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s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른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실천수준 (A Study on Collaborative Activity for Young Children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 on Constructivism)

  • 한희승;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9-287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구성주의 교육 신념에 따라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와 실태가 상이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담임교사 210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측정하고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 및 실천수준을 조사하였다. 교사의 구성주의 신념에 따른 관심도 및 실천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주의 신념 점수를 상, 중, 하로 구분한 후, ${\chi}^2$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acute{e}$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성주의 교육 신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아 협동 활동에 대한 관심도와 실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 협동 활동에 관한 체계적인 교사교육은 물론 교사들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형성 강화시키는 것이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유아 협동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23-241
    • /
    • 2013
  •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영유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가운데 직무특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훈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직접적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긍정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은 영유아교사직의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의사결정참여 능력은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복리 및 보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가운데 직접적인 대처 방식이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심리적, 파괴적인 대처 방식은 각각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복리 및 보수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A Qualitative Study on Men's Experiences of Work-Life Balance: Focusing on Men in Dual-Income Familie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Six)

  • 채화영;이기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497-511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Korean men's experiences of work-family balance in dual income families with children under six years of age.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fficulty of balancing work and family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The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involving two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12 men, and analyzing the data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From the results, a model of men's work-family experience was constructed. It demonstrates the central phenomena (difficulties of balancing), the causal conditions (lacking time for family, seeking support from the employer, and learning husband's roles insufficiently), the contextual conditions (remaining paternalism and changing husband's rol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orkplace, childcare support, and wif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help from relatives, utilizing daycare centers, controlling birth, managing work conditions, and using family polices). We clarify the overall picture of working and family life experiences, and also show how men deal with their problems in their circumstances by balancing working and family life. In conclusion, males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family life autonomously because of having less decision-making power than the wife. Moreover, the great responsibilities of the breadwinner disturb the work-family balance. Men devote themselves to working to hold a job instead of spending time with their family. However, they ultimately value work-family balance with respect to 'keeping a peaceful family life'.

어머니의 언어통제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Mother's Verbal Control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 정혜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6
    • /
    • 2007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I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5곳을 임의로 선정한 후, 만 3, 4, 5 세 유아 14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어머니의 언어통제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서 자기결정과 자기조절능력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명령지향적,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의 사용정도를 평균값을 기준으로 높고,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4가지 하위집단별 분포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하위집단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언어통제 하위집단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하위영역 중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 자기조절능력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the 3rd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김지영;김동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8-3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변인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인식과 적용 실제를 조사하고,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의 내용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2세를 담당하는 영아교사 205명이다. 연구도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Duncan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적용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 보육과정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 간 발생하는 또래갈등과정 분석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eer Conflict Process)

  • 김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5-185
    • /
    • 2006
  • 본 연구는 유아 간 갈등의 과정을 갈등요소(갈등쟁점, 갈등해결전략, 갈등결과 갈등상황에서의 정서표현)간의 관계를 통해 살펴하고, 갈등관계에 있는 두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규모가 비슷한 11개 어린이집을 임의로 선정한 후, 해당 어린이집에서 94명의 유아를 무작위 표집하였다. 분석대상은 이들 유아가 일으킨 571개의 갈등 상황으로 하였다. 비디오로 녹화된 자료는 두 유아 간에 발생한 갈등상황만을 전사한 후 분석하였으며, 전사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의 상관관계와 ${\chi}^2$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 결과, 갈등요소 간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갈등쟁점에 따라 갈등해결전략은 차이가 있었고, 갈등해결전략에 따라 갈등결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갈등결과에 따른 갈등상황에서의 정서표현의 관계는 차이가 있었으며, 갈등에 참여한 두 유아는 서로 같은 전략을 사용하고 같은 전략을 표출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아버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 탐색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Paternal Parenting Behavior : Father Involvemen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 김가윤;신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1-213
    • /
    • 2013
  •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행동에 미치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11개소 만 3 4세 학급 유아의 아버지 299명이었다. 아버지의 양육행동 측정은 박주희(2000)의 '부모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버지 양육참여는 자녀의 일상적 돌보기 활동과 놀이활동에 참여하는 주중 빈도와 시간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측정은 안지영(2001)의 'Parenting Daily Hassles'을, 양육효능감은 신숙재(1997)의 'Parenti ng Sense of Competenc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을 바탕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인 온정 격려에는 인지효능감과 주중 놀이활동의 참여빈도가, 한계설정에는 인지효능감과 주중 양육활동 참여빈도 및 놀이활동 참여시간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한편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행동인 과보호 허용에는 정서효능감과 주중 놀이활동 참여시간이, 거부 방임에는 정서 및 인지효능감 그리고 양육스트레스가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ing Tim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Teacher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 안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3-223
    • /
    • 2016
  • 본 연구는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을 드러냄으로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291개소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인증 운영 과정에서 교사는 매일 11시간의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그 외 업무 사이', '자유로운 탐색과 안전 건강 사이', '우리 이야기와 외부 기준'사이에서 갈등하며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교사의 인식전환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첫째, 평가지표 수행보다는 질 높은 보육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부분 최적화가 아닌 전체 최적화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을 탐색함으로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놓쳐서는 안 될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민간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셀프리더십과 원장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incipals' Leadership on Teachers' Efficacy)

  • 민성혜;김온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11-1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민간 어린이집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원장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의 선정한 민간 어린이집 36개소 보육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원장 리더십에 대해 과업중심, 인화중심 리더십을 모두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원장리더십을 군집분석한 결과 인화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과업형, 리더형, 부족형 순이었다. 교사의 셀프리더십 유형은 리더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제한형, 보상형, 과업형 순이었다. 셋째, 교사의 효능감에 교사 셀프리더십 그리고 원장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사효능감중 일반적 효능감에는 원장 과업중심 리더십, 원장 인화중심 리더십이, 교사 셀프리더십은 자기비판, 자기설정목표, 자기관찰, 그리고 자기존중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고, 개인적 효능감과 관련해서는 원장 인화중심 리더십, 교사셀프리더십 중 자기비판, 자기설정목표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EAM-based Unplugged Play Activities Using Robot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 천희영;박소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26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for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participation in STEAM-based unplugged robotic activities can improve their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5-year-old children (N=125) from 11 child care center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29 boys and 24 girls enrolled in classrooms that implemented an unplugged activities curriculum over five week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8 boys and 34 girls.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d Hedges' g was used to measure effect size. Results: First, the participating children's mean scores on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 were 3.20 and 3.53 on a 5-point Likert scale, respectively.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in sensitivity-various interests and imagination-playfulness domains of creative personality and all three domains of social personality. Secon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ll domains of social personality and the effect size was large. They also improved in three domains (openness-humor, imagination-playfulness, independency-immersion) of creative personality, although the effect size was small.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imply that implementing a robotics curriculum with unplugged play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contributes to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 of creative and social person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