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ellent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Sequential Extracting Fractions Obtained from BPH-Resistant Rice Varieties against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벼멸구 저항성벼 품종 추출분획물의 기피 및 살충 활성

  • Kim, Sung-Eun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Young-Doo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Bo-Kyoung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o, Jae-Kwon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Chun, Jae-Chul (Research Center of Bioactive Ma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Rice plant extracts of brown planthopper (BPH) resistant rice varieties, Jangseongbyeo (JSB) and Hwacheongbyeo (HCB) at different growth stages (seedling, tillering, heading and ripening) were sequentially fractioned using 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and distilled water. The extracts were applied to BPH susceptible rice variety, Dongjjnbyeo (DJB), to investigate the insecticidal and repellent effects against BPH. BPH insecticidal effects were not clearly observed with almost all of the extract fractions obtained from both JSB and HCB varieties for 12 h, whereas the ethyl ether and hexane extract fractions showed about 10 to 30% of BPH mortality in 24 to 48 h of application periods. An effective BPH repellent activity was found with the applications of ethyl ether extract fractions obtained from JSB variety. The extract fractions obtained from HCB variety did not show any different repellence among the various fractions. The BPH repellent effects of the extract fractions obtain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either JSB or HCB varieties did not show any correlations. The effect of ethyl ether fraction on BPH repellent was continually increased by 30 h after treatment and thereafter decreased. In addition, the first sub-fraction separated by a flash column chromatography eluted with chloroform:methanol (9:1, v/v) from the BPH effective ethyl ether faction in JSB variety might be meaningful to repel BPH from BPH susceptible target rice pl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thyl ether fraction obtained from JSB was higher in repellent activity than in insecticidal activity, and suggesting that there might be specific substance(s) in the first sub-fraction (sF1) of the ethyl ether fraction in JSB that could provide repellent activity against BPH.

벼멸구 저항성벼 품종인 장성벼와 화청벼로부터 생육시기(유묘기, 분얼기, 출수기, 등숙기)별로 추출 용액 극성에 따라 얻은 추출분획물(hexane,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및 water)에 대하여 벼멸구 살충 및 기피 활성을 벼멸구 감수성벼 품종인 동진벼를 검정 대상식물로서 조사하였다. 장성벼와 화청벼로부터 얻은 추출분획물 대부분은 12시간 처리 기간 중 벼멸구 살충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ethyl ether 및 hexane 추출분획물은 24시간 및 48시간 처리에서 약 $10{\sim}30%$의 벼멸구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장성벼의 ethyl ether 추출분획물은 효과적인 벼멸구 기피 활성을 보였지만, 화청벼로부터 얻은 추출분획물은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성벼 또는 화청벼의 여러 생육 단계별로 얻은 추출분획물 사이에는 벼멸구에 대한 기피 활성 효과에 있어 뚜렷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Ethyl ether 분획의 벼멸구에 대한 기피 활성은 처리 후 30시간까지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더욱이 장성벼 ethyl ether 추출분획물에 대한 flash column chromatography의 chloroform:methanol (9:1, v/v) 용출에 의한 8개의 2차 분획물($sF1{\sim}sF8$) 중 최초의 분획물(sF1)은 벼멸구에 대해서 비교적 높은 기피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장성벼 ethyl ether 추출분획물은 벼멸구에 대한 살충 활성 보다는 오히려 기피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ethyl ether 추출분획물의 2차 분획물들에 대한 검정 결과 최초의 2차 분획물(sF1) 중에는 기피 활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존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물중에서의 휘산과 수도체로 흡수 이행되어 휘산되었다.EX>$CaCl_2$과 보조제를 혼용하여 엽면 살포할 경우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부분 DTP형태이었다. 계절별 오염물질 처리량을 조사한 결과 BOD, COD, TOC, SS, T-N 및 T-P 처리량은 여름과 가을이 봄과 겨울에 비해 처리량이 약간 증가되었으며, BOD, COD, TOC, SS, T-N 및 T-P는 4계절 모두 방류수의 처리효율이 각각 92, 89, 73, 95, 46 및 84%이상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유기화합물$\Rightarrow$Bioassay) 및 각 선별 체계별 활용기준 항목에 대한 규제기준이 설정된 후 이들의 각 성분함량을 통과하고 최종 비효시험(포장)을 마친 경우에는, 유용한 유기성자원의 농업적 활용으로 안전한 작물재배 및 농업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양 유실량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약의 강우에 의한 유실은 복잡하게 작용하는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정교하게 구성된 환경 시나리오에 의하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도라지는 물에 우려 푹 삶았고, 감자, 송이 등은 잘게 썰어 쌀과 함께 밥을 조리하였다. 4. 약선 음식조리방법 약선음식의 재료는 평상시 식생활에 사용되고 있던 식품들의 기능성분과 약이성을 이용하여 만성적인 질병과 급성적인 복통 설사 등에 재료의 전처리를 통해 죽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곡류 등은 갈아 수비하여 이용하였으며, 동물성식품재료를 이용 할 때에는 재료를 만화(중간불)로 오랫동안 끓여 된장이나 향신료 등을 함께 사용해 먹기에 수월하게 조리하였으며, 한약재료인 약초류 등을 이용하였는데 오랫동안 푹 삶아 그물에 곡류 등을 넣어 죽이나 밥으로 조리하였으며 면으로도 조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 주식류의

Keywords

References

  1. Koh, H. S., M. Kim, T. Obata, H. Fukami and S. Ishii (1976) Antifeedant in Barnyard Gras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Asian and the Pacific Council, Taipei. FFTC, ASPAC. Aug. 1977:117-123
  2. Shgematsu, Y., N. Murofushi, K. Ito, C. Kaneda, S. Kawabe and N. Takahashi (1982) Sterol and asparagines in the rice plant, endogenous factors related to resistance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hort Comm. Agric. BioI. Chem. 46(11):2877-2879 https://doi.org/10.1271/bbb1961.46.2877
  3. Yoshihara, T., K. Sogawa, M. D. Pathak, B. O. Juliano and S. Sakamura (1979) Soluble silicic acid as a sucking inhibitory substance in rice against the brown plant hopper (Delphacidae, Homoptem). Ent. Exp. & Appl. 26:314-322 https://doi.org/10.1111/j.1570-7458.1979.tb02932.x
  4. Yoshihara, T., K. Sogawa, M. D. Pathak, B. O. Juliano and S. Sakamura (1980) Oxalic acid as a sucking inhibitor of the brown planthopper in rice (Delphacidae, Homoptem). Ent. Exp. & Appl. 27:149-155 https://doi.org/10.1007/BF00573889
  5. Zhang, G., W. Zhang, B. Lian, L. Gu, Q. Zhou and T. Liu (1999) Insecticidal effects of extracts from two rice varieties to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J. Chemical Ecology 25(8):1843-1853 https://doi.org/10.1023/A:1020981716293
  6. IRRI (1975)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Annual Report for 1975. Los Banos, Laguna, Philippines
  7. Sogawa, K. (1973) Feeding physiology of the brown planthopper. pp.95-114, In The Rice Brown Planthopper, Food and Fertilizer Technology Center for the Asian and Pacific Region, Taipei, Taiwan
  8. Sogawa, K. and M. D. Pathak (1970) Mechanism of brown plant hopper resistance in Mudgo variety of rice (Hemiptera: Delphacidae). Appl. Entomol. Zool. 5:145-158 https://doi.org/10.1303/aez.5.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