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and training

검색결과 7,124건 처리시간 0.032초

디지털 시대의 융·복합 교육을 위한 영어영재 교사교육 방안 (Way of Training English Teacher's of Verbally Talented Children for convergence-based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 박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85-192
    • /
    • 2016
  • 본 논문은 영재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영어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영어교육과 영재교육의 지식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먼저, 지나치게 원어민 중심, 속진 중심 영어전용 교육 중심의 영어교육과 영어교사 교육에 내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다음으로 영재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먼저 이 두 분야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향에 따른 영재 영어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한다. 지나치게 영어 하나에 초점을 둔 현재의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이중언어 중심의 내용중심과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융 복합 기반의 표현중심 영재 영어교육을 해야 하고 그에 맞는 영재 영어교사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국내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 송은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7-474
    • /
    • 2023
  •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많은 인재가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재난 안전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가상현실 디바이스 및 제작 기술이 발전하며, 안전교육 분야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훈련시스템 활용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가상훈련시스템은 몰입감이 뛰어나고 시공간의 제약없이 다양한 재난상황을 체험할 수 있어 훈련 및 교육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들을 수집 조사하여 국내 재난안전 가상훈련 콘텐츠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중등학교 과학교육의 내실화방안에 대한 연구 -중등 과학교사교육 및 재교육- (A study on the Program for substantial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 조희형;이문원;조영신;한인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2
    • /
    • 1989
  • Secondary schools in Korea have been faced with with several critical problems with regard to science education, with one of the most fundament problems being associated with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which is a part of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had its purposes to inquire into the following are as. ${\circ}$system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circ}$curricular contents and its operation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circ}$system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its operations ${\circ}$analyses of problems associated with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fulfill these objectives this study used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circ}$curricular hour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for competent science teacher. opportunities for self-training in major are as are seldom given to the most of the science teachers ${\circ}$systematic organization for in-service traings is in urgert need. In addition to there-findings strategies for improv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 PDF

Model of Future Teacher's Professional Labor Training (Art & Craft Teacher)

  • Tytarenko, Valentyna;Tsyna, Andriy;Tytarenko, Valerii;Blyzniuk, Mykola;Kudria, Oks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21-30
    • /
    • 2021
  • Economic transformations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role of creative assets and their central role in public life. Changes in creative activity have led to a change in the organization of the work of institutes engaged in the training of specialists, in particular teachers of labor education. Methods and approaches to training determin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being the basis for models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training. The purpose of an article was to develop a modern mod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training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e economy. The methodology is based on the concepts of holistic craft and creative economy. Based on the integration of pedagogical learning models "Craft as design and problem-solving", "Craft as skill and knowledge building", "Craft as product-making" and "Craft as self-expression" developed and experimentally confirmed the conceptual mod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training. The proposed model forms a practitioner with professional, technical, digital and creative skills who is able to transfer the experience to students. The training course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has been developed. The model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urse based on the strategy of developing professional creativity, flexibility, improvisation, openness, student activity, joint practice, student-oriented approach. The practical value implies the adaptation of the developed model of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teachers of labor education during the training of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which is confirmed in the experiment.

총체적 인적자본형성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분석

  • 송위섭;이기재
    • 한국인구학
    • /
    • 제14권1호
    • /
    • pp.1-25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ribution of the total human capital formation to economic growth in Korea. In order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total human capital formation to economic growth,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s are estimated using two ways of ordinary least squares and polynomial distributed lags based on 1955 - 1988 time series data in Korea. The total amount of investment in human capital is calculated by adding each amount of investment in formal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inter-provincial migration, and health in pecuniary te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f we enumerate the variables in good order according to the importance, we get the following ; namely, total number of labor force, inter-provincial migration, vocational training, health, physical capital, and formal education. (2) The contribution of the human capital to economic growth is much more larger than that of physical capital. In particular, it appears that inter-provincial migr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conomic growth. (3) It appears that investment in formal education has a continuous effect for fifteen years and maximum effect is observed approximately eight years later. In the case of vocational training, the effect of investment lasts for about 12-14 years and its effect on economic growth reaches maximum with the passage of seven to eight years after initial investment. (4) Investment in vocational training contributes more in the long run compared with investment in formal education. The effect of investment in formal education lasts longer than that of vocational training, while the effect of investment in vocational training is considerably larger in the short run compared with the investment in formal education.

  • PDF

충청남도 정예공무원의 사이버교육 인식과 발전방안 (The Recognition of Cyber Educ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Chungcheongnam-do Civil Servants)

  • 송승훈;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84-2190
    • /
    • 2017
  •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기업교육, 군 장병교육, 평생교육시설은 물론 공무원 교육훈련제도까지 도입이 되었다. 국가공무원의 경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사이버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교육과 지방공무원은 15개 시 도 공무원교육원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공무원 상시학습제도의 도입으로 연간 일정시간 이상 교육 훈련받는 것을 의무화하였고 사이버교육이 공무원교육훈련에 활성화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관점에서 사이버교육 운영의 인식을 사이버 교육 참여했던 충청남도 정예공무원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조동헌;이형국;배성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0-208
    • /
    • 2019
  •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board Training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

  • Kim, Hong-Ryeol;Kim, Bu-G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0-276
    • /
    • 2013
  • The educational process and result of onboard training should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1995 Amendment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STCW), 1978. In particular, the revised Convention requires that a trainee's seagoing service must be recorded in each cadet's Training Record Book approved by the maritime administration responsible for the issuance of certificates of competency. Trainees for certification under regulation III/1 of the STCW Convention are required to complete an approved on-board training program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ompliance of the education for an approved on-board training programm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mong 110 cadets being trained on board the training ship of the maritime college of the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is related to the on-board training programme such as marine engineering;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and care for persons on board; electrical, electronic and control engineering; etc. The survey revealed that onboard training program was normally satisfactory, however, lack of practical training tools and time have accounted for most of the reasons for dissatisfaction. Therefore, it is our goal to enhance the satisfactory value of onboard train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ason of the dissatisfac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aker Education

  • Kim, Jin-Ok;Lee, Tae-Wuk;Chung, Hyunsong;Jung, Eun 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213-2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반의 SCID(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절차 모형의 단계에 따라 메이커 교육을 위한 역량 기반의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DACUM 기반의 SCID(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절차 모형의 단계에 따라 메이커 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내용, 대상, 시간, 방법, 선수 과목 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역량 기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성을 평가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본 연수 프로그램이 메이커 교육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3년(2021-2023) 교원 중점 추진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for the Past Three Years (2021-2023))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3-31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3년(2021년, 2022년, 2023년) 교육부 교원양성 연수과에서 발표하는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에 교원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년 교원 연수 추진 배경은 변화된 것이 없었다. 최근 3년의 교원 연수 추진 배경은 교원 전문성 신장, 미래 환경 대응, 교원 연수 질 제고, 교육정책 추진력 확보이다. 추진 배경 세부 내용도 최근 3년 변함이 없다. 둘째, 최근 3년 교원 연수 비전의 경우 교원 연수체제 혁신이다. 이를 위하여 2021년에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 선도를, 2022년에는 미래 공교육 선도를, 2023년에는 개별 학생 맞춤형 교육지원을 비전으로 하고 있다. 연수 목표의 경우 2021년에는 교원 생애 단계에 맞는 지속적 전문성 신장과 미래 교육환경에 부합하는 교원 핵심역량 제고를, 2022년에는 미래 교육체제에 적합한 교원 역량 강화와 교원 연수 내실화를 통한 사회적 신뢰 확보를, 2023년에는 미래 교육체제에 적합한 교원 역량 강화와 교원 연수 내실화를 통한 교실 수업의 변화에 두고 있다. 최근 3년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은 3가지이다. 첫째, 맞춤형 연수지원, 둘째, 미래형 연수체제 강화, 셋째, 교원 연수 내실화이다. 이 세 가지는 최근 3년 모두 유사하다. 결론적으로 최근 3년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