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er extract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41초

뽕잎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 임범혁;박창균;조현기;임흥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1-208
    • /
    • 2017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 whether mulberry leaves (MLs) have the potential to inhibit the mutagenic effect of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s). Methods and Results: ML powder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a yield of 35.1% by weight was obtained. The 70% ethanol extract of ML was further extracted sequentially using diethyl ether, chloroform, butanol, dichloromethane and water. The crude 70% ethanol extract of MLs and its solvent fractions did not show any mutagenic effect when tested at concentrations up to 1 mg/plat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In contrast, the crude 70% ethanol extract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mutagenicity of CSCs in the presence of S-9 mixture. Among the solvent fractions, the diethyl ether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which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hibiting mutagenesis by approximately 97.1% at a concentration of 1 mg/plat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 crude 70% ethanol extract of MLs and the diethyl ether fraction themselves are potentially not mutagenic, but inhibit the mutagenic effect of CSCs.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var. coloratum)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 강서진;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19-924
    • /
    • 2012
  • 국내산 겨우살이를 천연소재 및 천연 보존료로서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겨우살이의 methanol 조추출물과 n-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의 식중독 세균 억제 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Ethyl ether와 ethyl acetate 분획물은 공시균주에 대하여 0.9~1.8 mm의 inhibition zone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ethyl ether는 B. ce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겨우살이의 ethyl ether 분획물은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낮은 6.25 mg/mL의 MIC를 나타내었다. 겨우살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겨우살이의 총 페놀함량은 ethyl ether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n-hexane, butanol 및 methanol 조추출물과 water 획분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ethyl ether 획분의 강한 항균활성과 항산화 활성은 획분중에 풍부한 총페놀화합물과 상관이 있으므로 향후 이 획분중의 활성물질의 분리 연구가 한국산 겨우살이의 기능성 소재화에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벼멸구 저항성벼 품종 추출분획물의 기피 및 살충 활성 (Repellent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Sequential Extracting Fractions Obtained from BPH-Resistant Rice Varieties against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 김성은;김영두;김보경;고재권;전재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30
    • /
    • 2006
  • 벼멸구 저항성벼 품종인 장성벼와 화청벼로부터 생육시기(유묘기, 분얼기, 출수기, 등숙기)별로 추출 용액 극성에 따라 얻은 추출분획물(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및 water)에 대하여 벼멸구 살충 및 기피 활성을 벼멸구 감수성벼 품종인 동진벼를 검정 대상식물로서 조사하였다. 장성벼와 화청벼로부터 얻은 추출분획물 대부분은 12시간 처리 기간 중 벼멸구 살충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ethyl ether 및 hexane 추출분획물은 24시간 및 48시간 처리에서 약 $10{\sim}30%$의 벼멸구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장성벼의 ethyl ether 추출분획물은 효과적인 벼멸구 기피 활성을 보였지만, 화청벼로부터 얻은 추출분획물은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성벼 또는 화청벼의 여러 생육 단계별로 얻은 추출분획물 사이에는 벼멸구에 대한 기피 활성 효과에 있어 뚜렷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Ethyl ether 분획의 벼멸구에 대한 기피 활성은 처리 후 30시간까지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더욱이 장성벼 ethyl ether 추출분획물에 대한 flash column chromatography의 chloroform:methanol (9:1, v/v) 용출에 의한 8개의 2차 분획물($sF1{\sim}sF8$) 중 최초의 분획물(sF1)은 벼멸구에 대해서 비교적 높은 기피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장성벼 ethyl ether 추출분획물은 벼멸구에 대한 살충 활성 보다는 오히려 기피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ethyl ether 추출분획물의 2차 분획물들에 대한 검정 결과 최초의 2차 분획물(sF1) 중에는 기피 활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존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물중에서의 휘산과 수도체로 흡수 이행되어 휘산되었다.EX>$CaCl_2$과 보조제를 혼용하여 엽면 살포할 경우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부분 DTP형태이었다. 계절별 오염물질 처리량을 조사한 결과 BOD, COD, TOC, SS, T-N 및 T-P 처리량은 여름과 가을이 봄과 겨울에 비해 처리량이 약간 증가되었으며, BOD, COD, TOC, SS, T-N 및 T-P는 4계절 모두 방류수의 처리효율이 각각 92, 89, 73, 95, 46 및 84%이상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유기화합물$\Rightarrow$Bioassay) 및 각 선별 체계별 활용기준 항목에 대한 규제기준이 설정된 후 이들의 각 성분함량을 통과하고 최종 비효시험(포장)을 마친 경우에는, 유용한 유기성자원의 농업적 활용으로 안전한 작물재배 및 농업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양 유실량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약의 강우에 의한 유실은 복잡하게 작용하는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정교하게 구성된 환경 시나리오에 의하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도라지는 물에 우려 푹 삶았고, 감자, 송이 등은 잘게 썰어 쌀과 함께 밥을 조리하였다. 4. 약선 음식조리방법 약선음식의 재료는 평상시 식생활에 사용되고 있던 식품들의 기능성분과 약이성을 이용하여 만성적인 질병과 급성적인 복통 설사 등에 재료의 전처리를 통해 죽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곡류 등은 갈아 수비하여 이용하였으며, 동물성식품재료를 이용 할 때에는 재료를 만화(중간불)로 오랫동안 끓여 된장이나 향신료 등을 함께 사용해 먹기에 수월하게 조리하였으며, 한약재료인 약초류 등을 이용하였는데 오랫동안 푹 삶아 그물에 곡류 등을 넣어 죽이나 밥으로 조리하였으며 면으로도 조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 주식류의

인삼지용성성분의 지질과산화 및 산화적 DNA손상에 대한 억제효과 (Protective effect of Ginseng Petroleum Ether Extract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DNA Damage)

  • 허문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5-320
    • /
    • 1997
  • Panax ginseng C.A. Meyer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a restorative, tonic and prophylatic agent. This study was devised to develop a chemopreventive agent from panax ginseng to be able to suppress the genotoxicity and oxidative damage by ractive oxygen species, which are involved with cancer or aging. Ginseng petroleum ether extract (GPE) and one of its fraction, P2, showed an antioxidative effect on the lipid peroxidiphenyl-2-picryl hydrazil (DppH) radical generation. They also showed the suppressive effect of H2O2 or KO2 induced DNA damage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Results from our study indicate that GPE and P2 are capable of protecting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DNA damage. Therefore, GPE and P2 may be useful chempreventive agents which are involved with cancer and aging.

  • PDF

한국 인삼 성분들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III) 인삼 성분들이 숙신산 탈수소효소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Biochemical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III)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Activity of Succinate Dehydrogenase)

  • 장세희;박인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29-32
    • /
    • 1976
  • 숙신산 탈수소효소의 활동성은 홍삼의 초산에틸 추출액과 초산에틸 추출모액의 수용 성 추출액 분획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었으며, 홍삼의 에테르 추출액 분획을 제외한 모든 분획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었다. 다른 사람들이 알칼로이드류는 숙신산 탈수소효소의 활동성을 증진시킨다는 암시와는 반대로 저자들의 연구결과는 오히려 인삼의 알칼로이프들은 이 효소의 활동성에 대하여 방해효과를 가졌음을 알려주었다.

  • PDF

인삼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흰쥐에서 여러 발암성물질에 의해 유도된 소핵생성의 억제효과 (Anticlastogenic Effect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Panax ginseng Against Carcinogens-induced Micronuclei in Mice)

  • 최성규;허문영
    • 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4-340
    • /
    • 1992
  • Ethanol, total saponin and petroleum ether extract of Panax ginseng C.A. Meyer were tested for their anticlastogenic effects against induction of micronuclei by cyclophosphamide and benzo(a)pyrene in mice. Ginseng petroleum ether extract (GPEE) showed the highest suppressive effect among three extracts. GPEE was also tested to compare their anticlastogenic effect against several well-known carcinogens: such as mitomycin C, 7, 12-dimethyl benzo(a)anthracene, ethyl methane sulfonate, dimethylnitrosamine and busulfan. GPEE showed the anticlastogenic effect against most of carcinogen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against 7, 12-dimethyl benzo(a) anthracene, dimethyl nitrosoamine and busulfan-induced micronuclei.

  • PDF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에탄올 추출물의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Ethanol Extract on Listeria monocytogenes)

  • 임용숙;배만종;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3-337
    • /
    • 2002
  • 소나무를 95%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40 mg/mL 첨가하였을때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Listeria monocytogenes Brie I. 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3균주의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이를 다시 용매별로 순차 분획한 후 3균주에 대한 증식저해효과는 특히 ether 분획 물이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추출물 40 mg/mL 첨가에 의해 Listeria monocytogenes 3균주 모두 균체의 성장 단계 중 유도기인 4시간째 회수한 균체에서 높은 생균수 감소 현상이 확인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균체의 형태는 대조구의 균체표면은 매끈하고 손상의 흔적이 없으나 처리구의 균체의 표면은 손상되었거나 형태가 이상을 일으킨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서울귀룽나무 잎의 배당체에 관한 연구 제1보

  • 한구동
    • 약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1-8
    • /
    • 1953
  • The leaves of prunus padus L. var. Seoulensis Nakai distributed widely in Korea, were extracted with boiling alcohol(95%) after being mixed with calcium carbonate. The aqueous solution distilled off alcohol from the above filtered extract under the reduced pressure was evaporated to the dryness. The residue was extracted with acetic ether on the water-bath and the acetic ether solution extract was allowed to stand for a weck after removing out of acetic ether almostly, then a colorless necdles were Crystalized out which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C_{14}$ $H_{17}$ $O_{6}$ N, began to melt at 138-139.deg. bitter taste [.alpha.]$_$ $D^{20}$ ]=-26.99.deg. soluble in water, alcohol acetone acetic ether etc. slightly soluble in chloroform. It was proved to be identical with prunasine due to above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tion of Benzal-dehyde HCN and glucose respectively which was obtained on hydrolysis of this glycoside with emulsine.

  • PDF

Antiulcerogenic effects of Gymnosporia rothiana

  • Surana, SJ;Jain, AS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3호
    • /
    • pp.238-244
    • /
    • 2009
  • Gymnosporia rothiana (walp) Lawson (celastraceae), commonly known as Maytenus rothiana, is used in Indian folk medicine as an antiulcerogenic agent. However, there have been no scientific reports regarding its antiulcer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antiulcer property of petroleum ether, chloroform, and methanolic extract of leaves of Gymnosporia rothiana at different dose levels in ethanol induced and indomethacin induced gastric ulcer models. It was observ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ll the extract of Gymnosporia rothiana produces significant reduction in ulcer lesion index as well as increase in volume and pH of gastric content in both experimental models, being petroleum ether extract the most effective at dose of 250 mg/kg; it significantly reduced gastric lesion index (70.06%), in comparison to omeprazole (71.20%) and methanolic extract at a dose of 500 mg/kg (67.22%). Increased gastric mucosal defense mechanism by petroleum ether extract is probably due to its high levels of terpenoids like $\beta$ amyrin, lupeol acetate. The present results clearly shows antiulcer effect of Gymnosporia rothiana against various irritants has been mainly due to cytoprotective effect mediated through prostaglandin and partly due t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DC) 추출 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DC Extract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 이지영;황우익;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1
    • /
    • 1998
  • 도라지의 물과 석유에테르 추출물의 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mouse DBA/2 strain유래의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인 L1210과 인체 결장 암세포인 HCT-48 및 직장암세포인 HRT-18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용성 추출물보다는 석유에텔 추출물이 모든 항암세포에 대하여 현저히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도라지 석유에테르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에서 석유에테르과 에틸에테르 혼합을(7:3)로 얻은 분획은 더욱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L1210에서는 0.3mg/mL, HCT-48는 1.2m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99%, -55%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