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orient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3초

미혼모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Unwed Mothers)

  • 김만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3-25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unwed mothers to facilitate to consider their career plan and career orientat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per's developmental theory. The program was done twice a week totally 8 times. The subject of the program is unwed mothers from 16 to 25 years ol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hel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quantitative researc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done with SPSS Window 10.0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qualitative research, the content of discussion in the course of group process, investigation, and the materials which were made from the group members were analysed to the objects of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proven to develop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identity. Finally, the meanings of this consequences were discussed.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 설계'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및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itled 'Designing Safe and Strong Bridge' on the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Leadership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김대현;유미현;우희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449-47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튼튼하고 안전한 다리 설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및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3단계의 영재선발 과정을 통해 선발된 경기도 소재 C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의 고등학교 2학년 19명이다.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14차시에 걸쳐 적용하기 전과 후에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 리더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후에는 추가로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7개 하위영역중 개방성을 제외한 6가지 영역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 진로지향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과학 진로지향도 4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PBL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리더십 전체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리더십의 1차 요인인 개인 내 특성과 개인 외 특성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생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소그룹으로 PBL 문제해결과정에서 대인관계능력, 타인과 공동체 배려, 과제 책임감, 비전과 자신감 등 2차 요인 전 영역이 고르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프로틴 경력태도와 무경계 경력태도가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tean Career Attitude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Daycare Teachers)

  • 이신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7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day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9 inservice daycare teachers who worked in child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Busan and Daegu. Methods: As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four weeks from January 3 through 31, 2020,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f the daycare teac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Second, whether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f the daycare teach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was analyzed. The self-directedness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of the daycare teachers and their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exercise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f daycare teachers are crucial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융복합 시대에 대학생의 진로타협 요인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Compromise of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 안재희;박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45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어떤 요인에 의해 자신의 진로를 타협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4년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213명(남 60, 여 153)을 대상으로 개인적 배경변수(성별, 학년, 전공)와 심리적 변수(성역할정체감, 역할지향성) 등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로 진로타협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별, 학년, 전공에 상관없이 진로타협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흥미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지위, 성유형이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간 차이에서는 자연계열 학생들은 성유형을, 인문 및 예체능계열의 학생들은 흥미를 중시하였다. 셋째, 성역할정체감과 역할지향성에 따른 타협요인을 분석한 결과 역할지향성 유형 중 성유형과 사회적 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경력개발 및 진로교육에서 진로역할지향성의 집단 유형에 따른 차별화되고 개별화된 경력개발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을 중심으로한 R&E 집중연구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mpetency through Intensiv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in KAIST)

  • 최진수;김영민;이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29-738
    • /
    • 2019
  • R&E 프로그램은 연구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관심 분야 전문가와의 긴밀한 만남과 과학탐구 경험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연구 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고, 창의성을 계발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미래과학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교육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이 미래 과학기술인력으로써 필요한 창의인재역량과 첨단과학기술 분야 진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D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집중연구 사전, 사후에 걸쳐 창의인재역량과 과학진로지향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R&E 프로그램 참여 후 창의인재역량 중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사회적 특성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세부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과학진로지향과 관련하여 과학학습, 과학진로에 대한 선호도, 과학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및 과학진로 정보의 필요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대상과 지도목표에 따른 R&E 프로그램 모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나아가 연구역량 교육 및 과학진로진학을 지도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지도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eer Guidance Program at Gacho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귀화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41-47
    • /
    • 2024
  • The ultimate goal of career guidance is to help medical students develop a career plan that matches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llows them to train in their desired subspecialty, and helps them to adapt well to medical practice after graduation. Gachon Medical School has designed a longitudinal career guidance program called GLORI (Gachon Longitudinal Orientation and Career Development), which is based on the outcome of each phase. The program consists of regular courses and portfolio-based career guidance from a mentor professor. In phase 2 (basic medical science), the "Career Seminar" course was developed. This course focuses on self-understanding through a psychological inventory, exploration of postgraduate career paths, and interviews with professors in specialties of interest. In phase 3 (the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 the "Exploring Nonclinical Career Options" course was introduced. This course presents perspectives from doctors who have followed various pioneering career trajectories, including biomedical engineering, medical journalism, writing, public health, health care administration, the pharmaceutical and medical device industries, and other areas. All teaching methods were designed to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The assessment methods are assignment-based, including self-reflective reports and presentations. In addition, a portfolio-based career guidance program is implemented in phases 3 and 4 (clinical clerkship). It is expected that this case study will serve as a practical example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medical schools.

Career Competenc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 PARK, Yong-H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4호
    • /
    • pp.259-265
    • /
    • 2020
  • The study aims to define the career competency of HRD practitioners based on an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This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been achieved by the accumulation of career capital through the three ways of knowing, including knowing why, knowing how, and knowing with who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15 HRD practitioner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HRD practitioners. For the orientation about the interview,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importance of gathering data about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on their work and career. After that explanation, the researcher asked several questions based on the pre-structured interview guide. The data collected were qualitativel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the subcategories of each way of knowing competency were identified. For the knowing why, identity, credibility, and career clarity were identified. The subcategories of knowing how are remaining updates, hard skills, and soft skills, while the subcategories of knowing with whom are personal networking and professional networking. The interdependency among the three career competencies was found. Th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pplying an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경력지향성이 창·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 on the Entrepreneurial·Reemployment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s)

  • 강경란;박철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15-35
    • /
    • 2017
  • 본 연구는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은퇴 이후 창 재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2010년 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이 시작되고 있으나 경제적 노후준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대규모 은퇴는 노동시장의 불안정과 사회복지비용 지출증가 등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퇴직 후 30년 이상의 새로운 커리어를 시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개인의 인식변화와 제도적인 지원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잠재적 은퇴자인 베이비부머 직장인들이 재직하는 기간 동안에 개인의 경력지향에 맞는 교육, 훈련, 재취업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원받고, 네트워크나 신뢰 등 사회적자본을 강화하여, 은퇴 후 상대적으로 폭 넓은 창 재취업의 기회를 얻고, 퇴직 후에도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공적연금 등 사회적 비용증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대구.경북지역 정보기술 인력의 경력지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areer orientations of IT workforce in Daegu-Gyeongbuk regions)

  • 이충권;유상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7-207
    • /
    • 2009
  • 개인의 경력적 지향은 욕구와 가치, 그리고 능력으로 구성되는 경력닻(Career Anchor)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IT인력에 의해 보유된 경력닻을 조사함으로써 경력적 지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성별, 나이, 근무기간, 그리고 직업명과 같은 요인들이 실제로 IT인력의 경력닻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 종사하는 269명의 IT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는 대구 경북지역 IT종사자들의 경력적 지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