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d scorecard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초

공공부문에서의 BSC 도입에 따른 인사관리의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HRM by introduction Balanced Scorecard(BSC) in the public sector)

  • 임효창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83-110
    • /
    • 2005
  • 최근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방법론 중 하나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 균형성과표(BSC)에 의한 성과관리이다. BSC는 재무적 측면 뿐만 아니라 조직의 내부 프로세스와 구성원 역량, 그리고 고객의 관점 등에서 성과관리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동안 공공부문은 민간부문과 비교하여 성과측정 및 관리를 소홀히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민간부문처럼 경쟁의 심화 및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성과주의 조직관리의 필요성이 공공부문에서는 제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공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과 지속적인 혁신이 중요한 가치가 됨에 따라 성과지표의 선정 및 관리에 따른 성과향상이 중요해지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일환으로 제기되고 있는 BSC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BSC의 도입이 공공부문의 인사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공공부문의 바람직한 인사관리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정보통신부 BPM 기반의 전략적 성과관리 설계 및 적용사례분석 (A Case Study on BPM based Strategic Performanc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Korea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이정훈;임종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15-231
    • /
    • 2007
  • 최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BSC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부문과 달리 공공부문은 비영리 조직이라는 특성상,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부의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업무특성에 맞는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선진사례를 도출하여, 공공부문에서 BSC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사례대상 공공기관(정보통신부)의 성과관리 연구는 국내 공공부서에 적합한 성과관리 방법론 도입과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인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공공부문에서 BSC를 구축 할 때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국내 공기업의 BSC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우정사업본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BSC System Development of Korean Public Firms: Focused on Korea Post)

  • 신택수;유승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11-341
    • /
    • 2007
  • 본 연구는 공기업형 조직인 우정사업본부에 대한 BSC(Balanced Scorecard)시스템 구축사례를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BSC 모델은 서로 상이한 전략목표로 인해 각각 다른 형태로 구축된다. 우정사업본부는 현재 정부기업으로서 공공부문의 성격을 많이 내포하고 있으면서, 또한 민간부문과 유사한 BSC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민간기업이 아닌 공기업으로서의 조직의 형태를 띠고 있다. 현재 공기업을 포함하는 많은 정부 산하기관들이 BSC를 도입했거나, 도입하려고 하지만, BSC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말미암아 예상보다 BSC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정사업본부의 BSC 사례분석을 통해 공기업의 BSC 시스템 구축의 주요 성공요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공기업의 BSC 시스템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식경영의 동태적 가치사슬 모형 구축 (Dynamic Value Chain Modeling of Knowledge Management)

  • 이영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3호
    • /
    • pp.205-233
    • /
    • 2008
  • This study suggests the dynamic value chain model, that will be able to not only show changing processes to organization's significant capital by integrating an individual,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which affect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but also distinguish the key driver for raising organizational competitive power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analyze sensitivity of performance along with decision making alternatives and policy changes from dynamic view by connecting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y,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relations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specific strategic map. Recently, a lot of organizations show interest in measuring and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synthetically. In organizations taking knowledge management, they introduce effective value chain model like a dynamic balanced scorecard (DBSC), and therefore they can reflect their knowledge management condition as well as show their changes by checking performance of established vision and strategy periodically. Furthermore, they can ask for their inner member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d inspiring their members with awareness that members are one of their group, present a base of benchmarking, and offer significant information for later decision making. The BSC has been a successful framework for measuring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in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ranslating an organization's vision and strategy into an interrelated se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specific actions. The BSC, while having significant strengths over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s, however, has its own limitations, due to its static nature, such as overlooking two-way causation between performance indicators and neglecting the impact of delayed feedback flowing from the adoption of new strategies or policy chang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employs SD, a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complex systems where dynamic feedback among the interrelated system components significantly impact on the system outcomes. The SD simulation model in the form of DBSC would serve as a useful strategic teaming tool for facilitating an organization's communication process through various scenario analyses as well as predicting the dynamic behavior pattern of their key performance measures over a future time frame. For the demonstration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DBSC model to Prototype of Korea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성과지표 측정 및 적용 - ISO/DIS l1620 : 2007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Digital Library Service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SO/DIS 11620 : 2007)

  • 최재황;곽승진;김정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81-10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표준 도서관 성과지표 2007(ISO/DIS l1620 : 2007)의 구성 및 개요, 적용된 BSC 개념 등을 검토하고, 디지털도서관 성격의 성과지표 10개를 B대학 도서관에 직접 적용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ISO 11620은 TC46/SC8/WG4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ISO/DIS 11620:2007은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 구조를 이용하여 44개의 성과지표를 관점별로 제시하고 있다. BSC 구조에 의해 4개의 관점별로 구분된 44개의 성과지표를 전통적, 하이브리드, 디지털도서관 성격의 지표로 재 구분하였고, 그 중 디지털도서관 성격으로 구분된 10개의 지표에 대하여 그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매니지드 서비스 도입이 기업의 IT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How to Impact the Adoption of Managed Service on IT Governance of Enterprises?)

  • 장혁수;전은숙;이명진;오준택;이봉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99-409
    • /
    • 2013
  •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의 IT 의존도가 높아지고 효율적인 IT 거버넌스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또한 IT 부문의 운영비 절감 및 업무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매니지드 서비스를 도입하는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매니지드 서비스와 기업의 IT 서비스 효율성 혹은 IT 거버넌스 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문적 또는 실증적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T-BSC (Balanced Scorecard) 성과지표 모델을 기반으로 매니지드 서비스가 기업의 IT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 등을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는 매니지드 서비스가 IT 거버넌스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데 특히, 기업의 사용자 지향성과 운영 우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화를 통해 매니지드 서비스를 도입하면 IT 거버넌스 효율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매니지드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의사결정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균형성과평가(BSC)모델을 활용한 청년·고령자 고용상생기업의 경영성과측정 -일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formance Measurement of Generational Diversity Company using Balanced Scorecard (BSC): The case of Japanese Companies)

  • 김문정;정순둘;김주현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221-2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업 경영적 측면에서 청년 고령자 고용상생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 간 고용상생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일본 기업의 고용상생 전략과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경영전략은 인사조직 전략, 생산전략, 기술개발 및 인재육성 전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경영성과는 균형성과평가 모델(BS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 고령자 고용상생기업의 경영전략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청년 고령근로자의 협업과 유연근무제 도입, 기술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균형성과평가(BSC)를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 증가 및 원가절감(재무 관점), 신규 거래처 증가 및 시장점유율 확대(고객 관점)와 같은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적 성과 외에도 제품 및 서비스 품질개선(내부프로세스 관점), 청년 고령근로자의 기술향상(학습과 성장 관점)과 같은 비재무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청년 고령자 고용상생을 실천해 나가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병원 간호조직의 핵심성과지표 문헌분석 (A Review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 임지영;오승은;고국진;이현희;박연홍;장진희;윤수미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2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and to find usefu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Before starting the literature search clea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determined. After that, were viewed 41 studies from the RISS, K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NDSLDB. Data were collected on October 17, 2013. Researchers developed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literature review using a balanced score card development process and construction steps of previous studies. This framework had 10 steps related to the balanced score card development process. Results: A total of 10 studies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 identified 234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nursing department. The average number was 6.6 in finance perspective, 8.6 in perspective, 11.9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6.2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e found that 173 indicators had been cited only once. 61 indicators were cited over twice. Further, 8 indicators employed different perspectives on different stud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mmarize useful information on recent trends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 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These results will help develop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Development of Safety Balanced Scorecard

  • 양광모;송빛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9-239
    • /
    • 2008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evaluation system, especially the model for return manufacturing related to safety, and to develop the S-BSC(Safety-Balanced ScoreCard) measurement model using a weight lifetime value to which a relative weight is applied by using AHP based on the BSC.

  • PDF

공급사슬관리(SCM)의 핵심성공요인과 추진유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균형성과표(BSC)를 활용한 성과측정- (The Impact of Key Success Factors and Implementation Typology of SCM on the Business Performance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 이재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1호
    • /
    • pp.45-69
    • /
    • 2009
  •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재배치를 통해 조직을 재구축하고, 상품과 서비스가 경쟁력을 갖도록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강화시켜주는 협업전략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해주는 혁신기법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활발하게 추진되어온 SCM은 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 상당한 기업들이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SCM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업 전반의 핵심성공요인 도출 및 경영성과에 대한 설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SCM이 국내에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SCM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실제로 기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SCM의 성과측정에 있어서 과거에는 비용, 자산회전율 등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성과측정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문제의 발생소지가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들어 SCM 성과측정에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Brewer and Speh, 2000). Kaplan and Norton(1992)에 의해 개발된 BSC는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소수의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측정 관리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재무중심의 성과측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