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eddle School in a viewpoint of the Creativity - Focus on the learning unit of making necessaries -

창의성 관점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내용분석 - 의생활 영역의 용품만들기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see the concept of creativity for the application to the home economics subject and to analyze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required by the 6th curriculum in a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learning unit of making necessaries of 8 diffe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ere compared in the point of titles of learning unit, learning objectives, contents of learning unit, study problems, and exerc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For the learning objectives, mos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focused on the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education rather than th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2) For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ll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fixed by the materials and making steps for education of basic skills. So,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of students could not developed. 3) For the study problems, mos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some posibility of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relatively. 4) For the exercises, mos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limited posibility of developing the creativity of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제주대학교 논문집 v.제28집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방략 고명규
  2.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창의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의의 권준현
  3. 건국대학교 학술지 v.제14집 창의성 개발에 관한 연구 김건
  4. 교육학 연구 v.8 no.1 교수활동 유형이 창의적 사고에 주는 효과 김병성
  5. 영재교육연구 v.2 no.1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과제의설계 김성기
  6.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구성중심 수업이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성기
  7. 문교행정 no.104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 김영소
  8.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 과정 계획의 원리 탐색 박종삼
  9.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창의력의 성격적 요인에 관한 연구 안범희
  10.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eBono의 CoRT 사고교육 프로그램이 국민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새연
  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5 no.1 창의력 개발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방법 윤인경
  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8 no.1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분석 연구(Ⅰ) 윤인경
  13. 창의력 윤종건
  14. 문교행정 no.68 놀이지도를 통한 창조성 개발 이연섭
  15. 가정과 교수법-가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연숙
  16. 중앙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창의성의 구성 요인과 창의성의 개발 조건의 탐색. 한국의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창의성 개발의 당면 과제 이영석
  17.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창의성의 구성 요인과 훈련 효과 이인순
  18. 창의성에의 초대 임선하
  19.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창의성 수업모형의 효과분석 임준연
  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10 no.2 창의성 계발을 위한 실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간단한 바느질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전세경
  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10 no.2 초등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과 교육 지도 방안 정미경
  22. 실과교육연구 최유현
  23.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민학교 아동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 및 지능과의 상관관계 최정옥
  24.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 및 지능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한재윤
  25.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Ⅲ) 허경철(외 6인)
  26.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Arieti,S.
  27. 수업모형의 기술 적용 Bank,A.;Henerson,M.E.;Eu,L.;박성익(역);권낙원(역)
  28.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29 no.1 Creative style and divergent production Gelade,G.
  29. Way beyond the IQ. Guilford,J.P.
  30. Creative talents Guilford,J.P.
  31. Child development Hurlock,E.B.
  32. Journal of Creative Behaivior v.28 no.1 Managing creative people Leonard,M.;Yong,S.
  33. Creativity Creativity: A multifaceted phenomenon Mackinnon,D.W.;J.D.Roslansky(ed.)
  34. Learning to be creative: A structure of intellect convergent production sourcebook Meeker,M.
  35. Learning to be creative: A structure of intellect divergent production sourcebook Meeker,M.;Maxwell,J.
  36. Journal of Psychology v.36 Creativity and culture Stein,M.I.
  37. Guiding creative talent. Torrance,E.P.
  38. Creativity: Its educational implication Torrance,E.P.
  39. Encouraging creative learn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reffinger,D.J.
  40.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Buffalo Williams,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