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Family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 Kim, Mi-Hyun;Choi, Y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985-994
    • /
    • 2007
  • We note that the time of adolescents is very important time for obtaining informations about their jobs, exploring and making appropriate their career deci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adolescents, we needed a study on effects of personal variables and family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For this, we provid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family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using the path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give the real usefulness for making a different diagnosis and strategy solving some problems of career decision level.

  • PDF

대학생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Efficacy)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88-549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대학생 4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에 대하여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진로탐색 및 진로선택, 구직활동을 하는데 내적통제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며,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지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분석이 이루어지며, 대학생에게 다양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vel)

  • 고영주;김남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1-3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001), 진로결정수준(β=.23, p=.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006).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반영한 전략적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Male Nursing Students)

  • 최은영;최미정;박상빈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344
    • /
    • 2016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on career search behaviors in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career barrie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and career search behaviors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 the two aspects of career search behaviors as being self-exploration and environmental exploration. The rational pattern, among the types of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lf-expression. On the other hand, dependent pattern, among th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areer search patterns.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versified approaches that consider individual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such as rational pattern and dependent pattern as well as the method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for career guidance are needed.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e Behaviors :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Mediating Factors)

  • 이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59-368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MOS를 이용한 경로 분석결과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에 대해서는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해서는 간접효과가 있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효과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areer Decision Level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4호
    • /
    • pp.36-49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items for a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92 students from women's university in Seoul.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3.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structur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three factors: 'fashion & hair,' 'skin & plastic surgery,' and 'body shap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were proved. Seco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ub-factor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Career decis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body management factor. Third,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higher grade students, fashion & hair factor and body shape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lower grade students, body shape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while skin & plastic surgery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to increase career decision level, managing appearance through keeping fit body shape is crucial.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s one elevates to a higher grade,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keeping interest toward fashion is important.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병역의무계획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 안민권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10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17, 2018 and a total of 158 mal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entrance motivation and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65, p<.001), and between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45, p<.001). The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a}=.64$, p<.001), and military duty planning (${\beta}=.42$, p<.00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2% of the varia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male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입생과 재학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reshman and Undergraduate Students)

  • 성행남;김은정;이태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189-20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종 유효 설문지 426부에 대해 타당성 검정 후, 측정모형분석(CFA)과 구조모형분석(SEM) 그리고 다중집단 분석(MCFA와 MS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입생과 재학생의 차이는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에 있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제공함으로써 대학 진로 교육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Career decision status type analysi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임나영;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0-63
    • /
    • 2015
  •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상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대상별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경로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 현황,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상태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10문항), 사회적 지지(26문항), 진로결정수준(4문항)등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6권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진로결정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모두 진로결정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진로결정과 감정 상태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다각적인 방향에서 충분한 진로상담이 선행된 후 직업 교육을 실시해야만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K 대학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수준·진로준비행동 실태 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 university)

  • 이숙정;이예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7-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K 대학 치위생학과 1,2,3학년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K대학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06명을 대상으로, 사용한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