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mulative exposur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초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이 호흡기계(呼吸器系)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samjungchuntang on the Respiratory System in Experimental Animals)

  • 김호순;신조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09-427
    • /
    • 1998
  • Insamjungchuntang has been used in Korea for many centuries as a treatment for respiratory disease. The effect of Insamjungchuntang on tracheal smooth muscle is not know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samjungchuntang on histamine and acetylcholine induced trach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 rats and guinea pigs. Guinea pig (500 g, male) and Sprague Dawley rats (200 g, male) were killed by $CO_2$ exposure and a segment (8-10 mm) of the thoracic trachea from each rat and guinea pig was cut into equal segments and mounted 'in pairs' in a tissue bath. Contractile force was measured with force displacement transducers under 0.5 g loading tension. The dose of histamine (His) and acetylcholine (Ach) which evoked 50% of maximal response $(ED_{50})$ was obtained from cumulative dose response curves for histamine and acetylcholine$(10^{-7}{\sim}10^{-4}\;M)$. Contractions evoked by His ($ED_{50}$) and Ach $(ED_{50})$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by Insamjungchuntang. In guin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acetylcholine induced contraction was $38.58\(p<0.05)\;after\;10{\mu}l/ml$ Insamjungchuntang, $90.75\(p<0.01)\;after\;30{\mu}l/ml$. Insamjungchuntang and $133.17\(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In rat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acetylcholine induced contraction was $10.0\(p<0.05)\;after\;10{\mu}l/ml$ Insamjungchuntang, $80.71\(p<0.01)\;after\;30{\mu}/ml$ Insamjungchuntang and $118.29\(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Also, in guin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histamine induced contraction was $45.5\(p<0.01)\;after\;10{\mu}l/ml$ lnsamjungchuntang, and $93.17\(p<0.01)\;after\;30{\mu}l/ml$. lnsamjungchuntang $134.50\(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In rat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histamine induced contraction was $37.83\(p<0.01)\;after\;10{\mu}l/ml$ lnsamjungchuntang, $90.5\(p<0.01)\;after\;30{\mu}l/ml$ Insamjungchuntang and $135.17\(p<0.01)\;after\;100{\mu}l/ml$ Insamjungchuntang. Propranolol $(10^{-7}\;M)$ slightly bu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Insamjungchuntang. Following treatment with propranolol,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46.42% in guinea pig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5.43% (p<0.05) in rat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49.0% in guinea pig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Insamjungchuntang fell to 48.6% (p<0.05) in rat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Indomethacin and methylene blue $(10^{-7}\;M)$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inhibitory effect of lnsamjungchuntang. Also, I could find the effects of lnsamjungchuntang and Insamjungchuntanggamorphine on the tracheal smooth muscle in guinea pig and ra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samjungchuntang can relax histamine and acetylcholine-induced contraction of guinea pig and rat tracheal smooth muscle, and that this inhibition involves sympathetic effects.

  • PDF

GCI(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및 확률강우량을 고려한 인제지역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Landslide Vulnerability Mapping considering GCI(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and Rainfall Probability In Inje)

  • 이명진;이사로;전성우;김근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21-47
    • /
    • 2013
  • GCI(Geospatial Correlative Integration) 중 Frequency ratio 모델을 적용하여 2006년 태풍 에위니아에 의하여 발생한 강원도 인제 가리산리 지역의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연구지역의 미래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여 미래 목표연도별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산사태 취약성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기후노출은 확률강우량, 민감도는 지질, 지형도(경사, 경사방향, 곡률도), 토양도(토양 지형, 토질, 토양 배수, 토양 모재 및 유효토심) 및 적응능력으로 는 임상도(영급, 경급, 소밀도 및 수종) 등을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전체 산사태 발생 위치는 470개소며 이 중 50%는 Frequency ratio 및 Neural network 모델의 산사태 발생 지역으로 적용하였으며, 나머지 50%는 취약성도 검증에 활용하였다. 산사태 발생 강우량 임계치는 3일 누적 449mm로 적용하였다. 확률강우량은 1973년부터 2006년까지의 실측 강우량을 정리하여 2106년까지 목표연도별(1년, 3년, 10년, 50년 및 100년)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지역은 경사도가 다른 항목에 비하여 산사태 발생에 높은 가중치를 나타냈으며 경사도 항목의 세부 항목의 산사태 발생과의 상관관계에서는 경사도 $25{\sim}30^{\circ}C$인 지역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강우량의 증가에 의하여 미래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 2006년을 기준으로 2100년까지 약 110% 증가하였다. 앞으로 강우량의 변화에 의한 산사태 위험성 분석에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기존에 확률강우량 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산사태 발생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고, 기존 산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기후 변화를 고려한 국내 산사태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분석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산사태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산사태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 체제 구축을 위하여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 PDF

제 3기 흉선종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Role of Radiation Therapy for Stage III Thymoma)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16-20
    • /
    • 2001
  • 목적 : 제 3기 흉선종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제 3기 흉선종으로 진단받고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4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명은 완전 절제술을 시행받았고 17명은 불완전 절제술을 나머지 6명은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았다. 환자의 나이는 20세부터 62세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평균연령은 47세였다. 남녀의 성비는 14대 10였다. 6 또는 10 MeV 리니악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종격동 및 알려진 잔여병변부위를 조사하였다. 쇄골하 림프절은 조사야에 포함되지 않았다. 조사된 총 방사선 양은 30 내지 56 Gy였으며 한명만이 30 Gy를 조사 받았고 18명은 최소한 50 Gy이상을 조사 받았다. 추적기간은 12개월 내지 8년이었고 중앙값은 40개월였다. 결과 : 전체 환자에서 전반적인 국소제어율은 5년에 $67\%$였다. 1년, 3년 밑 5년 국소재발율은 각각 $18\%,\;28\%$$33\%$였다. 불완전 절제술 및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은 각각 $76\%$$33\%$였다. 5년 생존율은 관찰치가 $57\%$, 조정치가 $72\%$였다. 불완전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와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2\%$$30\%$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 제 3기 흉선종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 사료된다. 수술시 절제면에 가깝거나 특히 불완전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thasone점안액의 대체약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E 처리하여 얻어진 영상이 해부학적 구조를 판독하는데 도움이 죄었다. 결론 : GSE 영상의 재구성은 대조도를 증가 시킬뿐 아니라 인체내 관심부위의 농도분포를 별도로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중방사선조사(double exposure)에 의해 발생되는 화질의 저하를 보정함으로써 화질 개선을 가능하게 하였다. Linacgram 화질 개선은 simulation image 및 치료계획에서 발생한 DRR과 multi-layer 중첩영상 분석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 비교 시 치료부위의 신속하고 정밀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였다.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터에서 DRR을 구현했을 때 각각의 치료 조건들에 대해 오차가 임상적용 범위 안에 있어서 이 팬톰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QC/QA에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에서의 NOS2 mRNA의 발현을 시작으로 비교적 일관된 발현 양상을 보여 주었고 그에 따라 폐포세척액 내의 NO 및 TGF-$\beta$ 단백의 양이 변하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56일 째에는 NOS2와 TGF-$\beta$가 모두 발현하여, 좀 더 많은 개체 수를 대상으로 장기간을 통해 발현 양상을 관찰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NOS2 억제제를 사용하여 TGF-$\beta$의 발현 양상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었다.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 PDF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SNS 이용중단 의도 (An Empirical Study of Discontinuous Use Intention on SNS: From a Perspective of Society Comparison Theory)

  • 차경진;이은목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9-77
    • /
    • 2015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발전과 확산으로 사람들은 타인의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형성 또한 더욱 쉽고 빠른 방법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페이스북 같은 SNS는 광범위한 사용성과 빠른 확산성과 함께, 타인과의 풍부한 사회비교 기회를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 기반한 사회비교 노출이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과 SNS의 사용중단 의도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사회비교 활동이 크게 3가지로 나뉜다고 보았는데, 가장먼저 본인의 위치와 비슷하다고 느끼는 상대와 자신을 평가하려는 자기평가욕구에서 시작하는 유사비교활동, 본인보다 더 열등한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정서가 다치지 않게 하려는 자기방어욕구에서 비롯되는 하향비교활동, 마지막으로 자신보다 더 나은 상대와 비교함으로써 자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자기향상욕구와 관련되는 상향비교활동이다. 이러한 사회비교활동들은 사람들이 매일매일 SNS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상향비교, 유사비교와 관련된 정보들에 자주 노출됨으로써,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부정적인 감정들과 피로감으로 이어져 SNS 중단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9명의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SNS 이용자들이 타인과 상향비교와 유사비교를 할수록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어, 이러한 감정들이 결국 SNS에 대한 부정적 태도(Attitude)를 거쳐 SNS 이용중단(Behavior)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하였다. PLS 분석결과, SNS 사용 중 일어나는 사회비교와 타인탐색위주의 SNS의 사용은 사용자들에게 부정적인 감정들을 느끼게 하며 이 부정적인 감정들이 SNS 이용중단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이용중단 의도에 관한 연구를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확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상향비교 또는 유사비교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기존의 심리학연구결과를 SNS 환경에서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청금탕(淸金湯)의 효능(效能)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s of Chunggeumtang)

  • 김응식;이시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6
    • /
    • 1997
  • Chunggeumtang has been used in Korea for many centuries as a treatment for respiratory disease. The effect of Chunggeumtang on tracheal smooth muscle is not konw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unggeumtang on histamine and acetylcholine induced tracheal smooth muscle contraction in rats and guinea pigs. Guinea pig(500g, male) and Sprague Dawley rats (250g, male) were killed by $CO_2$ exposure and a segment (8-10mm) of the thoracic trachea from each rat and guinea pig was cut into equal swegments and mounted 'in pairs' in a tissue bath. Contractile force was measured with force diplacement transducers under 0.5g loading tension. The dose of histamine (His) and acetylcholine (Ach) which evoked 50% of maximal response ($ED_{50}$) was obtained from cumulative dose response curves for histamine and acetylcholine($10^{-7}{\sim}10^{-4}M$). Contractions evoked by His ($ED_{50}$) and Ach ($ED_{50}$)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by Chunggeumtang. In guin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acetylcholine induced contraction was $6.1%after\;30{\mu}l/ml$ Chunggeumtang, and 49.4% (p<0.01) after $100{\mu}l/ml$ Chunggeumtang. In rat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acetylcholine induced contraction was $6.7%\;after\;30{\mu}l/ml$ Chunggeumtang, and $54.2%\;(p<0.01)\;after\;100{\mu}l/ml$ Chunggeumtang. Also, in guin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histamine induced contraction was $30.6%\;(p<0.05)\;after\;30{\mu}l/ml$ Chunggeumtang, and $53.0%\;(p<0.01)\;after\;100{\mu}l/ml$ Chunggeumtang. In rat tracheal smooth muscle, the mean percent inhibition of histamine induced contraction was $24.1%\;(p<0.05)\;after\;30{\mu}l/ml$ Chunggeumtang, and $55.3%\;(p<0.01)\;after\;100{\mu}l/ml$ Chunggeumtang. Propranolol and indomethacin($10^{-7}M$) slightly bu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hunggeumtang. Following treatment with propranolol,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27.6% in guinea pig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28.7% (p<0.05) in rat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16.2% in guinea pig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28.7% (p<0.05) in rat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Indomethacin,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20.0% in guinea pig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16.9% (p<0.05) in rat induced by acetylcholine contraction and the mean percent inhibition cause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16.4% in guinea pig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and by $100{\mu}l/ml$ Chunggeumtang fell to 23.1% (p<0.05) in rat induced by histamine contraction. Methylene blue($10^{-7}M$)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inhibitory effect of Chunggeumtang. Also, I could find the effects of Chunggeumtang and Chunggeumtanggamorphine on the tracheal smooth muscle in guinea pig and ra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unggeumtang can relax histamine and acetylcholine-induced contraction of guinea pig and rat tracheal smooth muscle, and that this inhibition involves sympathetic effects and the release of cyclooxygenase products.

  • PDF

식품중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위해성평가 (Dietary Risk Assessment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Foods)

  • 이효민;윤은경;박경아;김윤희;정소영;권기성;김명철;송인상;이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04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의 인체에 대한 위해성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PAHs의 대표독성물질인 benzo(a)pyrene의 독성을 기준으로 하는 TEFs를 적용하여, PAHs의 주요노출식품에 의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숯불구이쇠고기, 숯불구이돼지고기, 숯불구이닭고기, 햄, 베이컨, 및 식용유지 등을 대상으로 PAHs 오염도를 모니터링 한 결과 숯불구이닭고기에서 총 PAMs농도가 9.3ppb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각각의 congener들 모두 다른 식품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숯불구이쇠고기, 베이컨, 숯불구이돼지고기, 햄 및 식용유지의 총 PAHs는 각각 0.2ppb, 0.3ppb, 0.7ppb, 0.8ppb 및 1.2ppb로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다. TEFs값을 적용하여 환산된 오염도 값의 경우에서도 숯불구이닭고기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congener들의 농도를 비교했을 때 숯불구이닭고기, 숯불구이돼지고기, 베이컨, 숯불구이쇠고기 및 햄에서 모두 BaP의 농도가 각각 1.88 $\mu\textrm{g}$-TEQ$_{BaP}$/kg, 0.19 $\mu\textrm{g}$-TEQ$_{BaP}$/kg, 0.08 $\mu\textrm{g}$-TEQ$_{BaP}$/kg, 0.04 $\mu\textrm{g}$-TEQ$_{BaP}$/kg 및 0.02 $\mu\textrm{g}$-TEQ$_{BaP}$/kg로 congener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용유지에서는 dibenzo(a,h)anthracene의 농도가 0.21 $\mu\textrm{g}$-TEQ$_{BaP}$/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PHAs 주요노출식품 섭취로 인한 만성1일 인체 노출량은 4.32${\times}$$10^{-4}$ $\mu\textrm{g}$/kg/day으로 산출되었으며 선정된 식품 중에서 숯불구이 닭고기의 노출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PAMs의 초과발암 위해도는 만성1일 인체노출량과 BaP의 발암력인 7.3 (mg/kg/day)$^{-1}$을 고려하였을 때 3.44${\times}$$10^{-6}$ , 백만명당 3∼4명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대표식단을 통한 PAMs 노출량을 반영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가 추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f Segmental and Syllabic Intervals of Canonical Babbling and Early Speech

  • Chen, Xiaoxiang;Xiao, Yunnan
    • 비교문화연구
    • /
    • 제28권
    • /
    • pp.115-139
    • /
    • 2012
  • Interval or duration of segments, syllables, words and phrases is an important acoustic feature which influences the naturalness of speech. A number of cross-sectional studies regarding acous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eech development found that intervals of segments, syllables, words and phrases tend to change with the growing age. One hypothesis assumed that decreases in intervals would be greater when children were younger and smaller decreases in intervals when older (Thelen,1991), it has been supported by quite a number of researches on the basis of cross-sectional studies (Tingley & Allen,1975; Kent & Forner,1980; Chermak & Schneiderman, 1986), but the other hypothesis predicted that decreases in intervals would be smaller when children were younger and greater decreases in intervals when older (Smith, Kenney & Hussain, 1996). Researchers seem to come up with conflicting postulations and inconsistent results about the change trends concerning intervals of segments, syllables, words and phrases, leaving it as an issue unresolved. Most acoustic investigations of children's speech production have been conducted via cross-sectional designs, which involves studying several groups of children. So far, there are only a few longitudinal studies. This issue needs more longitudinal investigations; moreover, the acoustic measures of the intervals of child speech are hardly available. All former studies focus on word stages excluding the babbling stages especially the canonical babbling stage, but we need to find out when concrete changes of intervals begin to occur and what causes the changes. Therefore, we conducted an acoustic study of interval characteristics of segments and words concerning Canonical Babble ( CB) and early speech in an infant aged from 0;9 to 2;4 acquiring Mandarin Chinese. The current research addresses the following two questions: 1. Whether decreases in interval would be greater when children were younger and smaller when they were older or vice versa? 2. Whether the child speech concerning the acoustic features of interval drifts in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they are exposed to? The female infant whose L1 was Southern Mandarin living in Changsha was audio- and video-taped at her home for about one hour almost on a weekly basis during her age range from 0;9 to 2;4 under natural observation by us investigators. The recordings were digitized. Parts of the digitized material were labeled. All the repetitions were excluded. The utterances were extracted from 44 sessions ranging from 30 minutes to one hour. The utterances were divided into segments as well as syllable-sized units. Age stages are 0;9-1;0,1;1-1;5, 1;6-2;0, 2;1-2;4. The subject was a monolingual normal child from parents with a good education. The infant was audio-and video-taped in her home almost every week. The data were digitized, segments and syllables from 44 sessions spanning the transition from babble to speech were transcribed in narrow IPA and coded for analysis. Babble was coded from age 0;9-1;0, and words were coded from 1;0 to 2;4, the data has been checked by two professionally trained persons who majored in phonetics.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a longitudinal analysis of som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speech during the age periods of 0;9-1;0, 1;1-1;5, 1;6-2;0, 2;1-2;4. The answer to Research Question 1 is that our results are in agreement with neither of the hypotheses. One hypothesis assumed that decreases in intervals would be greater when children were younger and smaller decreases in intervals when older (Thelen,1991); but the other hypothesis predicted that decreases in intervals would be smaller when children were younger and greater decreases in intervals when older (Smith, Kenney & Hussain, 1996). On the whole, there is a tendency of decrease in segmental and syllabic duration with the growing age, but the changes are not drastic and abrupt. For example, /a/ after /k/ in Table 1 has greater decrease during 1;1-1;5, while /a/ after /p/, /t/ and /w/ has greater decrease during 2;1-2;4. /ka/ has greater decrease during 1;1-1;5, while /ta/ and /na/ has greater decrease during 2;1-2;4.Across the age periods, interval change experiences lots of fluctuation all the time. The answer to Research Question 2 is yes. Babbling stage is a period in which the children's acoustic features of intervals of segments, syllables, words and phrases is sh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to be learned, babbling and children's speech emergence is greatly influenced by ambient language. The phonetic changes in terms of duration would go on until as late as 10-12 years of age before reaching adult-like levels. Definitely, with the increase of exposure to ambient language, the variation would be less and less until they attain the adult-like competence. Via the analysis of the SPSS 15.0, the decrease of segmental and syllabic intervals across the four age periods proves to be of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t means that the change of segmental and syllabic intervals is continuous. It reveals that the process of child speech development is gradual and cumulative.

벼 2기작 재배를 위한 조기재배 환경에서 벼 생육 및 수량변화 (Growth and Yield in Early Seasonal Cultivation for Rice Double Cropping in Southern Korean Paddy Field)

  • 구본일;최민규;강신구;박태선;김영두;박홍규;고재권;이변우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0-530
    • /
    • 2011
  • 이앙시기에 따른 생존율은 이앙된 벼가 0℃이하의 저온을 경과하면 생존율이 급격하게 저하되지만, 1~2회 저온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존이 가능하여 야간 저온이 0℃를 벗어나는 시기부터 조기재배 이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손 등(1983), 정 등(2000)의 4월 15일을 벼 2기작 재배의 적정 이앙시기로 제시한 것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벼 2기작을 위하여 조기재배용으로 육묘한 묘는 육묘일수가 길고 육묘기간을 대부분 가온된 온실 안에서 유지함에 따라 식물체가 도장하고 연약해져 이앙 후 식물체의 줄기가 부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관행 육묘상자에 파종량을 줄여서 생육을 진전시키는 것은 이앙시 뿌리 절단에 의해 이앙후 활착이 늦어지므로 저온기에 이앙을 위해서는 폿트육묘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벼 조기재배에서 육묘 이앙 후 주간의 지엽전개가 완료되기까지 생육일수와 적산온도는 관행 육묘상자로 육묘하여 이앙한 것에 비해 폿트육묘의 경우 생육기간 및 적산온도가 감소하였으나 폿트의 크기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폿트 육묘의 크기를 키워 벼 이앙시 생육단계를 달리한 경우 1~2일의 추가적인 생육일수 단축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이앙시 모의 생육량 차이보다 뿌리가 잘리지 않은 상태에서 빠르게 활착하여 본답 생육을 빨리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출수기까지의 생육일수와 적산온도는 저온피해를 받은 이앙 시기에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익산에서 4월 10일과 4월 20일의 출수기 차이는 2일 정도로 조기재배에서 이앙시기를 앞당겼을 때 생육기간은 크게 단축되지 않았다. 벼 품종별 출수기는 진부올벼가 7월 4일로 가장 빨랐고 둔내벼와는 2~3일의 출수기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손양(1983)등이 밀양에서 4월 15일에 철원 36호 등 4품종을 공시하여 7월 6일~7월 18일에 출수하였던 것에 비해 2~14일 빨랐다. 저온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진부올벼의 가장 빠른 출수기는 6월 30일 또는 7월 1일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관행 벼 육묘상자로 육묘시 6월 말 또는 7월 초에 출수하여 8월 5일경 수확하고 8월 10일 이전에 이앙하는 벼 2기작 시스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벼 폿트육묘 재배시 4월 15일 이앙된 진부올벼의 경우 5~7일 출수기가 단축되었다. 폿트육묘 재배에 의한 출수기 단축은 저온 피해를 적게 받은 경우에 효과가 컸고, 둔내벼에 비해 진부올벼의 출수기 차이가 컸다. 저온피해를 받아 생존율이 떨어지는 경우는 400 kg/10a 이하로 수량이 감소하였고, 저온에도 불구하고 잎이 고사하지 않으면 400 kg/10a 이상의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손양(1983) 등이 4월 15일 이앙에서 얻은 400 kg/10a 전후의 수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4월 15일에 이앙하여 저온피해를 상대적으로 적게 받은 경우에 쌀 수량은 평균 432 kg/10a, 4월 10일 이앙에서는 375~412 kg/10a였다.

난소전위술을 시행한 가임기 여성의 자궁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난소선량 감소를 위한 HalcyonTM Fast kV CBCT의 유용성 평가 : Phantom study (Evaluation of HalcyonTM Fast kV CBCT effectiveness in radiation therapy in cervical cancer patients of childbearing age who performed ovarian transposition)

  • 이성재;신충훈;최소영;이동형;유순미;송흥권;윤인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4권
    • /
    • pp.73-82
    • /
    • 2022
  • 목 적: 본 연구는 난소전위술을 시행한 가임기 여성의 자궁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HalcyonTM Fast kV CBCT를 사용하였을 때 난소에 미치는 흡수선량과 영상의 품질을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체모형 팬텀(Alderson Rando Phantom, USA)의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 측정에 필요한 자궁경부와 난소의 윤곽묘사(contouring)를 하였고, 해당 장기 단면에 광자극발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OSLD, InLight system, Landauer, USA)를 각각 3개씩 부착하였다. TruebeamTM의 Pelvis mode(이하 TP)와 HalcyonTM의 Pelvis mode(이하 HP) 그리고 HalcyonTM의 Pelvis Fast mode(이하 HPF)에서 자궁경부와 난소에 들어가는 흡수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촬영 범위를 17.5 cm와 12.5 cm로 촬영 범위를 축소한 영상을 촬영하였다. 총 10회의 누적선량을 합산하였고, 자궁경부암 치료 횟수인 23회의 값으로 치환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영상 장비 간의 CBCT 영상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 Catphan 504 팬텀(The Phantom Laboratory, USA)을 이용하여 균일도(Uniformity), 저 대조도 가시(Low contrast visibility, LCV), 공간분해능(Spatial resolution), 기하학적 왜곡(Geometric Distortion)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여 Doselab (Versions: 6.8, Mobius Medical Systems) 프로그램으로 분석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 과: CBCT에 의한 흡수선량을 OSLD로 측정한 결과 동일한 조건일 시 TP와 HP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가장 큰 감소 값을 보인 모드는 TP 대비 HPF였다. HPF는 17.5 cm의 촬영 범위에서 흡수선량이 TP보다 자궁경부가 약 39.82%, 난소에서 약 19.8% 감소 하였고, 12.5 cm 으로 촬영 범위를 축소할 경우 자궁경부는 34.2%, 난소 50.5%로 감소 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위 실험에서 사용된 영상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Geometric Distortion 1mm 이내(SBRT 기준), Uniformity HU, LCV 2.0% 이내 Spatial Resolution 3 lp/mm 이상으로 장비사의 기준치를 준수하였다. 결 론: 본 실혐 결과에 따라 난소전위술을 시행한 가임기 여성의 방사선치료 시 CBCT로 인한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TruebeamTM 보다 다양한 조건을 선택 할 수 있는 HalcyonTM이 유용할 것으로 평가 되며, 특히 낮은 mAs로도 영상의 품질을 유지하는 HalcyonTM의 Fast kV CBCT를 권장한다. 다만 다른 치료 장비에서도 난소전위를 시행한 환자는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것으로 저선량에 대한 추가적인 피폭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