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 - 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  

Kim, Young-Hee (Daeso kindergarten)
Kang, Gi-Sook (Department of Pre-school Teaching Studies, Konkuk University)
Han, Sae-You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6, no.5, 2008 , pp. 73-8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aptation to childcare centers,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three- to four-year-old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and their 72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main effect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 main effects of familiarity and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were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general efficacy and conflicts or familiarity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were also significant.
Keywords
childcare teacher; self-efficacy; teacher-child relationship;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정원, 김순자(2006).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교사의 교수적 스트레스 및 교사-유아관계. 아동학회지, 27(1), 17- 28
2 김남희(2000).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생활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 청구논문
3 김영명(1997). 어머니 및 보육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 에 따른 정서적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4 김지은(2003). 5세 유아의 정서 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 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류 경(2000). 보육 시설 초기 적응 과정의 영아 행동 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문진희(1998). 유아의 양육자에 대한 애착안정성과 문제행동 및 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적응 스트레스 및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유효현(2000). 자기 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정순애(1998).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분석.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추미애(2005).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학교적 응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황선이(1995). 교사 효능감과 학습자의 자아 효능감 및 학습 몰두 시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Ashton, P. T., & Webb, R. B.(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13 Baisch, M. A.(2003). Adjustment to first gra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14 Bandura, A.(1977). A self-efficacy: Toward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   ScienceOn
15 Berman, P., McLaughlin., M., Bass, G., Pauly, E., & Zellman, G.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VII .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Rep. No. R- 1589/7-HEW). Santa Monica CA: Rand
16 Bernadette, M. F.(2000).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temperament, and coping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
17 Bridget, K. H., & Robert, C. P.(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 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 625-638   DOI   ScienceOn
18 Bronfenbrenner, U.(1994). Human and ecology: Concepts and perspectives. 연세대학교 생활과 학대학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움 자료 집: 인간생태학적 측면에서의 가정학, 3-28
19 Enochs, L. G., & Riggs, I. M.(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9(1), 63-75   DOI   ScienceOn
20 Gibson, S., & Dembo, H. H.(1985). Teachers'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DOI   ScienceOn
21 Ladd, G. W., & Price, J. M.(1987). Predicting children' 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h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 1168-1189   DOI   ScienceOn
22 Pianta, R. C., & Walsh, D.(1996). High-risk children in the schools: Creating sustaining relationships. New York: Routledge
23 김송순(2002).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적응 및 인기도와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Pianta, R. C., Steinberg, M.(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New Directions in Child Development, 57, 61-80
25 Tschannen-Moran, M., Hoy, A. W., & Hoy, W. K.(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DOI   ScienceOn
26 김진아(2004). 영아의 애착 안정성 및 기질과 보육시설 초기 적응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오종은(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 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김선정(1998). 유아와 교사의 기질에 따른 유아-교사간 애착 안정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 청구논문
29 Woolfolk, A. E., & Hoy, W. K.(1990). Prospective teachers'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Journal Educational Psychology, 82(1), 81- 91   DOI
30 Stein, M. K., & Wang, M. C.(1988). Teacher development and school improvement: The process of teacher chan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 171-187   DOI   ScienceOn
31 이진숙(2004).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보육시 설 적응간의 관련성. 열린교육연구, 12(2), 217-235
32 Allinder, R. M.(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Special Education, 17(1), 86-95   DOI   ScienceOn
33 Pianta, R. C., Steinberg, M. S., & Rollins, K. B.(1995). The first two years of 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deflections in children's classroom adjustment.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7(2), 295-312   DOI
34 임유진(2001). 청소년이 자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청 구논문
35 김인아(2004). 교사-유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최인선(2004).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7 Hall, B. W.(1992). Attributions that teachers hold to account for student success and failure and their relationship to teaching level and teacher efficacy beliefs. San Francisco CA: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28)
38 김혜수(1995).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 에서의 행동 및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청구논문
39 신현정(2003).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인식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정수(2005).' 발달에 적합한 실제(DAD)'에 대한 보육교사 의 신념과 교수활동 및 교수효능감의 관계. 경희대학 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윤주화(1998). 걸음마기 아동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관계와 유아 행 동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조영화(2006). 현실요법이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 응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안선희(2002).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63-180
46 정대현, 지성애(2006),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유아-교사관 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3), 201-221
47 Guskey, T. R.,(1998). Teacher Efficacy Measurement and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Diego, CA
48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DOI   ScienceOn
49 김귀자(2004). 유아의 또래 지위와 유치원적응과의 관계.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김문정(2003).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Ashton, P. T.(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52 Pianta, R. C.,(1991). The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paper, University of Virgina, Virginia: Charlotteville
53 김난영, 신유림(2001).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연세교육과학, 49(2), 145-161
54 정은혜(2000).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Birch, S. H., & Ladd, G. W.(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 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Adjustment, 35, 1-17
56 김정희(2004). 십우도의 1단계 애응지물 찾기 프로그램이 자 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석사 학위 청구논문
57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8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1103-1118   DOI   ScienceOn
59 김미숙(2001).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 활 적응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봉갑요(1997). 유아의 주거에 따른 학습 불안에 학교생활에의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1 Coladarci, T. (1992). Teachers'sense of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0, 323-337   DOI   ScienceOn
62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 구논문
63 이진숙(2002).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 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1(2), 123-135
64 현온강, 태진(2000).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38(3), 2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