뒤 염화나트륨을 전해액 내에 섞어 양극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염소가 함유된 표면을 만들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연마처리한 시편에 비해 높은 표면 거칠기와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그러나 그 재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in vitro와 in vivo 실험이 수행되어야겠다.

가수분해법에 의한 TiO2 피복 운모의 제조(I) (Preparation of the TiO2 Coated Mica by Hydrolysis Method(I))

  • 박윤창;김효중;곽중협;서태수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709-714
    • /
    • 1997
  •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가수분해법에 의해 운모의 이산화티타늄 피복을 시행하여 합성조건의 영향을 조사했다. 운모표면에 균일한 $TiO_2$ 피막을 얻기 위해서는 운모의 입자경이 작고 비표면적이 넓은 쪽이 유리하다. 또한 반응용액상에서 생선된 입자는 운모표면에 유리상태로 부착하여 피막을 불균일화시키므로, 용액상에서의 수화 $TiO_2$ 콜로이드 입자 생성속도를 느리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실험에서 운모의 크기는 $14.7{\mu}m$, 운모 슬러리 용액의 pH는 2.5, $TiOSO_4$ 용액의 F.A.는 291, 반응온도는 $80{\sim}100^{\circ}C$ 정도가 적당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균일한 피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응온도를 변화시켜 입자의 석출율을 제어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 경우 석출율이 큰 쪽이 균일하고 치밀한 피막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TiO_2$ 피복 운모는 $900^{\circ}C$의 소성전후에서 형태에 큰 변화는 없었다.

  • PDF

시멘트 페이스트 내의 염화물 고정화에 미치는 플라이 애쉬의 영향 (Effects of Fly Ash on Chloride Binding Capacity in Cement Pastes)

  • 소승영;소양섭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209-215
    • /
    • 1995
  • 철근의 부식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에 가장 영향이 큰 요소이며, 염화물 이온에 의한 염해는 철근부식을 일으키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성능개선과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플라이 애쉬의 시멘트 경화체 내에서의 $Cl^-$고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밀봉용기 내에서 양생시킨 재령28일 공시체의 세공용액을 추출하여 세공용액 중의 $Cl^-$, $OH^-$농도 측정과 세공용액 추출용과 같은 배합 공시체의 증발수량 측정으로 세공용액량 및 시멘트 페이스트내에서의 $Cl^-$ 고정화량을 산정한 것이다. 연구결과 플라이 애쉬 치환이 시멘트 경화체내 세공용액의 $Cl^-$농도와 프리델씨염 생성량 및 고정화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고, 철근부식에 관계하는 $Cl^-$/$OH^-$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