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ity thinking

검색결과 61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적 창의성 구인 연구 (The Components of Korean Creativity from the a Comparison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in the US and Korea)

  • 성은현;하주현;한순미;이정규;류형선;한윤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9-338
    • /
    • 2008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Korean creativity an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responses of Korean and US students. Seven experts were interviewed to establish components of Korean creativity. College students in Korea (1,210) and college students in the US (514)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were: (1) five factors of Korean creativity consisted of elaboration, redirection, novelty, understanding-the-new-by-exploring-the-old (UE), and freethinking. (2) Korean students scored higher on elaboration and UE, and American students were better at redirection, novelty, and freethinking. (3) Each of the seven interviewees identified five factors of Korean creativity, but the factors varied according to their fields of expertise.

  • PDF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구성 요소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ubscales of Creativity in Science Gifted Students)

  • 정원우;박신규;박영관;홍순천;김중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395-40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gifted students' creativity subscales.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ity Thinking(TTCT) were administered to 385 science gifted students from 2006 to 2010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uency correlated highly with originality, and elaboration also highly correlated with abstractness of titles. All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variables with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were high. Second, the elaboration scores were higher than other variables, and abstractness of titles scores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scores were lower than other variables regardless of regions and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gions, but the elaboration scores of female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cience gifted students'. The fluency scor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creativity index among the creativity subscale scores. Third, after completing the science gifted program,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luency scores, abstractness of titles scores,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scores; however,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originality scores and elaboration scores.

창의성 관점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내용분석 - 의생활 영역의 용품만들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eddle School in a viewpoint of the Creativity - Focus on the learning unit of making necessaries -)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1-18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see the concept of creativity for the application to the home economics subject and to analyze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required by the 6th curriculum in a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learning unit of making necessaries of 8 diffe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ere compared in the point of titles of learning unit, learning objectives, contents of learning unit, study problems, and exerc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For the learning objectives, mos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focused on the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education rather than th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2) For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ll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fixed by the materials and making steps for education of basic skills. So,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of students could not developed. 3) For the study problems, mos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some posibility of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relatively. 4) For the exercises, mos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limited posibility of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 PDF

자신감(자기효율성)과 창의력의 상관관계 연구 (Research on Correlation of Self-Confidence and Creativity)

  • 강효진;김보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81-388
    • /
    • 2019
  • 본 연구는 자신감의 뜻을 정의하고 디자이너에게의 창의력의 중요성을 알아본 후 두 요소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좋은 디자인에는 새로운 발상이 요구되므로 창의력은 디자인 프로세스에 중요한 요소이이며, 많은 이들이 자신감이 창의력을 키워준다고 믿는다. 설문조사와 창의력 테스트를 동반한 실험결과 두 요소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요소가 누군가의 동기부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 디자이너로서의 성공에 관여한다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that Value Congruence Influe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 LEE, Joon-Pyo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3호
    • /
    • pp.51-62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to observe how individual creativity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strived to explore how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innovate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itself so that teams and organizations can respond more effectively to new rising trend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value congruence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propensity congruence, goal congru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by exert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synergy as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PSS 24.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reliability factor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fterwards,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e study were 309 copies. Results - First, Individual crea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decision-making processes fused with individual creativity could create an atmosphere of knowledge sharing and transform the organization. Second, value congruence adjust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reativity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Conclusions - First,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recognize the value and secure the pool of creative talents who will be a potential future basic source of organizational success and competitive advantage. Second, managers should be able to identify those with creative talents and expertise, and use them to increase their knowledge sharing performance, while also developing emotional and motivational creativity. Third, in order improve knowledge sharing performance,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aspect of creativity. Fourth, managers should striv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beneficial for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self-management capabilities. Fifth, managers should be able to develop decision-making processes to develop potential creativity and encourage creative thinking, opinions, or solutions. Sixth, managers should promote the dissemination and integration of new knowledge based on the creative views and attitudes of team members.

학습지향성과 창의적 사고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전문지식과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Creative Thinking Skill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xpertise and motivation -)

  • 김현우;송찬섭;이다정;신호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71-179
    • /
    • 2019
  • 본 연구는 조직에서 지식의 습득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식의 습득과 관련된 변수 중 학습지향성을 선정하여 이를 통해 구성원이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지향성,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능력의 매개 과정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대구·경북에서 제조업 종사자을 대상으로 296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계층적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학습지향성은 창의적사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문지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성의 발현에 대해 구성요소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고, 학습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함으로써 시사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식의 함양을 통해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조직 관리 방안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xtension Activity with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최혜원;서현아;박소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29
    • /
    • 2013
  • 본 연구는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위치한 C어린이집과 S어린이집 만 5세 유아 31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을 비교집단은 주제별 대그룹활동을 진행하였다. 창의성 측정도구는 김영채(2002)가 번안한 Torrance의 창의성 검사 중 유아에게 적합한 도형검사(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TTCT: Firural)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능 측정도구는 이영자 외(2000)가 개발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은 정서지능 하위요인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나타내 주는 것이며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은 의미 있는 교수 방법으로 유아의 통합적 발달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 Focusing on Biology -)

  • 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520-544
    • /
    • 2021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과학 창의성 관련 논문을 분석한 후,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성요인에 근거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학 교육 전문가 9명의 검토를 마친 검사 도구를 파일럿 테스트하였다. '동물', '식물'의 두 세트로 이루어진 검사 도구는 수정과 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5학년 학생 105명에게 투입되었다. 투입 결과는 WinSteps,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과학 영역에서 창의 과정은 과학 지식,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기능(확산적, 수렴적, 연관적 사고)을 포함한다. 창의 산물은 새로우면서 과학적으로 유용한 아이디어가 어떤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 대표 탐구기능으로 선정된 관찰은 구성 타당도 측면에서 창의적 사고기능과 연관성이 없어야 했다. 셋째, 유용성 항목은 다른 항목 중 가장 낮은 평균치를 기록하였는데, 평가자인 교사의 관점에서 과학적 타당성과 유용성을 만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넷째, 동형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동물'과 '식물' 문항 간 스피어만 상관 계수는 독창성 항목을 제외하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검사 도구는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 세 가지 측면에서 구성 타당도를 대체로 만족시켰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인 평가 도구로 역할을 할 검사 도구의 유용성을 논하였다.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An Analysis on the pattern of questioning sentence - A case study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

  • 강완;장윤영;정선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93-302
    • /
    • 2011
  • 이 연구는 2년차 신임 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수학수업에 대한 신임교사의 발문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확인을 위한 발문이 가장 많았으며(69%), 이해를 위한 발문(25%), 성찰을 위한 발문(6%) 순이었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은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신임교사의 발문과 관련된 대안적인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을 제안해 보았다.

스크래치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활동이 예비 코딩 강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ata visualization using scratch on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preliminary coding instructors)

  • 김용민;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09-320
    • /
    • 2017
  • 본 연구는 스크래치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 코딩 강사를 대상으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활동 프로그램은 컴퓨터교육 전공 현직 초등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bigcirc}{\bigcirc}$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주관하고 '${\bigcirc}{\bigcirc}$대학교'에서 진행한 '청년 코딩 사업'에 주 2회 3시간씩 4주 동안 총 21차시의 집합 강의 및 실습 시간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Torrance의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검사지 도형 A, B형을 투입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코딩 강사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