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recognition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32초

놀이를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 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in Improv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 이영환;나양균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 mothers with 4-7 aged child attending S-day-care center located in Ik-Sa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two groups were divided into 15 participa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otal 8 sessions(2 sessions per week over the 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The instrument were 'Maternal Affection & Control Resources Scale developed by Cho, Bok Hee(1991)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cale' by Pinata & Steinberg. Teacher-Child relationship Scale was modified to be appropriate for use with this program. Parental acceptance level was measured by modified Parental Acceptance Scale (P.P.A.S.) by porter(1954).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t-test. paired t-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showed improvement in affectionate attitudes than before. Second,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have been improved in familiarity and have been decreased in conflict of relationships of mother-child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ird,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improve the recognition on respect to children's emotion, emotional expression right, uniquenes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needs to children's independency and autonomy.

  • PDF

화자 인식을 위한 적대학습 기반 음성 분리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eech disentanglement framework based on adversarial learning for speaker recognition)

  • 권유환;정수환;강홍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47-453
    • /
    • 2020
  • 본 논문은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음성신호로부터 효율적인 화자 벡터를 추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음성신호에는 발화내용, 감정, 배경잡음 등과 같이 화자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안 방법에서는 추출된 화자 벡터에 화자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는 가능한 많이 포함되고, 그렇지 않은 비화자 정보는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학습을 진행한다. 특히, 오토-인코더 구조의 부호화 기가 두 개의 임베딩 벡터를 추정하도록 하고, 효과적인 손실 함수 조건을 두어 각 임베딩이 화자 및 비화자 특징만 각각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화자 정보 분리(disentanglement)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화자 정보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에서 활용되는 판별기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디코더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화자 인식 성능을 보다 향상시킨다. 제안된 방법에 대한 적절성과 효율성은 벤치마크 데이터로 사용되고 있는 Voxceleb1에 대한 동일오류율(Equal Error Rate, EER) 개선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중국유학생의 학습효과가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 (Chinese students' learning effect Impact on University life)

  • 장상배;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7-80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교육시장 개방과 더불어 한국 국내 대학들은 국제적인 인지도를 넓히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한국 국내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들 특히 중국유학생들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어 중국유학생의 한국대학에서 학습효과와 대학생활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애착과 만족도를 밝히고 중국학생의 학습효과에 따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발견 학습효과는 정서 대학생활에, 발견 학습효과는 신체 대학생활에, 지각 학습효과는 사회 대학생활에, 지각 학습효과는 정서 대학생활에, 인지 학습효과는 신체 대학생활에, 학문 대학생활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신체 대학생활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환경정보 기반 Context-based Service 추론모델 (Context-based Service Reasoning Model Based on User Environment Information)

  • 고광은;장인훈;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907-912
    • /
    • 2007
  • 현재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은 공간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직접적인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정도의 기술 구현에 그치고 있으며, 앞으로는 좀 더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적인 시스템이 필요해지고 있다. 사용자의 개입 없이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제공할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홈과 같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에서의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환경정보를 Context로 정의하고 4W1H의 형태로 정형화하여 수집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확률 추론을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노드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가에 대한 상황인식을 구현하다. 또한 그 상황 인식결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다시 한 번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통해 추론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버지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자아효능감, 사회적 유능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Self-efficac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 권희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21-334
    • /
    • 2013
  • 본 연구는 아버지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자아효능감, 사회적 유능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만 3, 4, 5 세 유아 195명과 유아의 아버지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와 교사평정, 연구자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언어통제 유형은 지위지향형, 인성지향형, 명령지향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언어통제유형은 유아의 자아효능감 에서는 자아인지, 자아정서와 사회적 유능성에서는 지도력, 유능성, 불안정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서는 놀이단절, 놀이방해,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변인들과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과 유아의 전인발달 도모에 중요한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생체신호를 활용한 학습기반 영유아 스트레스 상태 식별 모델 연구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Stress Status Identification of Early Childhood by Using Bio-Signals)

  • 전유미;한태성;김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8
    • /
    • 2017
  • 오늘날 감정 표현이 서툰 영유아가 처한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를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영유아의 안전을 위협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위험 상황의 실시간적인 인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모델과 생체신호 수집용 스마트 밴드 및 모니터링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감정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 음성 및 심박 데이터의 조합을 활용하여 기존에 널리 알려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 패턴을 학습하고 예측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 식별을 자동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서 궁극적으로 영유아의 위험 상황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예술교육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중학교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s based on the Education and Experience in Arts & Culture)

  • 배현영;이혜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79-9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improvement in clothing life education through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lothing life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s based on the education and experience in arts & culture. On the basis of art &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Dewey's experience, the clothing life area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for the 2nd year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50 students of 9 2nd year classes in M middle school during the 17 periods of clothing life area classes, beginning from May 23rd, 2011 and lasting to September 30th, 2011. The leaner-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level of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o measur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 mind-map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a learning effect survey, which evaluat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lass observation, classes were film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a class were recorded on a teacher's diary and was used to support the qualit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ducation program is analyzed as being helpful and useful in student understanding of fiber, textile and, clothes, which are materials and outcomes of culture and art; moreover, they have a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 in themselves. It is also analyzed as being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 aesthetic sensibility and emotion, for the construction of meaningful experience through a learning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interest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th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learning effect.

IPA매트릭스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유익한 수업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분석 (An Analysis of Recogni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Useful Classes among School Sport Clubs for Program Development using the IPA Method)

  • 문선호;김남영;권일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47-115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analysis of level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recogni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useful classes among school sport club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samples were taken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384 data were used as the final valid samples for this study except 16 data with missing items or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IPA analysis by using SPSS 20.0 were as follows. First, Iquadrant included education contents of enhance ability to ingenuity, teaching method of provides option, teaching method of encourage participation activity, education contents of the aspect of fun, evaluation of motor function and emotion, education contents of explains key contents easily, and education contents of understanding overall context. II quadrant included education environment of good sport facility, class environment of fair opportunity for activity, class atmosphere of arouses interest, and class atmosphere of autonomous and voluntary. III quadrant included diverse teaching method and instructor's demonstration, class atmosphere of systematic learning, evaluation of fairness, objectivity, and credibility, and an atmosphere that can exercise. IV quadrant included education contents of enabl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degree of improvement into consideration, and class atmosphere of trust and respect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

교회 갈등이 교회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신뢰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hurch Conflict on Church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 정구철;이건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05-313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교회 내 갈등이 교회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법으로 기독교 성인 21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회 내 갈등은 대인신뢰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교회 내 갈등은 교회헌신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기독교인의 교회 내 갈등이 교회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인에 대한 인지적 신뢰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기독교인의 교회 내 갈등이 교회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사에 대한 정서적 신뢰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회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관리하기 위해 목사에 대해서는 정서에 기반한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고, 동료 교인에 대해서는 인지에 기반한 신뢰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으며,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교회 조직구성원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였다.

신경망을 이용한 감성인식 시스템 (Emo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Neural Networks)

  • 김나연;신윤희;김수정;김지인;정갑주;구현진;김은이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271-27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영상으로부터 인간의 강성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자동감성인식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220장의 텍스타일 영상을 수집한 후, 일반인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감성과 패턴간의 상관관계, 즉 특정 패턴이 사람의 감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 포함된 패턴의 인식을 위해 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패턴 정보의 추출을 위해 두 가지 특징 추출 방법을 사용한다. 첫 번째는 auto-regressive method를 이용한 raw-pixel data extraction scheme (RDES)을 사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wavelet transformed data extraction scheme (WTDES)을 사용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실제 100장의 텍스타일 영상에서의 감성을 인식하는데 사용했다. 그 결과 RDES와 WTDES를 사용했을 때 각각 71%와 90%의 인식률로, WTDES를 사용했을 때가 RDES를 사용했을 때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데이터 추출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악 81%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감성인식 기반으로 텍스타일 데이터를 검색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