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orking Tim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Teacher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안소영 (인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0.25
  • Accepted : 2016.02.14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orking tim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teacher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and seek ways of resolving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13 teachers in 291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nursery teachers. It showed that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teachers had been performing heavy tasks of 11 hours daily, and they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with the conflict 'between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other duties', 'between free exploration and safety health', and 'between our story and external criteria'.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changes of recognition for nursery teachers were required. First, there is a need for the change of recognition concerned with the child-care of high quality, rather than performing evaluation index. Second, there is a need for the change of recognition concerned with overall optimization rather than sectional optimiz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basic direction for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by explor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ursery teachers.

본 연구는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을 드러냄으로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291개소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인증 운영 과정에서 교사는 매일 11시간의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그 외 업무 사이', '자유로운 탐색과 안전 건강 사이', '우리 이야기와 외부 기준'사이에서 갈등하며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교사의 인식전환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첫째, 평가지표 수행보다는 질 높은 보육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부분 최적화가 아닌 전체 최적화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을 탐색함으로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놓쳐서는 안 될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진숙 (2012). 교육의 원리에 근거한 대학평가인증제 발전방향 탐색. 교육원리연구, 17(1), 1-33.
  2. 권혜진 (2015, 8). 분야별 인증제 사례분석연구.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개편 토론회, 서울.
  3. 김경란, 서동미 (2012). 1차, 2차 평가인증 통과에 대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의 인식 : 1, 2차 평가인증을 통과한 A시 국․공립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아동보육연구, 8(2), 23-44.
  4. 김동례 (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복희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보육시설의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향, 최연희 (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연구. 아동교육, 18(2), 65-78.
  7. 김영명 (2014, 11). 안전을 위한 안전인가, 아동을 위한 안전인가?. 대한아동복지학회.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논문, 서울.
  8. 김영희, 박지현, 이은주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이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자료활용 및 유아와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3), 387-397.
  9.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I.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10. 김용진 (2015). 경영학 사용설명서. 서울: 클라우드나인.
  11. 김은영 (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및 수행여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2), 121-145.
  12. 네이버 국어사전 (2016). 갈등. http://www.naver.com에서 2016년 2월 8일 인출.
  13. 노진호 (2002). 존 듀이의 교육이론 : 반성적 사고와 교육. 서울: 문음사.
  14. 변경선 (2008). 평가인증 참여 보육시설 교사의 보육의 질 향상과 유지에 관한 인식 연구. 변형영유아 교육연구, 2(1), 47-72.
  15. 보건복지부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6. 보건복지부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7. 서문희 (2015, 8). 수요자 중심의 어린이집 평가체계 개발.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개편 토론회, 서울.
  18. 서문희, 신희연, 송신영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효과분석.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9. 양기용 (2015, 8). 수요자중심의 어린이집 평가결과 공개 및 적용방안.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개편 토론회, 서울.
  20. 이나영 (2006).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송이, 손여경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 관련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4), 247-266.
  22. 이 옥 (2002).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과 보육의 질. 사회과학연구, 8, 213-229.
  23. 이은정 (2011). 보육교사의 직무시간 운영에 대한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진옥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조사 : 인천광역시 보육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상란, 서현아 (2009).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 관리 실태.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91-222.
  26. 정원주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51, 45-64.
  27. 정은정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재은, 정은정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67-94.
  29. 조경서, 유준호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 참여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67-95.
  30. 차영숙, 유희정, 강민정 (2012).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가 들려주는 평가인증 참여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변화에 대한 이야기. 유아교육연구, 32(6), 83-109.
  31. 채영란, 김치곤(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따른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변화 및 요구도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313-346.
  32. 채혜선, 현정희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33. 한국보육진흥원 (2015). 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34. 한국보육진흥원 (2016). 평가인증 관련통계. http://www.kcpi.or.kr/ 에서 2016년 1월 30일 인출.
  35. 홍성희, 김미정, 이경화 (2009). 직장보육시설 종사자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433-456.
  36. 황인숙 (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
  38. Bogdan, R. C., & Bikelen, S. K.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Allyn & Bacon.
  39.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E, 질적 연구방법론(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7)
  40. Dahlberg, G., Moss, P., & Pence, A. (2007).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포스트모던 유아교육-새로운 이해와 실천을 열어가기(김희연, 신옥순, 염지숙 옮김). 서울: 창지사 (원판 1999).
  41. Doherty-DerKowski, G. (1995). Quality matters: Excellen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Don Mills, Ontario:Addison-Wesley Publishers Limited.
  42. Katz, L. G. (1993) Five perspectives on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Urbana, IL:ERIC/EECE.
  43. Phillips, D., Voran, M., Kisker, E., & Howes, C. (1994). Child care for children in poverty : opportunity or inequity?, Child Development, 65(2), 472-292. https://doi.org/10.2307/1131397
  44. Tobin, J. (2005). Quality in early education: An anthropologist's perspective,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6(4), 421-434.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604_3

Cited by

  1.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role performances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infant care with respect for infants' rights vol.11, pp.4, 2016, https://doi.org/10.16978/ecec.2016.11.4.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