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xypeptidas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DL-Phenylalanine의 수용액내 가공특성 (Processing Properties of DL-Phenylalanine in Aqueous Solution)

  • 김인호;신지영;한대석;박용곤;김영언;이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6-249
    • /
    • 2007
  • Phenylalnine은 enkephalin, endorphine의 분해를 촉진하는 carboxypeptidase, aminopeptidase의 작용을 억제하는 필수아미노산으로 식욕억제, 정서 안정, 통증, 기분조절 관련 아미노산이다. 자연계의 L-phenylalanine과 비교하여 물리화학적 당량반응으로 구조가 보다 안정한 DL-phenylalnine(DLPA)을 소재로 가공적성을 조사하였다. DLPA는 $60^{\circ}C$ 이상의 온도와 농도변화에서 용해 시 98%T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가공 적합성을 보였고, 다양한 pH 범위에서도 99%T 이상의 값을 보여 용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beta$-Mercaptoethanol and Hydrogen Peroxide on Enzymatic Conversion of Human Proinsulin to Insulin

  • Son, Young-Jin;Kim, Chang-Kyu;Choi, Byoung-Taek;Park, Yong-Cheol;Seo, Ji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983-989
    • /
    • 2008
  • Human insulin is a hormone well-known to regulate the blood glucose level. Recombinant preproinsulin, a precursor of authentic insulin, is typically produced in E. coli as an inactive inclusion body, the solubilization of which needs the addition of reducing agents such as $\beta$-mercaptoethanol. To make authentic insulin, recombinant preproinsulin is modified enzymatically by trypsin and carboxypeptidase B. The effects of $\beta$-mercaptoethanol on the formation of human insulin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in the enzymatic modification by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human proinsulin as a substrate. Addition of 1 mM $\beta$-mercaptoethanol induced the formation of various insulin derivatives. Among them, the second major one, impurity 3, was found to be identical to the insulin B chain fragment from $Phe_1$ to $Glu_{21}$. Minimization of the formation of insulin derivatives and concomitant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yield of human insulin were achieved by the addition of hydrogen peroxide. Hydrogen peroxide bound with $\beta$-mercaptoethanol and thereby reduced the negative effects of $\beta$-mercaptoethanol considerably. Elimination of the impurity 3 and other derivatives by the addition of over 10 mM hydrogen peroxide in the presence of $\beta$-mercaptoethanolled to a 1.3-fold increase in the recovery efficiency of insulin, compared with those for the case without hydrogen peroxide. The positive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were also confirmed with recombinant human preproinsulin expressed in recombinant E. coli as an inclusion body.

토끼의 수종 점막 추출액중 로이신엔케팔린 및 [D-알라$^2]$-로이신엔케팔린아미드의 효소적 분해 특성 (Enzymatic Degradation of Leucine Enkephalin and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in Various Rabbit Mucosa Extracts)

  • 전인구;박인숙
    • 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30-543
    • /
    • 1994
  • To study the feasibility of transmucosal delivery of leucine enkephalin (Leu-Enk) and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YAGFL), their degradation extents and pathways in various rabbit mucosa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degradation of Leu-Enk and YAGFL was observed to follow the first-order kinetics. The degradation half-lives of Leu-Enk in the nasal, rectal and vaginal mucosal extracts were 1.62, 0.37 and 1.12 hrs and those of YAGFL were 30.55, 9.70 and 6.82 hrs, respectively, indicating Leu-Enk was degraded in a more extensive and rapid manner than YAGFL. But the mucosal and serosal extracts of the same mucosa showed the similar degradation rates for both pentapeptides. The degradation was most rapid in the neutral pH and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ubstrates retarded the degradation rates. The maior hydrolytic fragments of Leu-Enk were Des-Tyr-Leu-Enk and tyrosine, indicating the enzymatic hydrolysis by aminopeptidases. However, the data also suggested endopeptidases such as dipeptidyl carboxypeptidase and dipeptidyl aminopeptidase could play some role in the degradation of Leu-Enk. On the other hand, the hydrolytic fragments of YAGFL in all the mucosa extracts were mainly Tyr-D-Ala-Gly and Phe-Leu-Amide, demonstrating the hydrolytic breakdown by endopeptidases. The degradation pathways were further explored by concomitantly determining the formation of smaller metabolites of primary hydrolytic fragments of Leu-Enk and YAGFL in the mucosa extracts.

  • PDF

Enzymatic Activity and Amino Acids Production of Predominant Fungi from Traditional Meju during Soybean Fermentation

  • Dong Hyun Kim;Byung Hee Chun;Jae-Jung Lee;Oh Cheol Kim;Jiye Hyun;Dong Min Han;Che Ok Jeon;Sang Hun Lee;Sang-Han Lee;Yong-Ho Choi;Seung-Beom 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654-662
    • /
    • 202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dominant fungal species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and doenjang on soybean fermentation, the enzymatic activity and amino acid production of twenty-two fungal strains were assessed through solid- and liquid-state soybean fermentation. Enzymatic activity analyses of solid-state fermented soybeans revealed different enzyme activities involving protease, leucine aminopeptidase (LAP), carboxypeptidase (CaP), glutaminase, γ-glutamyl transferase (GGT), and amylase, depending on the fungal species. These enzymatic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mino acid profile throughout liquid-state fermentation. Strains belonging to Mucoromycota, including Lichtheimia, Mucor, Rhizomucor, and Rhizopus, produced smaller amounts of total amino acids and umami-producing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an strains belonging to Aspergillus subgenus circumdati. The genera Penicillium and Scopulariopsis produced large amounts of total amino acids and glutamic acid, suggesting that these genera play an essential role in producing umami and kokumi tastes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Strains belonging to Aspergillus subgenus circumdati, including A. oryzae, showed the highest amino acid content, including glutamic acid, suggest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A. oryzae as a starter for soybean fermentation. This study showed the potential of traditional meju strains as starters for soybean fermentation. However, further analysis of processes such as the production of G-peptide for kokumi taste and volatile compounds for flavor and safety is needed.

페닐케톤뇨증의 효소치료 개발을 위한 phenylalanine ammonia-lyase 및 유전자 변이형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and its Mutants to Develop an Enzymatic Therapy for Phenylketonuria)

  • 김우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26-1231
    • /
    • 2009
  • 페닐케톤뇨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phenylalanine-4-hydroxylase (PAH, EC 1.14.16.1)의 돌연변이에 의해 효소 불활성화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최근 유전자 재조합된 phenylalanine ammonia-lyse (PAL)에 의한 효소 대체요법이 보고된 바 있다. 이 효소를 경구용 약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효소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조건들을 알아야 하며, 위장관내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L의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장관내 소화효소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변이형들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통하여 효소의 특이 활성도가 유지될 수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PAL의 특이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효소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pH, 온도 변화에 따른 효소 활성도, 단백분해효소에 의한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PAL의 Vmax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에 대하여 각각 1.77, $0.47{\mu}mol$/ mg x protein로 나타났으며, Km은 페닐알라닌에 대하여 $4.77{\times}10^{-4}\;M$,티로신에 대하여 $4.37{\times}10^{-4}\;M$로 나타났다. 또한 pH 8.5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소장의 평균 pH와 유사하다. PAL의 효소 활성은 $-80^{\circ}C$에서 5개월 동안 유지되었으며, $4^{\circ}C$에서 1주일 동안 93.4%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PAL은 키모트립신에 의해 쉽게 분해되었으며, 이보다 약한 정도로 트립신, elastase, carboxypeptidase A, B에 의해 분해 되었다. 췌장 소화효소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트립신, 키모트립신 절단부위 아미노산을 변이시켜 유전자 변이형을 만들었고,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6개의 유전자 변이형은 모두 저하된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는데, Y110H는 0.084, Y110A와 Y110L은 0, R123A는 0.11, R123H는 0.074, R123Q는 0.03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 절단부위 아미노산이 PAL의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PAL 변이형은 단백분해작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처치 방법이지만, 페닐알라닌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키기 위해서 효소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음 단계의 처치가 필요하다.

Aloe Gel의 생리 효과에 대한 고찰 - Gel의 다당류와 미량 성분을 중심으로 - (The Physiological Efficacy of Aloe Gel)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26-1038
    • /
    • 1995
  • Aloe식물에서 만든 전통적 aloe는 현대 임상 의약분 야에서 이전의 인기를 거의 잃고 있지만 aloe gel은 그 간 그의 효능 즉 여려가지 치료작용과 대사에 대한 유익한 tonic 효과를 밝히려는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꾸준히 gel의 치료 효능이 주장되어 온 반면에 상당수의 연구자들에 의한 상반된 연구 결과로 인해 aloe gel 효능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loe gel을 원료로한 외용 또는 내용의 치료제와 화장품 그리고 특히 건강 식품들(general tonics)이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aloe gel 산업이 비교적 경제성을 크게 유지하는데 여기에는 일부 promotional works나 대중 매체의 영향도 일조 했으리라 본다(21). Gel의 유익한 생리작용을 내는 원인 물질에 관한 그간 많은 연구 보고에서 gel의 미량 성분들 중 salicylic acid의 진통 소염착용, Mg ion의 마취작용, Mg-lactate의 항 histamine작용, Aloctin A의 세포 성장 촉진에 의한 상처 치료작용, carboxypeptidase와 bradykinase에 의한 통증 감소와 소염작용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이들 생리작용이 현대 임상 약리학에서 거의 입증이 안되었고 지지를 지 못했다. Gel내 미량 anthraquinone 배당체(aloin)가 false substrate inhibitor작용에 기인한 항 prostanoid (항PG와 항TX) 효과에 의한 소염, 화상, 동상 상처 치료 작용을 낸다는 가설이 한 때 상당 기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주장되었으나 이 제안도 증명되지 못했고 이제는 다른 연구자들의 다른 주장들에 의해 가려지고 있다. 또 gel의 항미생물, 항당뇨, 간해독 작용 등이 gel내 미량 anthraquinone 화합물의 작용에 기인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1980년 중반 부터 최근(1993년)에 이르기 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새로이 주장 되고 있는 gel의 생리작용은 주성분 다당류인 acetylglu-comannan과 acetylmannan 및 glycoprotein에 의한 면역 증진 내지 면역 조절작용에 의한 감염 상처 치료, 소염, 항미생물, 항암 작용이 계속 제안되고 있다. 저자는 acetylpolysacchride의 acetyl기가 in vivo에서 cyclooxy-genase를 억제하여 항 prostanoide 효과를 낼 것으로 가정해 본다. 이제는 acetylpolysacchride에 대한 여러 주장들이 임상적으로 증명되어 gel의 효력에 대한 논쟁에서 결론이 날 것으로 기대해 본다. Aloe gel의 다당류 acemannan의 실험 동물(개)에 대한 독성 실험 결과 복강내 주입에 의한 최저 부작용 유발량은 5.0mg/kg이었으나 aloe gel은 일반적으로 무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aloe gel의 임상 적용에서 가끔 과민 반응에 의한 부작용 사례 보고를 다수 볼 수 있고 실험적 연구에서도 입증되어 있으므로 aloe gel을 건강 식품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국소 적용시 유의해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결국 aloe gel의 오랜 연구역사를 볼 때 어떤 생리작용의 기전에 의존한던 간에 aloe gel이 유익한 여러 효과를 낸다는 사실을 간단히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울 것 같다.

  • PDF

아연 보충급여에 따른 한국재래계의 성장, 사료이용성, 장기무게, 혈액생화학적 성상, 장기무게 및 소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Zinc Supplements on Growth, Feed Efficiency, Organ Weight,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Activity of Digestive Enzymes in Growing Korean Native Chicks)

  • 전동경;김민정;윤일규;안호성;문은서;손시환;임용;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7-125
    • /
    • 2019
  • 본 연구는 Zn 보충급여가 한국재래계의 생산성 및 소화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초사료(100 ppm)에 ZnO 또는 Zn-methionine 형태로 각각 50 ppm을 첨가하여 체중, 사료이용성, 장기무게, 혈액생화학적 성상 및 소화효소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사양성적을 보면 대조군(CON)에 비해 산화아연(ZNO) 및 유기태(ZMT)군에서 체중은 각각 1.2% 및 2.4%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 역시 모든 처리군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비장 및 소장점막 무게는 아연의 급여 및 화학적 형태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췌장무게는 ZNO군에서 대조군과 ZMT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혈액 생화학 성분인 glucose, total prote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ALT) 등은 ZnO 또는 Zn-methionine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췌장 효소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alpha}$-amylase와 carboxypeptidase A 활성도는 아연의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trypsin은 ZnO와 Zn-methionine 급여에 따라 활성도가 현저히 증가되었다(P<0.05). 소장의 흡수상피세포에 존재하는 이당류분해효소(maltase 및 sucrase)는 Zn 급여원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펩타이드 분해효소인 leucine aminopeptidase의 활성도는 ZnO 급여 또는 Zn-methionine 급여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8).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초사료에 Zn의 보충급여(50 ppm)는 닭에서 단백질 소화작용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도 증진효과를 보이며, 단백질의 생체 이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의 과배란 유도 후 난소 반응별 난포액 내 단백질 변화 (The Change of Protein Patterns in Follicular Fluid on Ovarian Response Follow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of Human)

  • 이채식;이상찬;노용호;오대식;이용승;송은지;정희태;양부근;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73-280
    • /
    • 2011
  • It was conducted the experiment,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normal, poor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to detect the change of protein patterns in follicular fluid on ovarian response follow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human IVF outcome. In the normal group, it was confirmed reproducible 57 spots in the detected total 81 spots. Then 1 spot was not found in the other groups. In the poor responder group, it was found reproducible 53 spots in the detected total 98 spots. 6 spots were down-regulation and 7 spots were up-regulation comparable with normal group. There were not 5 spots in poor responder group comparable with other groups. In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group, it was expressed reproducible 53 spots in the detected total 80 spots and 3 spots were just expressed in this group. However, 4 spots were not found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9 spots were up-regulation comparable with normal group. Significant up and down-regulation spots among the each group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 cytosolic carboxypeptidase, a signal-induced proliferation-associated protein 1, a ceruloplasmin, a keratin(type II cytoskeletal 1), a polypeptide N-acetylgalactosantinyltransferase 2, a serine/threonine-protein phosphatase 4 regulatory subunit 4. It was identified that 8 spots, 6 kinds of protein are corresponded with NCBInr database research, but 10 spots were failed in the identification. In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change and expression of protein on the ovarian response following COH of human.

The Prediction of the Expected Current Selection Coefficient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Holstein Milk Yield, Fat and Protein Contents

  • Lee, Young-Sup;Shin, Donghyun;Lee, Wonseok;Taye, Mengistie;Cho, Kwanghyun;Park, Kyoung-Do;Kim, Heeb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36-42
    • /
    • 2016
  • Milk-related traits (milk yield, fat and protein) have been crucial to selection of Holstein. It is essential to find the current selection trends of Holstein. Despite this, uncovering the current trends of selection have been ignored in previous studies. We suggest a new formula to detect the current selection trends based 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This suggestion is based on the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BLUP) and the Fisher's fundamental theorem of natural selection both of which are trait-dependent. Fisher's theorem links the additive genetic variance to the selection coefficient. For Holstein milk production traits, we estimated the additive genetic variance using SNP effect from BLUP and selection coefficients based on genetic variance to search highly selective SNPs. Through these processes, we identified significantly selective SNPs. The number of genes containing highly selective SNPs with p-value <0.01 (nearly top 1% SNPs) in all traits and p-value <0.001 (nearly top 0.1%) in any traits was 14. They are phosphodiesterase 4B (PDE4B), serine/threonine kinase 40 (STK40), collagen, type XI, alpha 1 (COL11A1), ephrin-A1 (EFNA1), netrin 4 (NTN4), neuron specific gene family member 1 (NSG1), estrogen receptor 1 (ESR1), neurexin 3 (NRXN3), spectrin, beta, non-erythrocytic 1 (SPTBN1), ADP-ribosylation factor interacting protein 1 (ARFIP1), mutL homolog 1 (MLH1), transmembrane channel-like 7 (TMC7), carboxypeptidase X, member 2 (CPXM2) and ADAM metallopeptidase domain 12 (ADAM12). These genes may be important for future artificial selection trends. Also, we found that the SNP effect predicted from BLUP was the key factor to determine the expected current selection coefficient of SNP. Under Hardy-Weinberg equilibrium of SNP markers in current generation, the selection coefficient is equivalent to $2^*SNP$ effect.

돼지 신장의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cDNA 클로닝 (Cloning of Pig Kidney cDNA Encoding an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 윤장호;윤주억;홍광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93-297
    • /
    • 2006
  • 포유류의 조직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은 아연을 함유하는 dipeptidase로서 angiotensin I을 가수분해하여 강력한 혈압상승제인 angiotensin II를 생성하는 효소이다. 최근에 돼지의 난소에서 ACE 활성이 측정되었으며, 돼지의 신장에서 ACE 단백질이 분리되어 그 특성이 알려졌다. 그러나 돼지의 어떠한 ACE DNA 염기서열도 아직까지 보고 된 바는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돼지의 신장 ACE cDNA를 클로닝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ACE cDNA는 130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분자량은 150kDa이다. 염기서열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의 서열을 분석한 결과, N 말단의 33개 아미노산이 signal peptide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C 말단 근처의 짧은 transmembrane 영역은 세포막에 anchor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돼지 신장의 ACE에서 두 개의 매우 유사한 amino acid peptidase domain은 tandem duplication 되어 있으며, 각각의 domain은 다른 포유류의 체세포 ACE들과 마찬가지로 putative metal-binding site(His-Glu-Met-Gly-His)를 하나씩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 신장 ACE 서열과 인간, 토끼, 쥐 등과 같은 포유류의 ACE 아미노산 서열들과의 상동성 비교는 진화과정 중 두 domain이 매우 잘 보전되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