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 4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6초

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학습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ough Storytelling)

  • 정인수;박성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41-554
    • /
    • 2013
  •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학에 참여하게 하는 유의미한 수학적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도 스토리텔링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최근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수학수업에서 스토리텔링이 강조되고 있고, 그에 따라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2013년에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시작으로 스토리텔링이 구현된 교과서를 사용하여 수학수업이 이루어졌으며, 3~4학년군은 2014년부터 5~6학년군은 2015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이 수학교과서에 도입되고 이를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글에서는 스토리텔링을 도입하게 된 전반적인 배경을 논의하고,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수학교육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의미 등을 고찰하고, 수학 수업에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실제 방안을 탐색하였다.

  • PDF

TIMSS 2011 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교사 변인과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effects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ased on TIMSS 2011 results)

  • 김성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195-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using data from TIMSS 2011.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cluded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lessons, and confidence in their mathematics ability. Teacher factors include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fidence in teaching mathematics,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enhancing student mathematical thinking. The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factors and student attitud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confidence about their mathematics 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systems and mathematics educators need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curriculum, assessment, and research-based practices and knowledge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change their mathematics classroom.

초등학교 수학 학업성적에서의 성별 거주지역별 차이 (Study on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y Gender and Residential Area)

  • 이순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3호
    • /
    • pp.177-1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 4,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중 성차 그리고 환경 변인 중 거주지역에 따른 수학교과 학업성적의 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과에서 초등학교 남녀 학생들의 학업성적의 차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차이에서 모두 공통된 현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3학년에서는 여학생의 수학성적이 우위를 나타냈지만 4학년과 5학년에 와서는 이러한 현상이 점점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수학 학업성적에서의 점수대별 성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5학년까지는 각 점수대별 남녀의 비율이 거의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성적 수준별 남녀 학생의 비율을 분석한 선행 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초등학교 3, 4,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적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21세기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도 도농 간 학력격차의 문제는 그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더구나 읍면지역 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본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수학에서 토의·토론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Discussion and Debate Instruction o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Attitud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최모로;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31-142
    • /
    • 2017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에서 토의 토론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급 중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서 동질성이 검증된 두 개 반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토의 토론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기술통계, 독립 t검정, 대응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토의 토론수업은 일반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질문하며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스스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학교 교사의 초.중등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김영민;허혜연;이창훈;김기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9-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r this, we survey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engineering positively affect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They also found that engineering education helps student to select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career. Moreover, they perceived that engineering contents are not appli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urriculums, hence it does not stimulate interest in engineering. Therefore, they perceived that if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are systematically applied in formal curriculum,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Second,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roles of engineering education are to make students learn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nform about the engineering field career. They perceived that the best grade to start engineering education is 4~6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best way to apply engineering education is through distributing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to related subjects. They also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s the most relation to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subjects; mathematics subject follow after.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情意)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87-3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수학 학습과 관련하여 정의적인 면에서 갖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Hannula(2012)가 수학 학습자 개인의 정의적 요인 분석을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조사 대상 학생의 성취 수준, 학년, 성별에 따라 기술통계 및 일원분산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정의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동일 설문지로 이미 핀란드와 칠레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Tuohilampi et al., 2013; Tuohilampi et al., 2014b)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학년 변인이 정의적 요인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정의적 요인의 인지와 동기 측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 결과와 우리나라, 칠레, 핀란드 3개국의 초등학생들 사이에 나타나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특성 면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초등교사로 하여금 정의적인 면에서의 수학 수업 개선에 필요한 방법론적 고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303-313
    • /
    • 2013
  • 공간능력은 수학의 직관적 관점과 수학적 이해 및 수학적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228명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간시각화 능력과 수학성취도, 공간시각화 능력과 공간시각화 검사시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공간능력은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간능력은 학년수준에서 4학년보다는 5학년이 높았으며, 5학년보다는 6학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도형 영역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Error of Fourth Grade Student in Geometric Domain)

  • 노영아;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9-216
    • /
    • 2007
  • 본 연구는 삼각형과 사각형 등 도형에 관한 정의와 성질 파악이 시작되는 4학년 단계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를 연구해 봄으로써 적절한 처방과 교육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4학년 단계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 유형으로는 정리나 정의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오류였으며 잘못되거나 제한된 개념 이미지가 크게 작용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하며 학생들의 기하수준을 높이는 지도가 필요하며 수학책과 수학 익힘책에서 제시된 도형 이미지는 제한적이므로 보다 다양한 위치와 길이의 도형이 제시되어야 하고 정확하게 서술되어야 하며 다양하고 실제적인 활동을 위한 방향으로 검토가 이루어져함을 시사한다.

  • PDF

초등 수학에서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 익히기 및 연산 사이의 연결 분석 (An Analysis of Mastering Concept and Connection with Operations in Natural Number and F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노은환;정상태;김민정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3-588
    • /
    • 2015
  • 초등학교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교수학적 변환이 불가피하다. 수학에서는 덧셈과 곱셈은 이항연산, 뺄셈과 나눗셈은 단항연산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초등에서는 사칙연산 모두를 이항연산으로 취급하는 교수학적 변환을 시도한다. 그런데 사칙연산의 개념을 '익힌다는 것'은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는가가 더 중요하게 부각된다는 점에서 개념을 이해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을 개념 익히기(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있는지와 연산 선택의 문제)와 연산 사이의 연결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분석하여,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 지도와 관련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수의 나눗셈에서는 상황을 바탕으로 연산을 선택하지 않고 곧장 분수의 곱셈과의 연결을 시도했다는 것과 분수의 나눗셈을 그 자체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5학년 2학기와 6학년 1학기에 걸쳐 제시되어 있는 분수의 나눗셈을 통합해야 한다는 것 등이 그것들이다. 이는 후속 교과서 개발 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수학수업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학적 변환 고찰 (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15-438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과정에서 어떤 점에 주목하여 교과서 활동을 분석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에서 예비교사가 어떤 점에 주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초등수학교과서의 활동을 분석한 후 수학수업을 위해 활동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한 차시를 선택하여 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후 협의회를 통해 다시 수정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수업을 위해 교과서 활동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활동이 구체물 활동을 제공하는지의 여부,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는지의 여부, 차시별 활동이 중복되는지의 여부 등에 주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수업을 위한 교과서 활동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해서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취기준, 교사용지도서의 단원 및 차시목표 등과 같이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