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for happiness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4초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al Gratitude Program on Gratitude Disposition and Happi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윤해정;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는 감사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하고, 감사의 정의와 심리적 특성을 개관하여 감사가 행복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감사증진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G초등학교 5학년 학생 62명(남 30명, 여 32명)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학생 31명(남 15명, 여 1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31명(남 15명, 여 1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10회기로 구성되어 있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 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차이검증을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oals,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3-131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 중 긍정적 심리상태는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부정적 심리상태는 우울, 그리고 예비보육교사로서 가지는 목표의 각 변인들이 이들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예비보육교사들로 총 269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목표내용은 이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만족도는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과공부 흥미도가 모두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우울은 이들의 행복에 각각 정적,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에서 자기효능감과 우울이 행복을 예언하였으며 그 중 우울이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을 가장 많이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실태 (The Current Status of Parental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 장혜진;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95-317
    • /
    • 2014
  •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역량 제고를 위하여 영유아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부모역량 Self-checklist 를 개발하여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학계 전문가,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영유아 부모, 유아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Self-checklist 최종 문항 선정을 위해 48인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역량 현황 조사를 위해 전국단위 지역별로 할당하여 영유아 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 580명, 부 420명이 참여하였다. 부모역량 현황을 살펴보면 유형면에서는 인식, 실행, 성장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면에서는 영유아 발달과 건강과 안전 영역 점수가 높았고 생활지도나 지역사회 연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모 관련 변인별로는 모든 측면에서 모에 비해 부의 역량이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부모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외로움과 소비자행복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관계적 소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and Relational Consum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Consumer Happ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명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9-100
    • /
    • 2024
  • 소비자행복이란 소비자가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으로, 관련 변수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로움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공동체의식과 관계적 소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88명의 대학생을 임의표집하고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Hayes의 SPSS Process Macro(version 3.5.2) model 6을 이용하여 직렬 매개분석을 수행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외로움이 소비자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고, 공동체의식과 관계적 소비가 소비자행복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이 원하는 제 1지원 요구도가 경제적인 경우 외로움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 1지원 요구도가 심리·정서적인 경우는 외로움은 공동체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원 요구도에 따라 소비자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메카니즘은 차이를 보였다.

Effectiveness of Teach-Back Self-Management Training Program on Happiness of Breast Cancer Patients

  • Ahmadidarrehsima, Sudabeh;Rahnama, Mozhgan;Afshari, Mahdi;Bidmeshki, Elahe Asa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0호
    • /
    • pp.4555-4561
    • /
    • 2016
  • Self-management training is one of the ways to empower patients to cope with disease. The aim of this before-and-after quasi-experimental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a teach-back self-management training method on breast cancer patient happiness. Fifty breast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Park-e Neshat Limited Surgery Clinic in Kerman, Iran were randomly divided into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after convenience sampling and checking for inclusion eligibil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demographic questionnaire and the Oxford Happiness Inventory before and after teach-back training and analyzed using SPSS 23. Finding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happiness scores in the two groups before the intervention. However, after the intervention, the mean happiness score in the intervention group increased from 37.2 to 62.9, while it decreased from 41.4 to 29.8 in the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confounding factors such as residence location and history of cancer education, th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 teach-back self-management training program can increase happiness levels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refore, the use of this method is recommended to improve self-management and increase happiness.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 이창식;박지영;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5-43
    • /
    • 2017
  •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1274명을 대상으로 충청남도 D시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교급,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자아존중감은 성, 학교급, 가족 형태,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행복감은 성별, 학교급,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모두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초, 중학생인 경우 부분매개하였고, 고등학생인 경우 완전매개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으로 인하여 행복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하였다.

산업장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Happiness Indexes among Industrial Workers)

  • 윤현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313-321
    • /
    • 2013
  • 본 연구는 경북지역 294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에 구강건강 행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의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산업장 근로자들을 위한 구강보건계획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1년 내 정기검진여부에서는 정기검진을 받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2), 5문항 행복지수(0.012)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1년 내 스켈링을 받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3)모두 높게 나타났다. 칫솔질 횟수에서는 칫솔질 횟수가 많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23)으로 높았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41), 5문항 행복지수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근무지에 칫솔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플 때 즉시 치과방문이 가능한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업장 근로자들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into Happiness of Two Elementary Gifted Students)

  • 전병옥;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99-420
    • /
    • 2014
  • 이 연구는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하여 주목한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 사례를 통해 이들이 인식하는 행복 경험과 행복하지 않은 경험, 이들의 행복 조건, 더불어 이들이 행복 관련 부정정서를 줄이고 더 행복하기 위해 하는 노력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므로 영재들에게서 행복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명의 초등영재 아동은 그들이 경험하는 강한 행복 경험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과 '내 힘과 노력으로 이루는 성취의 희열' 그리고 '가족의 신뢰와 사랑, 지지'를 이야기하였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며 두 초등영재아동은 '내가 좋아하는 활동으로 마음 다스리기', '될 때까지 하고 또 하기'를 통해 행복하지 않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두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행복에 있어 인지적 측면의 지원만큼 정서적 측면의 지원이 중요하며 영재아동의 정서 문제에 부모 변인이 절대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개입이 자녀를 잘 키운다는 것과 구분되는 것임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현장적 논의점이 탐색되었다.

유아의 용기와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및 의사결정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decision mak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age and happiness in young children)

  • 원명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68-57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용기와 의사결정력, 행복감과 의사결정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용기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의사결정력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와 G지역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20명(남아 112명, 여아 10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용기, 행복감과 의사결정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찬옥, 이은영(2011)의 교사용 유아 용기 척도, 박지영(2012)의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측정도구, 김도란(2008)의 행복감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용기와 행복감, 용기와 의사결정력, 행복감과 의사결정력은 각각의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용기는 행복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의사결정력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즉, 용기 및 의사결정력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이 지원되어야 한다.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 of Happiness in the Employees of SME Manufacturing industry)

  • 이숙;박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61-371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의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이 연구에 동의한 근로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최종 대상은 139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은 연령, 학력, 종교, 월수입, 월수입 만족도, 직급, 근무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행복감은 자아 존중감과 대인 돌봄 인식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직무 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행복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은 자아존중감이었고, 그 다음은 대인돌봄인식 이었다. 이 들 변수의 설명력은 46.6%이었다.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자아존중감, 대인돌봄인식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