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ve ability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초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Attitudes in Middle School Biology)

  • 정영란;손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1-623
    • /
    • 2000
  • 과학교육에 있어서 전통적 수업은 다양한 학생들의 육성과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켰다. 평균적인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결국 많은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잃게 되고 학생들은 타율적인 대상으로만 머물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격려하며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문제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수업 방식으로서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교과에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 소집단 학습과 협동학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중학교 2학년 "동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협동학습, 소집단 학습, 전통적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학습 태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2학년 188명이며 10주간 10차시 수업처치를 하였고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학습은 소집단 학습이나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학습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그리고 협동학습은 학업 성취도 면에서 성취수준이 상위인 학생들에게 효과가 없었고 중위와 하위의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p<.05). 또한 협동학습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다(p<.05). 협동학습은 과학학습 태도의 세 영역인 감정적 영역, 행동 의도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1).

  • PDF

초등학교 과학 협동 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을 달리한 효과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ing in Elementary Science Cooperative Learning)

  • 이형철;문주영;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446-4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effica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heterogeneous grouping in improving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s of high academic ability students. Second, the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heterogeneous grouping in improving the science-related attitude of students, especially for low academic ability students. Third, both the homogeneous grouping and the heterogeneous grouping improved the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of students. For low academic ability students, the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Fourth, the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heterogeneous grouping in improving self-efficacies of students, especially for middle and low academic ability students.

  • PDF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ask Commitment through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7-97
    • /
    • 2015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effect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ask commitment.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2 class 66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who take "Science and study of teaching materials I" enrolled in B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B city. This study targets to 2009 revis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changes in earth's surface(3-1), the volcano and earthquakes (4-1),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5-1),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6-1) sections. Clarify the subject of study for implementing a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task commitment? Third, what is awareness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ask commitment. Thir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students got consideration for others with leadership in their discussion was good in the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discussion. There was a response that they would like to do the class continually.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s)

  • 민찬규;김보경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185-210
    • /
    • 2006
  •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it aims to suggest an appropriate approach to English writing education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a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what type of learner grouping, eithe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s appropriate by compari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 and the changes of their affective factors after being exposed to cooperative EFL writing instruction. Two homogeneous classes were selected and instructed to write in English for 11 weeks. One was composed of homogeneous small groups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 scores, and the other was composed of heterogeneous small groups, again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between the two class types was quite different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For example, although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homogeneous and the heterogeneous classes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learners in writing ability improvement, high-leve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lass participa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to writing ability improvement.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al approach to encourage learners' interest and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s'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homogeneous and the heterogeneous classes. Similarly, the learners' grouping preference was not affected by the grouping method.

  • PDF

고등학교 생물 '물질대사' 단원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STAD 모형의 적용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o Study the Unit 'Metabolism' in High School: Application of STAD Model)

  • 정영란;이혜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46
    • /
    • 2003
  •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되어 왔고 현 사회의 교육이 담당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오래 동안 과학 수업을 받은 후에도 학생들의 문제 해결 수준은 향상되지 않았고 이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토론을 기반으로 긍정적 상호 의존성을 기르면서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생물 분야에서는 타 과학 과목에 비해 협동학습을 적용한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자연계 생물II의 'II. 물질대사' 단원에 대하여 협동학습을 실시한 후. 학업 성취도 및 과학 학습 태도에 대한 효과를 전통적 수업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 학생들 100명이며, 2개 학급 중 한 학급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나머지 한 학급은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학업 성취도 검사지의 경우 단원의 내용 및 수업 목표를 근거로 객관식 24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과학 학습 태도 검사 도구는 김인희(1994) 연구에서 개발된 총 40개의 리커어트 척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설계에 기초하여 협동학습의 모형 중 STAD모형을 적용하였고 5주 동안 총 13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협동학습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전통적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지 않았다(p> .05). 협동학습은 상위 및 중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없었으나 학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전통적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p< .05). 협동학습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 변화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었다.(p< .05). 과학 학습 태도에서 4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영역에서는 협동학습이 전통적 수업 보다 효과가 없었으나(p> .05)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협동학습이 효과적이었다(p< .05). 협동학습은 상위 및 중위 수준의 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없었으나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는 효과적이었다(p< .05).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operative Learning)

  • 전경문;여경희;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4-24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화학 성취도의 측면에서 이질적인 3인 1조의 소집단을 구성한 후, 협동학습 환경에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이러한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해 녹화 및 녹음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화학 문제 해결력은 문제 해결 전략 수행 능력 검사로 측정하였다. 언어적 행동은 크게 정보 주기, 정보 받기, 질문하기, 부정하기로 유형화하였고 총 16개 하위 범주로 세분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나타내는 언어적 행동은 정보 제공하기의 하위 범주인 제공이었다.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부분 상관을 조사한 결과, 7개 범주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제공 범주가 문제 해결력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교정, 정당화, 제공 명료화, 명료화 등에서의 상관도 유의미하였다. 하위 수준 학생들은 정보를 주거나 받는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련성이 높았으나, 상위나 중위 수준의 경우 언어적 행동이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피부미용 전공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cation on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in esthetic major subjects)

  • 박정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0-167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의 피부미용 전공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따른 학습효과를 알아보고, 피부미용 교육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에 개설된 피부미용 전공 교과목인 "동양요법" 수강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PBL 수업을 적용하여 실증적 교육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BL 수업을 참여한 후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평균값이 상승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PBL 교수학습법의 효과성이 확인되어 피부미용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상승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Particle Swarm Optimization based on Vector Gaussian Learning

  • Zhao, Jia;Lv, Li;Wang, Hui;Sun, Hui;Wu, Runxiu;Nie, Jugen;Xie, Zhif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4호
    • /
    • pp.2038-2057
    • /
    • 2017
  • Gaussian learning is a new technology in the computational intelligence area. However, this technology weakens the learning ability of a particle swarm and achieves a lack of diversi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vector Gaussian learning strategy and presents an effective approach, nam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based on vector Gaussian learning.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algorithm is more close to the optimal solution and the better search efficiency after we use vector Gaussian learning strategy. The strategy adopts vector Gaussian learning to generate the Gaussian solution of a swarm's optimal location, increases the learning ability of the swarm's optimal location, and maintains the diversity of the swarm. The method divides the states into normal and premature states by analyzing the state threshold of the swarm. If the swarm is in the premature category, the algorithm adopts an inertia weight strategy that decreases linearly in addition to vector Gaussian learning; otherwise, it uses a fixed inertia weight strategy.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eight well-known benchmark function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new approach. The results demonstrate promising performance of the new method in terms of convergence velocity and precision, with an improved ability to escape from a local optimum.

미용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양식, 교수 이미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Professor Imag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smetology Majoring College Students)

  • 안현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178-191
    • /
    • 2012
  • This paper is purposed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professor image, academic achievement in cosmetology majoring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the effective education methods of them. The research methods are survey with 400 persons & statistics analysis such as frequency, facto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14. The results are as belows; 1. Learning styles are divided by (1) shirker, (2) participate, (3) stand-alone, (4) dependent, (5) cooperative, (6) competitive, and professor images are divided by (1) professor ability, (2) professor relationship. 2. There is a relationship in learning styles and professor images. Especially cooperative, participate, dependent valued professor ability, shirker devalued it and cooperative, stand-alone, dependent, competitive valued professor relationship, shirker devalued it. 3. There is a relationship on learning styl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te, stand-alone, dependent achieve in high glades and shirker, cooperative low ones. 4. There is a no valid relationship with professor images and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5. The conclusion are; there are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professor image, academic achievement in cosmetology majoring college students. So shirker need endless motive giving program, participate personal record management system, dependent creative motivating program, participate class attractive factors, stand-alone learner centere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