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실태

The Current Status of Parental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 투고 : 2014.02.16
  • 심사 : 2014.04.22
  • 발행 : 2014.04.30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역량 제고를 위하여 영유아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부모역량 Self-checklist 를 개발하여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학계 전문가,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영유아 부모, 유아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Self-checklist 최종 문항 선정을 위해 48인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역량 현황 조사를 위해 전국단위 지역별로 할당하여 영유아 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 580명, 부 420명이 참여하였다. 부모역량 현황을 살펴보면 유형면에서는 인식, 실행, 성장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면에서는 영유아 발달과 건강과 안전 영역 점수가 높았고 생활지도나 지역사회 연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모 관련 변인별로는 모든 측면에서 모에 비해 부의 역량이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부모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parental capacity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s happiness. It extracts a core parental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from the international index such as OECD well-being, UNICEF Children's welfare, International survey of children's well-being, and Korean children's key index. Based on the extracted core parental capacity, this study developed a self-checklist aiming to perceive parents' capacity status and suggest a political plan in order to improve parents'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The self-checklist has a total of 66 questions and is composed of 7 domains; Child development, Health and Safety, Family relation, Physical and material environment, Play, Guidance in life, and Community engagement.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 domains of Development of children as well as Health & Safety are reported as the highest value at 4.1 point; on the contrary, those of Guidance in life and Community engagement are reported as the lowest value at 3.8 point. In terms of age, it was reported that the capacity of parents under 35 years-old was better than that of parents over 35 years of age. As for family income, it was revealed that the order of parents' capacity generally depends on the family incom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정(2009). 다문화가족 모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111-125.
  2. 강기정, 정은미(2008). 여성가장의 부모역할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연구, 5(1), 117-133.
  3. 강혜원, 박지연(2011).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양육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1), 1-25.
  4. 국립국어원(2013). 표준국어대사전. (2013. 4. 29)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5.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6. 김연화, 강문희(2008).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9(6), 35-54.
  7. 김현주, 김은영, 황인주, 이승미(2008). 자녀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활동집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육아지원연구, 3(2), 177-192.
  8. 도남희(2013).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위한 실질적 지원대책 필요. 육아정책연구소 브리프 9월호.
  9. 박수선, 강기정(2008). 부모교육실천을 위한 부모코칭 모형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모교육연구, 5(2), 27-55.
  10. 박재국, 서보순, 김혜리(2011).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1), 61-85.
  11. 박현숙, 구현영(2010). 부모역할 핵심역량지원 프로그램이 청소년 학부모의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9(4), 411-419.
  12. 박희진, 문혁준(2012).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21-137.
  13.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14. 신용주(2009).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2(3), 47-72.
  15. 이명숙(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구안. 한국가족복지학, 16(3), 209-224.
  16. 이은경(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재분, 김혜원, 변종임, 채재은(2009). 다문화가족 역량 개발을 위한 통합적 교육지원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18. 이주옥(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19. 전미경, 장재숙(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20. 정계숙, 김정혜, 김미정(2003).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변화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9(-), 117-140.
  21. 정대현, 신원애(2012).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 탐색 및 검사도구 개발.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1), 181-208.
  22. 최애경(2012).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경험한 장애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263-281.
  23. 통계청(2013). 국가통계포털. (2014. 4. 3).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 TabId=M_01_01#SubCont.
  24. Azar, S. T., Lauretti A. F. & Loding B. V. (1998). The Evaluation of parental fitness in termination of parental rights cases: a functional-contextual perspectiv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2), 77-100. https://doi.org/10.1023/A:1021883611965
  25. Azar, S. T. & Cote, L. R. (2002). Sociocultural issues in the evaluation of the needs of children in custody decision making: what do our current framework for evaluation parenting practices have to offer?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25, 193-217. https://doi.org/10.1016/S0160-2527(02)00102-4
  26. Conley, C. (2003). A review of parenting capacity assessment reports. OACAS Journal, 47(3), 16-22.
  27.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28. OECD (2009). Doing better for children. OECD Publishing.
  29. OECD (2013). Starting strong 3: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신동주, 장혜진, 이경옥 옮김). 서울: 덕성여자대학교(원판 2012).
  30. Rees, G., Bradshaw, J. & Goswami, H. (2010). Developing an index of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England. London. The Children's Society.
  31. Seligman, Martin, E. D.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32. Turnbull, A. P., & Turnbull, III, H. R. (1997).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artnership (3rd ed.). CB: OH Merrill.
  33. Uusitalo-Malmivaara, L. (2012). Global and school related happiness in Finnish childr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4), 601-619. https://doi.org/10.1007/s10902-011-9282-6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a Parent Empowerment Program Applying MBTI for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26, pp.4, 2017,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4.353
  2.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mothers' perceptions towar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vol.36, pp.1,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1.021
  3.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eeling of happiness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perceived: Q-methodological approach vol.11, pp.3, 2014, https://doi.org/10.16978/ecec.2016.11.3.009
  4. Job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wareness 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of Preschool Teachers via DACUM Method vol.8, pp.1, 2014, https://doi.org/10.30528/jolss.2018.8.1.002
  5. An Explo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Father’s Body Movement Play with Infant Child of Becoming a Father: Focusing on Experience at the G Play Education Institute vol.40, pp.4, 2014, https://doi.org/10.5723/kjcs.2019.40.4.29
  6. 학령전기 장애 아동 부모와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과 놀이 참여 비교 연구 vol.9, pp.1, 2020, https://doi.org/10.22683/tsnr.2020.9.1.069
  7. Analyzing the Typology of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and Identifying the Predictors of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vol.42, pp.2, 2014, https://doi.org/10.5723/kjcs.2021.42.2.219
  8.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Based Parenting Program for Working Parents with Infants and its Effect on Parents’ Verbal Behaviors, Responsiveness and Co-Parenting vol.42, pp.2, 2014, https://doi.org/10.5723/kjcs.2021.42.2.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