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achieving students' understanding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수학 우수아의 통계적 개념 이해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ally High Achie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Concepts)

  • 이경화;유연주;홍진곤;박민선;박미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47-561
    • /
    • 2010
  • 통계학은 학교수학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전통적인 수학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통계 고유의 특징에 대한 교육 연구, 특히 학교수학의 다른 영역과 차별되는 통계적 개념 이해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와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수학적 사고 능력과 통계적 개념 이해 능력이나 통계적 사고 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 사고의 근간을 이루는 몇 가지 핵심 개념들을 추출한 후, 수학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이 통계적 개념들을 이해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학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발달시킨 개념과 발달시키지 못한 개념이 있었다. 수학적 능력과 통계적 개념 이해 수준 사이에는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신기한 스쿨버스' 만화영화 도입이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이해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imation-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 최섭;김희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379-3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imation-based instruction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on a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using "Magic School Bus(Joanna Cole, Bruce Degen, 1986)".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measurements were administered to 99 fifth grade students at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of the two group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factors that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ree key findings were revealed from the results. First, the animation-based instruction enhanc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nimation-based instruction made high-achieving students enhance their interest in topic component and attitude component. And, animation-based instruction did not led low-achieving student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topic component and attitude component. We suggest that animation-based instruction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understanding, but its effects on students' interest are dependent on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topic.

상위 집단 학생들의 함수의 연속 개념 이해 (High Achie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inuity of Function)

  • 이경화;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39-56
    • /
    • 2005
  • Tall & Vinner(1981)의 연구는 개념 학습에 관한 중요한 패러다임을 제공함으로 써, 다양한 내용 영역과 학교급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상위 집단 학생들의 함수의 연속에 대한 이해라는 관점에서 Tall & Vinner(1981)의 연구를 반복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상위 집단 학생들의 고유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상위 집단 학생들은 함수의 연속을 용어의 구어적 의미나 시각적인 심상에 의존하여 이해하기보다는 개념정의와 직접 관련지어 파악하는 경향이 있었다. 학생들이 보여준 개념이미지는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이후의 학습에서 상위 집단 학생들이 부딪힐만한 인지적 갈등 상황이 어떤 것인지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의학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신세대 학생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udent Generation and Considerations for Medical Education)

  • 김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59-63
    • /
    • 2012
  • Current medical students are a distinct new generation who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Therefor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characteristics is vital in developing an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generation of high achieving medical students. Notable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is generation include the following: they feel they are special, and they are sheltered, confident, highly optimistic, pressured, conventional, and have a strong desire to achieve. They are the digital generation, who can obtai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forms of technology. Furthermore, they are high achieving students in highly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be used in the medical school classroom. Using digital methods could be crucial in providing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Educa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students'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help them to effectively cope with their academic stress.

Persian EFL Learners'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Their L2 Proficiency

  • Nasrabady, Azadeh Nasri;Rasekh, Abbass Islami;Biria, Reza
    • 비교문화연구
    • /
    • 제24권
    • /
    • pp.62-83
    • /
    • 2011
  • The totality of language learning comprises three integrated components: linguistic, cultural, and attitudinal (Wilkes, 1983).Positively sensitizing students to cultural phenomena is urgent and crucial. A positive attitude toward L2 culture is a factor in language learning that leads to cross cultural understanding. This research examined, through a survey analysis, how three groups of students (one high school group and two university student groups) viewed the role of their foreign culture (i.e., American and British cultures) in achieving cultural understanding. The focus was upon how EFL learners approach the target language culture as well as their own culture.

Investigating Students' Profiles of Mathematical Model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in PISA 2012

  • SeoJin Jeong;Jihyun Hwang;Jeong Su Ah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235-252
    • /
    • 2023
  • We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of learner groups for students' mathematical modeling competenc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in each profile group for each country and variable using PISA 2012 data from six countries. With a perspective on measuring sub-competency, we appli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method to student achievement for mathematical modeling variables - Formulate, Employ, Interpret. The findings showed the presence of 4-6 profile groups, with the variables exhibiting high and low achievement within each profile group varying by country,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was observed in the profile group distribution in all countries, interestingly, the Formulate variable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profile groups.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Comparison by country, variable, and profile group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athematical modeling competency. The Formulate variable could serve as the most suitable predictor of a student's profile group and the score range of other variables. We suggest further studies to gain more detailed insights into mathematical modeling competency with different cultural contexts.

수학적 문제해결역량을 위한 평가 문항의 조건과 그 실제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Base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 이선영;이지수;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11-136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analyzing it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difficul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tua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ree mathematics educators' classification of 30 items of Mathematics 'Ga' type, o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responses given by 148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urvey examin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only few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tudents feel ill-defined and non-routine items difficult, but in actua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outineness alone has an effect. For the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low-achieving group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roblem, and low and intermediate-achieving group have difficulty in mathematical modelling. The findings can suggest criteria for mathematics teachers to use when developing mathematics questions evaluat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Robust PCA를 활용한 이공계 대학생의 확률 및 통계 개념 이해도 분석 (Clustering Analysis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 유용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2-25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학의 소규모 강좌에서 확률과 통계에 대한 수강생들의 이해도를 쉽고 빠르게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95명의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률과 통계에 대한 컴퓨터 기반 검사를 시행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을 Robust PCA와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7개의 군집으로 나눈 뒤, 각 군집 별로 주제별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상위권 군집은 통계적 추정을 제외한 다른 주제들에 대해서 대체로 높은 성취도를 보였으며, 저성취 군집들은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해서 강약점을 보였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에 널리 쓰이는 PCA를 사용하여 차원 축소 후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것 보다 각 군집들의 특성이 더 분명하게 나타냈다. 이는 각 군집 별 특징에 따른 개별화된 학습 전략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증명이 어떻게 내러티브가 될 수 있는가? -함수의 평행이동에 대한 사례연구- (How Could a Proof Be Constructed into a Narrative? Focused on Function Translations)

  • 이지현;이기돈;이규희;김건욱;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297-313
    • /
    • 2012
  • 학생들에게 증명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전개하는 대안으로, 내러티브의 잠재력과 그 효과를 함수의 평행 이동이라는 사례에서 논의한다. 내러티브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평행 이동한 함수의 식을 유도하는 증명을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내러티브와 형식적 증명을 각각 제시하고, 내러티브가 증명을 제시하는 것보다 함수의 평행 이동에 대한 도구적 및 관계적 이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사후 도구적 및 관계적 이해 검사 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므로, 내러티브로 제시하는 것이 증명을 제시하는 것보다 함수의 평행 이동에 대한 도구적 및 관계적 이해의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관계적 이해 반응과 수업 평가에 대한 질적 분석에서는 비교집단과 실험 집단사이에서 몇 가지 다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형식적 증명을 보완할 수 있는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PDF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에 기초한 소비 단원의 수업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Module for Consumer Content Area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 이경숙;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5-119
    • /
    • 2015
  • 본 연구는 백워드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백워드 디자인에 기초한 소비단원 설계의 사례를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백워드 디자인을 개발한 Wiggins와 McTighe의 여러 문헌과 관련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백워드 디자인의 수행과 평가를 강조하는 특징, 이해의 개념 및 영속적 이해의 개념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3단계로 이루어진 백워드 디자인 템플릿을 적용하여 7차시로 구성된 소비 단원을 위한 수업 모듈을 개발하였다. 백워드 디자인은 다음과 같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성취평가제의 도입과 더불어 백워드 디자인의 선평가-후수업 설계의 흐름은 학생들의 높은 성취를 얻을 수 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백워드 디자인은 단원의 핵심 개념을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과 기능으로 학습이 이루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교과서의 단원구성은 차시별 지도안을 계획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백워드 디자인은 학교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고 교사의 관점과 학생의 요구에 기초하여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