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user's satisfac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3초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공원(公園)·녹지(綠地) 및 도시경관(都市景觀)의 주민평가(住民評價) (A Study on the Residents' Evaluation of Open Spaces and Cityscape in Ulsan City)

  • 성백진;이재근;최종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6-55
    • /
    • 2003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Ulsan city resi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open spaces and cityscape after consideration in the side of getting primary data for the city open spaces policy and Green Plan for Ulsan city. In this study, low data was gathered by questionnaires survey with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by several sets of variables such as behavioral patterns, satisfactions for open spaces and user's demographic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overage the residents were slightly satisfied with park open spaces. There were good and poor park open spaces. in the perceptions of citizens as follows : 'nearby mountain and open spaces', 'rail side green area' were high satisfactory, and 'riverside', 'green qualities' were low in satisfaction. 2. In overage the residents were slightly satisfied with cityscape. There were good and poor cityscape in the perceptions of citizens as follows : 'nearby forest in and open spaces', 'night scape of an urban center' were high satisfactory, and 'streetscape', 'appearances of high-rise buildings' were low in satisfaction. 3. As a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predictable variables for satisfaction with Park and Open spaces were : 'open spaces by the public', 'open spaces by neighbor', 'grande open spaces', 'open spaces of residence'. 4. As a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predictable variables for satisfaction with cityscape were :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and nearby mountain and open spaces', 'residence and streetscape', 'riverside and park green open spaces'.

가전 제품의 소음에 대한 음질 평가 (Evaluation of the Sound Quality from Home Appliances)

  • 주재만;김영헌;이제원;오상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22-627
    • /
    • 2003
  • Until now, product mostly has revealed physical quantities created by the standpoint of engineers. Consumers, however, perceive and evaluate products on the non-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eelings, emotions, and experiences in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Especially, for the household appliances fur instance air-conditioner or refrigerator, the sound is heavil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a customer who is a real user of the product and is very important factor to decide purchasing as well as visual design.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general tendency of consumer's psychology was investigated for the appliances. And also, in order to obtain clear guidelines for sound manipu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f air-conditioning systems and refrigerators were compared with others. Since it is important to overcome the discrepancy between engineering and marketing, the relevance of sound manipulation must be document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That is the reason why we conducted a consumer and marketing oriented study.

  • PDF

공공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design and user experience)

  • 곽지혜;김보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53-359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공공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다양한 공공기관에서 다양한 디자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둔다. 공공디자인과 경험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였으며, 관련 연구 및 선행연구 사례를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한 공공디자인의 평가 항목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한국 공공디자인협회에서 언급한 사례를 바탕으로, Shedroff의 경험요소와 사용자 경험요소를 통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해당 사례 유(有)경험자들의 응답만 모아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디자인 요소인 접근성, 지역정체성이 사용자 경험요소인 Pleasurable, Meaningful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사용자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64점이 나왔다. 공공디자인에 있어 심미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보고 쓰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또 그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할 것이다.

교육정보시스템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 김종환;박명종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21-233
    • /
    • 2010
  • 교육정보시스템이 교육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교육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측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성과 측정의 영역을 정보시스템 가치사슬의 흐름에 따라 사용자 영역, 교육프로세스 영역, 성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정한 결과, NEIS에 대한 사용자의 관점은 사용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사용자의 태도변화는 과업개선, 교육혁신, 교육수요자만족, 관리통제활동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교육프로세스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EIS는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을 가져와 교육효율성 제고의 성과를 얻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고령자 대상 하지 균형증진 운동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연구 (Usability Evaluation of Exercise System that Promote the Balance of Lower Body for the Seniors)

  • 임희철;이창형;임도형;전경진;정덕영;전성철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93-299
    • /
    • 2015
  • 본 연구는 균형 운동시스템을 사용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운동시스템 및 하지 균형의 사용성 평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고령자)들이 가장 불편한 신체부위인 하지의 균형을 증진하기 위한 운동시스템을 9주 동안 사용하였으며, 정기적인 기간동안 조사한 사용성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자(고령자)들은 사용한 운동시스템에 관한 문항과 하지 균형에 관한 문항으로 구분하여 응답을 하였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와 연동된 균형 운동시스템은 단순동작의 반복 보다는 개인별 맞춤 운동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균형 유지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 움직임 중에서 하체의 불편함이 운동을 통해 개선되어 고령자의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감성인지 만족도를 고려한 도로횡단면 구조설계 기준 연구 (Design Guidelines of Road Cross Sectional Element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ensibility Cognition)

  • 서임기;이병주;이재선;남궁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363-373
    • /
    • 2011
  •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 삶을 구성하고 있는 주변 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도로 이용자 측면에서도 쾌적성, 심리적 안정 및 안락성 등을 고려한 도로경관 조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도로의 질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공학적인 측면에서 기준화된 설계지침이 아닌 도로 이용자 측면에서의 감성인지를 고려한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설계 기준의 정립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주요 도로의 도로 횡단면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로 이용자들이 느끼는 도로경관에 대한 감성인지 실험을 통해 만족도를 조사하고 주성분과 군집분석, 다중회귀모형 등을 통해 도로경관 구성요소와의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보통의 보도경관 만족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로 폭은 3~5m, 차로 수는 2~5차로, 길어깨 폭은 0.55~1.43m, 유효 보도 폭은 2.2~3.9m, 중앙 화단 폭은 1.05~1.9m, 중앙 가로수 높이는 6.25~14.5m, 중앙 여유 폭은 0.65~1.625m, 보도 가로수 높이는 6.4~15m, 건물 높이는 18~44m(6~15층) 범위에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파악을 위한 분석 방법론 수립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ommunication with Considering on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Focus Group Interview)

  • 정지연;김정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10-215
    • /
    • 2008
  • 기술의 발전과 급속한 세계화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시장이 확대되면서 디자인이란 영역은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시대의 핵심 역량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화두가 되고 있다. 과거 디자인이 '미적인 아름다움', '장식', '감성의 만족'들을 추구했다면 이제는 시대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또한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사용자를 중심으로 분명히 다른 가치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다른 방법들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 상품 개발 과정이나 평가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론과 같은 문화적 기반의 명확한 사용자의 니즈(needs) 파악이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문화의 배경 및 개인의 기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문화적 특성이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 기질에까지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화적 특성과 개인의 기질을 근간으로 MBTI에 나타난 결과에 따라 대조군을 설정하고 문화적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제적인 분석 방법론을 수립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성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디바이스의 Graphical User Interface 중심으로 (Usability Evaluation Framework for Ubiquitous Computing Device)

  • 김한준;최종규;지용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31-135
    • /
    • 2008
  • 전자 기술 및 관련 기반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다양한 정보디바이스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디바이스들은 현재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ata Assistant)나 핸드폰 등에서부터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통신 기술의 발전과 통신 인프라 발달 및 보급의 확대로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중앙 서버 등에 접속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언제 어디서나 자연스럽게 네트워크로 연결된,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서 기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최적화된 사용성 평가 원칙이 아닌, 새로운 사용환경에 적함한 사용 편의성 원칙을 재정의 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유비쿼터스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디바이스의 설계 혹은 디자인의 방법을 제시하기 보다는 유비쿼터스 사회의 특정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가 가져야 할 특정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원칙만 제시할 뿐 구체적인 사용성 원칙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컨텍스트어웨어 컴퓨팅에서도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용성 원칙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성 평가에 적합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용성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디바이스에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디바이스 사용성 평가 원칙 개발을 위하여 기존의 GUI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사용성 평가 원칙에서 본 연구에 적용 될 수 있는 원칙을 선별하였다. 이는 디바이스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일반적인 사항을 평가한다. 여기에 유비쿼터스외 관련된 기존연구로부터 유비쿼터스 디바이스 사용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사용성 평가 원칙을 추출하여 유비쿼터스 디바이스 사용성 평가 원칙을 개발하였다.

  • PDF

모바일 대중교통 정보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이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 대중교통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 이윤재;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5-244
    • /
    • 2016
  •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용성을 고려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겨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여전히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용성 평가는 다양한 요인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초기의 물리적 편의에서 이용자 중심의 이용에의 만족도 평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 중 불특정다수가 제약 없이 널리 이용 가능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측면 또는 디자인적 측면에 치중되어 전반적인 이용자 중심의 이용성 평가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을 통해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과제 수행, 심층 면담,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다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본인의 이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에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였고, 오히려 방해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타버스의 수업활용에 관한 사용자 경험 분석 - 스페이셜(Spatial)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User Experience for the Class Using Metaverse - Focus on 'Spatial' -)

  • 이예진;정광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67-3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관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인 '스페이셜'을 중심으로 수업 도구로서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학 수업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SUS를 활용하였고, 스페이셜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몰입감과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agnitude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수업 도구로서의 스페이셜 사용에 관한 사용자 경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기법을 활용하였다. 스페이셜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를 보면 수강생들은 스페이셜의 사용성, 몰입감, 만족도에 대해 꽤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의 사용자 경험 내용을 보면, 수강생들은 메타버스가 비대면 공간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모여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 도구로서 그 효용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타버스는 다른 온라인 플랫폼에 비하여 사용편의성, 상호작용, 몰입감, 흥미유발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특히 키보드와 터치방식, 그리고 디스플레이 외에 음성, 동작, 시선 등 오감을 활용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메타버스의 높은 개방성과 자유도, 그리고 흥미요소는 학습을 촉진하는 동시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론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