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chloromethane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9초

LC-MS/MS를 이용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시료의 톨트라주릴 및 톨트라주릴 설폰 분석 (Determinations of Toltrazuril and Toltrazuril Sulfone Level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ampl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 홍도희;김아현;이가정;윤민철;손광태;김명석;김나영;정승희;조미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61-467
    • /
    • 2019
  • Several studies investigating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xternal parasites in farm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have found that the anticoccidial agent toltrazuril sulfone is an effective antiparasitic. Prior to undertaking a full-scale study, we developed analytical methods to detect the levels of toltrazuril and toltrazuril sulfone in farmed flounder sampl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is analysis showed that LC-MS/MS changed the mobile phase and collision energy of toltrazuril and toltrazuril sulfone. This was validated using established conditions. Sample pre-treatment for this process involved extraction with dichloromethane and purification by liquid-liquid extraction in formic acid, acetonitrile, and h-hexane, followed by determination of all compounds by LC-MS/MS. Separation was achieved within 10 min by gradient elution using a Capcell Pak C18 ($3.0{\mu}m$, $100{\times}2.0mm$) analytical column (Shiseido UG 120V) with a mixture of 0.1% (v/v) formic acid and acetonitrile.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was used for selective detection of toltrazuril and toltrazuril sulfone. This method yields satisfactory results for linearity, precision,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Therefore, the method established in our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parasite control by toltrazuril and toltrazuril sulfone.

사방오리(Alnus firma)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lnus firma Extracts)

  • 최혜정;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8
    • /
    • 2019
  • 본 연구는 사방오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사방오리는 메탄올(MeOH) 분획에 가장 높은 총 페놀화합물($452.80{\pm}7.01{\mu}g$ gallic acid equivalents/mg)을 그리고 에틸에세테이트(EA) 분획 에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12.29{\pm}11.14{\mu}g$ rutin equivalents/mg)과 가장 높은 총 항산화 활성($936.23{\pm}0.07{\mu}g$ ${\alpha}$-tocopherol equivalents/mg)을 가지고 있었다. 사방오리의 용매 추출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아스코빅산 등 표준 물질과 비교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beta}$-carotene-linoleate 에세이, 환원력 측정, ferric thiocyanate법으로 지질과산화 억제력 측정 그리고 금속 킬레이팅능 측정 등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250{\mu}g/ml$ 농도의 사방오리 EA와 MeOH 분획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각각 92.43와 89.20%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50{\mu}g/ml$의 EA분획은 72.49%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gallic acid의 소거능(60.88%)보다 조금 높았다. 또한 ${\beta}$-carotene-linoleic acid 시스템에 의한 과산화 억제능 조사에서 0.5과 1 mg/ml 농도의 EA 분획이 각각 73.45와 73.29% 억제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EA 분획 > BuOH 분획 > DCM분획 > HX분획 순 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에서 사방오리는 천연 항산화제제 개발을 위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잠재적인 자원으로 판단된다.

함초 추출물의 세포사멸 유도에 의한 난소암세포에서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in OVCAR-3 cells by induction of apoptosis pathway)

  • 라유리;이유림;이동석;김수환;이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4-3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천연유래 물질로부터 apoptosis를 유도하여 항암 활성이 있는지에 관한 실험으로 사람 난소암 세포주인 OVCAR-3 세포에 함초의 유기용매별 추출물을 처리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MTS 측정으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DCM 분획물에서 농도별로 유의적인 세포수의 감소를 보였으며, annexin V/FITC-PI 염색에 의해 apoptosis 유도로 세포가 사멸함을 확인하였다. DCM 분획물 처리는 세포주기에서 Sub-G1기의 증가로 세포증식이 억제됨을 보여준다. 세포의 내인성 경로에 관여하는 Bcl-2 family에 속하는 Bax, Bak, Bcl-2, Bcl-xL의 상호작용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DCM 분획물처리에서 Bax, Bak가 증가하고, Bcl-2의 감소를 동반하여 세포사멸의 신호전달 경로가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초를 이용하여 여성의 난소암에 예방적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함초의 DCM 분획물에 대해 깊이 있는 심층적 연구가 요구된다.

산마늘로부터 단리한 kaempferol과 quercetin의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 (Cholesterol inhibitory activitie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isolated from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이성숙;문서현;이학주;최돈하;조명행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17-27
    • /
    • 2004
  • 식용 임산자원인 산채류를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고자 산마늘을 비롯한 총 13종의 에탄올 조추출물에 대한 콜레스테롤 저하활성을 검정하였다. 즉,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 초기에 관여하는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HMG-CoA reductase)와 후기에 관여하는 squalene synthase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산마늘 잎 에탄올 추출물이 두 효소의 활성을 공히 70% 이상 저해하여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콜레스테롤 저하활성과 관련이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산마늘로부터 물질 단리를 시도하여 디클로로메탄 가용부로부터 kaempferol과 quercetin을 단리하였다. 또한 유전자 레벨에서의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단리물질과 분획물을 C100세포(햄스터 유래 HMG-CoA reductase 고발현 세포주)에 각각 5 ㎍/㎖과 10 ㎍/㎖로 24시간 처리하여 HMG-CoA reductase와 squalene synthase의 mRNA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 ㎍/㎖로 kaempferol과 quercetin을 처리한 경우 두 효소의 mRNA가 전혀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유전자 레벨에서의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산마늘 잎 에탄올 추출물은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관여하는 HMG-CoA reductase와 squalene synth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이러한 활성 저해 효과는 kaempferol과 quercetin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kaempferol과 quercetin은 여러 식물의 성분으로서 이미 알려진 화합물이지만 콜레스테롤 저하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금후 이들 물질과 이들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사료된다.

혈관내피세포에서 토복령(土茯苓)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ractionated Extract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 이창현;이효승;김재은;허숙경;차창민;원찬욱;박선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50
    • /
    • 2009
  • Objectives : Smilacis glabrae rhizoma (SG)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herbal medica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like arthritis, pain, convulsions, and syphili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ractionated extract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Methods : SG extract prepared with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Inhibitory effect of SG onto free radical gener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DPPH, superoxide anions and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ies in vitro. Cytotoxic activity of extracts on RAW 264.7 cells was measured using 5-(3-caroboxymethoxy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assay. Intracelluar oxidation was analysed by DCF-DA assay.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measured by Griess reagent system. The levels of ICAM-1 and VCAM-1 expression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measured by ELISA kit. Results : Our results indicated that fractionated extracts, especially ethyl acetate (E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free radical generation, the TNF-$\alpha$-induced intracellular oxidation. Furthermore, the EA extract protected TNF-$\alpha$-induced adhesion to THP-1,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accompanied by an attenuation of IL-6 and IL-8 formation in HUVEC.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A extract of SG have potential as an agent of atherosclerosis and other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diabetes, hypertension, and arthritis.

수산식품 중 말라카이트그린 및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의 분석 (Analysis of malachite green and leuco-malachite green in sea food)

  • 최동미;홍순근;임무혁;정지윤;장문익;박건상;홍무기;우건조
    • 분석과학
    • /
    • 제19권2호
    • /
    • pp.142-148
    • /
    • 2006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어류 중 말라카이트그린 및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의 최적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국내유통 수산식품을 분석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에 분산시켜 농축 후 메탄올에 용해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과 아세테이트 완충용액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검출파장은 620 nm이었다.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을 말라카이트그린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하여 산화납(IV) 컬럼을 분석컬럼 뒤에 연결하여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을 말라카이트그린으로 산화하였다. 상관계수($r^2$)는 말라카이트그린이 0.9989,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이 0.9995이었으며, 검출한계는 신호대 잡음비 3 이상에서 말라카이트그린과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의 합으로서 0.005 mg/kg이었다. 회수율은 84~98%(CV는 3~16%)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분석결과 잉어 및 붕어 서료에서 류코말라카이트그린이 검출되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 분석 (A sensitive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and 1,3-dichloropropan-2-ol in various foods by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er)

  • 김은주;박성국;최동미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543-552
    • /
    • 2008
  •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인 3-MCPD (3-monochloropropane-1,2-diol, $C_3H_7ClO_2$, MW. 110) 및 1,3-DCP (1,3-dichloropropan-2-ol, $C_3H_6Cl_2O$, MW. 128)를 분석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확립하였다. 시료를 5M NaCl용액으로 균질화 한 후 알루미늄옥사이드와 섞어 유리컬럼에 충진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시료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을 용출하였다. 용출된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은 감압증류장치와 질소가스로 농축한 뒤 HFBA (Heptafluorobutyric anhydride, $C_8F_{14}O_3$, MW. 410)로 유도체화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3-MCPD-HFBA 유도체화 화합물(MW. 502)은 m/z 253, 275, 289, 291, 453를 선택이온으로 하고 1,3-DCP-HFBA 유도체화 화합물(MW. 325)은 110, 275, 277를 선택이온으로 설정하여 정성 정량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3-MCPD 및 1,3-DCP 모두 0.01 mg/kg이었고, 0.01~1.00 mg/kg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성($R^2{\geq}0.999$)이 좋았으며 평균회수율은 약 97%내외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 중 클로로프로판올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0.0~0.3 mg/kg (n=56/157) 수준으로 3-MCPD로 검출되었다.

GC/MS를 이용한 고산 홍경천의 스테롤 구성에 대한 초기연구 (Primary study of sterols composi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 by using GC/MS)

  • 김은철;이희봉;이동호;노경호
    • 분석과학
    • /
    • 제22권3호
    • /
    • pp.219-227
    • /
    • 2009
  • 고산 홍경천에 포함된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구성을 흡착 컬럼 크로마토그래픽 정제와 GC/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테롤은 에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을 각각 초음파와 Soxhlet의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클로로포름과 물로 액-액 추출을 수행하여 분배하였으며,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하였으며, BSTFA를 사용하여 silyl유도 반응을 수행하였다. GC/MS를 이용하여 고산 홍경천에서 $\beta$-sitosterol, stigmasterol과 cycloartenol을 포함한 18가지 자유 스테롤과 9가지 포합체 스테롤을 검출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 cholest-5-ene-3-ol, chol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은 스테롤 표준품으로 확인하고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스테롤은 클로로포름 분액에서 검출되었고, $C_{29}$는 여러 그룹 중에서 가장 많은 그룹이었다. $\beta$-sitosterol은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이며 상대함량은 45.94%이고, 차례로 ergost-7-ene-3-ol (11.33%), 4,14-dimethyl-ergosta-8,24(28)-diene-3-ol (7.07%), stigmasterol (6.09%), cycloartenol (5.43%)과 4-methyl-cholest-5-ene-3-ol (5.39%)이었다.

Assessment of In vitro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phaeranthus africanus Extracts

  • Tran Thi Huyen;Julien Dujardin;Nguyen Thi Thu Huong;Chung Thi My Duyen;Nguyen Hoang Minh;Ha Quang Thanh;Dao Tran Mong;Ly Hai Trieu;Nguyen Mai Truc Tien;Mai Thanh Chung;Nguyen Nhat Minh;Nguyen Thi Ngoc Dan;Huynh Lo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98-103
    • /
    • 2023
  • Sphaeranthus africanus is commonly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for sore throats and pain treatment in Vietnam. The aerial parts have been studied for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However,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otential of the plant has not been explored. In this work, hydrophilic extracts of the plant's aerial parts were prepared in order to investigate it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Also, the cytotoxicity of the root was evaluat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aerial parts. All of the extracts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with IC50 values ranging from 2.05 to 3.56 ㎍/mL, indicating substantial antioxidant activity. At an IC50 value of 4.80 ㎍/mL, the 50% ethanol extract exhibited the most potent inhibition of α-glucosidase. The cytotoxic activity of root extracts is 2 to 5-fold less than that of the aerial parts. Nevertheless, dichloromethane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the root demonstrated a selective effect on leukemia cells, with no harm towards the normal HEK-293 cell line. This work provides a scientific support for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the plant. Hence, it may find a promising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gents. More research can be conducted on the phytochemist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plant's root.

세척제 용매 중독 사례와 국내·외 규제 검토를 통한 할로겐화 용매 세척제 사용의 문제점 고찰 (Review of Problems with Use of Halogenated Cleaning Solvents Revealed through Case Studies of Cleaning Solvent Poisoning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Regulations)

  • 이나루;이혜진;정수진;이도희;신아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17-527
    • /
    • 2023
  • Objectives: We examine cases of chemical poisoning that occurred in the cleaning of metal parts and the regulations on halogenated solvents in other countries and propose regulations necessary to prevent chemical poisoning from halogenated solvents. Methods: We collected cases of chemical poisoning through the website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focusing on regulations related to halogenated solv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particularly for cleaning metal parts. Amo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submitted to the government, MSDS containing eleven substances were extracted to confirm the composition and product use. We investigated cleaning methods for metal parts used in South Korea. For the hazard classification, the European Chemicals Agency or Japan's NITE's website was used. Results: In the case of poisoning, the cleaning methods involving trichloromethane were dipping and dry, which was not found in the lit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many halogenated solvents and dimethyl carbonate were used for metal cleaning in South Korea. In vapor degreasing using TCE in the USA, even if the facility is strictly managed, such as by installing cooling coils in open cleaning facilities, the risk of exposure to TCE is considered to be not only carcinogenic but also a concern for acute and chronic effects. In comparison, exposure through Korean work methods such as dipping and drying operations is inevitably much higher. Conclusions: The transition to water-based cleaning with low-hazard chemicals should be a priority in the cleaning process. In the case of metal parts that require precise cleaning, if the use of a halogenated solvent is inevitable, a closed degreasing facility should be used to minimize exposure. The current regulations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the Ai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do not require cleaning facilities to minimize emissions. To protect the health of workers using halogenated solvents to clean metal parts, regulations that require a fundamental reduction in exposure will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