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5.32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Self-efficac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Kwon, Heekyoung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5, 2013 , pp. 321-3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self efficac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The subjects were pairs of 195 three, four and five year-old-children and their fathers. Data were analyz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and bivariate corre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self efficac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Father's person-oriented control verbal mode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elf-recognition, self-emotion, social competence, leadership and interactive peer play while imperative control verbal mode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stability, interrupted play behavior, and disturbed play behavior.
Keywords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self efficacy; social compet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성자, 이승희 (1997).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요인과 자아존중감 요인과의 관계. 아동교육, 6(1), 111-126.
2 주미정 (2004).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공격행동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최경순 (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한민경, 한윤경 (2003). 유아의 셀프 리더쉽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 정서지능의 영향 분석. 미래유아교육, 16(3), 219-250.
5 황연덕, 이진숙 (2012).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33(1), 223-236.
6 Bernstein, B. A. (1971). Class, codes, and control(vol. 1): Theoretical studies towards sciology of languag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7 권희경 (2009).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열린부모교육학회지, 1(1), 27-39.
8 김여가 (1997).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경혜, 안선희 (2005).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 간 요구전략과의 관계.대한가정학회지, 43(12), 113-123.   과학기술학회마을
10 김낙흥, 장소정(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4), 121-138.
11 김성원, 김종현 (2005). 어머니 언어통제 유형변화와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아동연구, 14, 68-78.
12 남진영, 김상미 (2011).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아버지 역할수행의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2), 315-334.
13 남현영, 이소은 (2004).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대인 문제해결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485-496.
14 도혜숙 (1997).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친사회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송해영, 엄정애 (2007). 아버지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4), 87-96.   과학기술학회마을
16 양경수 (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9(2), 75-8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7 장영숙, 강경석, 허은진 (2003).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61-83.
18 우연희, 이종각, 문수백 (2012).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청소년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3(2), 185-20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9 이미경 (2007).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배, 김경숙 (2013).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아동교육, 22(3), 191-206.
21 이양순 (2005).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영화, 유가효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6(1), 89-105.
23 이윤희 (2000). 부모의 언어유형과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전인옥, 이경옥 (1999).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과모형 탐색-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교육신념과 양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양육행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9(1), 169-187.
25 정재용, 김낙흥, 김지혜, 유은영 (2010). 아버지와의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유아 자아유능감 및 아버지 양육참여의 변화. 영유아교육학논집, 14(5), 349-365.
26 정현희, 오미경 (1999).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또래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4), 85-95.   과학기술학회마을
27 정현희, 최경순 (1997).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내외통제성,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5(5), 163-175.   과학기술학회마을
28 정혜진, 이완정 (2007). 어머니의 언어통제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한국보육학회지, 3(1), 39-56.   과학기술학회마을
29 허정묵 (2005).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정서조절력과 유아의 공격성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