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of Radiation Therapy for Stage III Thymoma

제 3기 흉선종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 Chun, Ha-Chu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Za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전하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이명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3.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I thymoma and to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24 patients with Stage III thymoma who were referred for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our institution from June, 1987 to May, 1999. Surgical therapy consisted of total resection in one patient, subtotal resection in seventeen, and biopsy alone in six patients. Age of the patients was ranged from 20 to 62 years with mean age of 47 years. Male to female ratio was 14 to 10.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linear accelerator producing either 6 MeV or 10 MeV photons. The irradiated volume included anterior mediastinum and known residual disease. The supraclavicular fossae were not irradiated. The delivered total dose was ranged from 30 to 56 Gy. One patient received 30 Gy and eighteen patients received minimum of 50 Gy. Follow up period was ranged from 12 months to 8 years with median follow up of 40 months. Results : The overall local control rate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as $67\%$ at 5 years. The cumulative local failure rates at one, three and five year were $18\%,\;28\%\;and\;33\%$, respectively. In patients treated with subtotal resection and biopsy alone, local control rate was $76\%\;and\;33\%$, respectively. The actuarial observed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57\%$, and actuarial adjusted survival at 5 years was $72\%$. The difference between 5 year survival rates for patients treated with subtotal resection and biopsy alon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62\%\;vs\;30\%)$. Conclusion : We might conclude tha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Stage III thymoma.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s recommended in cases where tumor margin is close or incomplete resection is accomplished.

목적 : 제 3기 흉선종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제 3기 흉선종으로 진단받고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4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명은 완전 절제술을 시행받았고 17명은 불완전 절제술을 나머지 6명은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았다. 환자의 나이는 20세부터 62세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평균연령은 47세였다. 남녀의 성비는 14대 10였다. 6 또는 10 MeV 리니악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종격동 및 알려진 잔여병변부위를 조사하였다. 쇄골하 림프절은 조사야에 포함되지 않았다. 조사된 총 방사선 양은 30 내지 56 Gy였으며 한명만이 30 Gy를 조사 받았고 18명은 최소한 50 Gy이상을 조사 받았다. 추적기간은 12개월 내지 8년이었고 중앙값은 40개월였다. 결과 : 전체 환자에서 전반적인 국소제어율은 5년에 $67\%$였다. 1년, 3년 밑 5년 국소재발율은 각각 $18\%,\;28\%$$33\%$였다. 불완전 절제술 및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은 각각 $76\%$$33\%$였다. 5년 생존율은 관찰치가 $57\%$, 조정치가 $72\%$였다. 불완전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와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2\%$$30\%$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 제 3기 흉선종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 사료된다. 수술시 절제면에 가깝거나 특히 불완전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thasone점안액의 대체약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E 처리하여 얻어진 영상이 해부학적 구조를 판독하는데 도움이 죄었다. 결론 : GSE 영상의 재구성은 대조도를 증가 시킬뿐 아니라 인체내 관심부위의 농도분포를 별도로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중방사선조사(double exposure)에 의해 발생되는 화질의 저하를 보정함으로써 화질 개선을 가능하게 하였다. Linacgram 화질 개선은 simulation image 및 치료계획에서 발생한 DRR과 multi-layer 중첩영상 분석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 비교 시 치료부위의 신속하고 정밀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였다.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터에서 DRR을 구현했을 때 각각의 치료 조건들에 대해 오차가 임상적용 범위 안에 있어서 이 팬톰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QC/QA에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에서의 NOS2 mRNA의 발현을 시작으로 비교적 일관된 발현 양상을 보여 주었고 그에 따라 폐포세척액 내의 NO 및 TGF-$\beta$ 단백의 양이 변하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56일 째에는 NOS2와 TGF-$\beta$가 모두 발현하여, 좀 더 많은 개체 수를 대상으로 장기간을 통해 발현 양상을 관찰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NOS2 억제제를 사용하여 TGF-$\beta$의 발현 양상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었다.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