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 adjustmen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 - 유아관계가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 - 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

  • 김영희;강기숙;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73-8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aptation to childcare centers,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three- to four-year-old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and their 72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main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 main effects of familiarity and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general efficacy and conflicts or familiarity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were also significant.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The Effects of Mothers' Adaptation Support Strategies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 신희남;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9-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적응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0세부터 만36개월 미만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1993)등이 개발한 PAQ(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적응지원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영아의 초기 및 이 후 어린이집 적응에 관련된 양육 신념 및 어린이집 적응 전략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차이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아의 이후 어린이집 적응(Time2)의 하위 요인 중 친사회성과 긍정적 정서의 경우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초기 어린이집 적응 (Time1)프로그램으로부터 받은 지원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지원 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간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원장, 교사와의 주기적인 상담 및 개별적인 접촉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자아 상태와 하루일과 적응 및 일반적 적응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이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있어서 같은 반 학부모들과의 개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지속적인 육아정보 교환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Temperament and Goodness of Fit of Infant's on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

  • 김기홍;이주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65
    • /
    • 2010
  • 본 연구는 영아와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에서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과 요인들 간의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현재 서울과 경기도 및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 소재한 총 8개 보육시설에 재원중인 만2세 영아 165명과 어머니, 그리고 보육시설에서의 영아의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보육경험과 하루 평균 보육시설 이용시간, 그리고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 직업의 배경변인에는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정의 윌 평균 수입과 어머니의 주당 근로시간(일주일)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차이가 있고,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 그리고 영아의 규칙적 기질이었으며 보육시설에서의 전체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 긍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보육시설 전체 적응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자녀를 엄격하게 통제하거나 자녀행동에 대해 통제하고자 하는 강한 엄포 분위기를 조성하기보다는 어머니가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며 개개 자녀에게 맞는 규칙과 훈육 및 적절한 통제성을 제시하여 자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양육태도로서 영아가 가정에서 어릴 적부터 부모로부터 긍정적 모자관계 형성을 통해 옳고 그름의 적절한 통제와 규칙과 규율을 배우면서 기본생활의 습관화 교육을 받은 자녀가 보육시설에서도 적응에 어려움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고찰 (Consideration of Policy on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Center Staff for Improving Educare Quality)

  • 김의향;박진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9-145
    • /
    • 2018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보육교직원 관련 정책 및 관련법에 대한 각종 자료와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자격기준에 대해서는 철학적, 발달심리학적, 사회적 배경의 논리적, 합리적 근거에 의한 법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기준, 보육관련 교과목영역 선정과 필수교과목 지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이수 교과목 영역 조정과 필수, 선택교과목 조정과 일부 교과목의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NCS(국가직무능력 표준) 보육 분야의 직무능력 수준도 고려하여 교과목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째, 원장의 자격기준 요건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유보 격차 해소를 위해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통합형 영유아교사 양성체제가 필요하다.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보수교육 대상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및 전산 체계화가 필요하다. 보수교육 운영 주체의 다양화, 보수교육 내용의 정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보수교육 행재정적 지원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보수교육의 자발적 참여, 정부와 부모가 지원하는 보육교직원 전문성 계발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가정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Focused on Low-Income Families)

  • 김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9-688
    • /
    • 2011
  • Using data from an ongoing study of 170 children aged 4-6 years in low-income families, this study tests how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fluences the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of young childre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mothers of surveyed children, whil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adjustment were rated by teachers. Measurements were recorded from using the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Crase et al. 1987),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Pianta et al. 1995) and the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Scale(Lee 200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indicate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n the low-income families controlle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 area of early school adjustment, learning readiness. In other words, mothers who are more involved and demonstrate supportive parenting, have children with better learning readiness.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s strongly related to all areas of children's adjustment.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children's learning readiness is observed.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child closeness as well as the quality of parenting behaviors during the preschool period for the low-income family in improving early school adjustment.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on Children'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 유민아;황혜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63
    • /
    • 2017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depending on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Methods: A total of 478 subjects, 239 dyads of 3 and 4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1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DOTS-R, EAS Scale and PAQ.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regression with the SPSS. Results: First, mother's dem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with regard to the income level. Second, mother'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mother's demand was influenced by the mother's temperament. Third, mother's demand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was indicated to differ significantly. Fourth,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mother's demand was influenced by children's temperament. Finally, ego strength according to active and adoptive temperaments in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regular temperament of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was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understand and appropriately demand the temperament of the children in the adapta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in One-year-olds' and Teachers' Sensitivity on the Adjustment of Infants to Child Care Centers)

  • 김신혜;성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7-10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controlled the SES(Socio Economic Status) in order to compare the influence of infant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nd teachers' sensitivity on the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Method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115 mothers with one-year-olds'(58 boys, 57 girls) and from 115 teachers from fourty-eigh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fant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nd teachers' sensitivity. Second, among the variables explaining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the effect of teachers' sensitivity was higher than the effect of infant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s' sensitivity is a strong factor explaining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We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providing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 care teachers and education for improving sensitivity.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환경, 소진 및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place Characteristics, Burnout, Health Condi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 유정하;김재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9-87
    • /
    • 2021
  • Objective: Studies have shown that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tend to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children's adjust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underlying mechanism that increases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have barel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We aimed to test whether workplace characteristics may affect teachers' turnover interntion through personal factors (i.e., burnout and health). Methods: A sample of 26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Workplace characteristics, burnout, health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sses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EM using Mplus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were estimated by the bootstrapping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Finidngs indicated that a poor workplace enviornment directly predicted high turnover intentions of teachers and indirectly predicted through their high burnout and poor health contid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contriub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ing about an effective future direction for polic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decreas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subsequently increas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과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The Experiences of Novic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and the Grounded Theory of their Adjustment Process)

  • 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6
    • /
    • 2013
  • 본 연구는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임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교사에 의한 메모일기, 저널, 보육일지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은 어려운 인간관계, 난감한 업무, 잦은 실수의 긴장, 받았거나 받기를 원하는 도움, 경험을 통한 현장 이해와 자기 성찰, 교사로서 보람이 느껴진 순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과정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의 현상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과 중재적 조건,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전략과 그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인과적 조건은 업무 실수와 인간관계의 미숙함이다. 맥락은 학급 유아의 연령, 근무시간과 공간, 업무의 양과 낯섦, 구성원의 성격 특성 그리고 학부모와의 잦은 만남으로 구성된다. 중재적 조건은 초임교사 안내프로그램, 구성원의 도움과 지지, 보상, 교사의 개인성격 특성으로 구성된다. 초임 보육교사는 부정적 정서를 다루기 위해 잊어버리기, 가족이나 친구와 나누기,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도록 노력하기의 세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전략 사용의 결과는 성장하기, 살아가기, 이직과 전직 고려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