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areer Orientation on the Entrepreneurial·Reemployment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s

경력지향성이 창·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7.08.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effect the intention to reemploy after the retireme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ocial capitalism for retired and prospective retired baby boomers. Starting from 2010, baby boomers have been retiring at a large scale. However retirement at a large scale without securing provision for fiancial wise in later life can lead to many issues regarding social and fiancial wise such as instability of labour market and increase of spending in society welfare cost and such on. Change of individual's self prospec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help prepare find new career for next 3decade after the retirement needs to be concretized. Also, while in the work force, potential retiring baby boomer workers should be systematically supported with education, training and reemployment program based on individual's career orientation and allowing them to stay for a longer period in the labour market can be the implication to the solution for the economic stability and increasing social cost such as public pensions.

본 연구는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은퇴 이후 창 재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2010년 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이 시작되고 있으나 경제적 노후준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대규모 은퇴는 노동시장의 불안정과 사회복지비용 지출증가 등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퇴직 후 30년 이상의 새로운 커리어를 시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개인의 인식변화와 제도적인 지원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잠재적 은퇴자인 베이비부머 직장인들이 재직하는 기간 동안에 개인의 경력지향에 맞는 교육, 훈련, 재취업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원받고, 네트워크나 신뢰 등 사회적자본을 강화하여, 은퇴 후 상대적으로 폭 넓은 창 재취업의 기회를 얻고, 퇴직 후에도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공적연금 등 사회적 비용증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