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nia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8초

젓갈에서 분리된 효모를 이용한 아로니아의 탄닌 성분 저감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Tannin Reducing Effect of Aronia by Yeast Isolated from Jeotgal)

  • 신효주;변옥희;김유진;방보연;박정민;정용섭;배동훈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7-252
    • /
    • 2015
  • 젓갈에서 분리한 효모를 이용하여 아로니아의 탄닌 성분 저감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TLC 실험을 통하여 최종 선별된 MTY2 균주는 18S rDNA sequence에 의해 Kazachstania servazzii으로 동정되어 K. servazzii MTY2로 명명하였다. K. servazzii MTY2의 생육은 배양 3시간 이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9시간에 최대 증식을 나타내었다. 또한, 균체가 증식됨에 따라 pH는 6에서 5까지 감소하였다. 5% 아로니아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K. servazzii MTY2의 최적 발효조건을 실험한 결과, 탄소원 경우 glucose 10% (w/v) 첨가 시 균체의 생육이 가장 높았으며, 10% (w/v) glucose 고정으로 질소원 실험 결과 3% (w/v) tryptone 첨가 시 균체 생육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glucose 10% (w/v)와 tryptone 3% (w/v)를 고정으로 하고 무기염류 실험 결과 sodium chloride 0.1% (w/v)를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균체 생육을 보였다. 또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각각의 균체 생장이 가장 잘된 배양액을 수포화-n-butanol로 추출, 농축하여 HPLC 분석을 한 결과 (+)-catechin peak는 모든 조건에서 꾸준히 존재하였지만, (-)-epicatechin peak는 glucose 10% (w/v) 첨가의 조건으로 배양할 시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K. servazzii MTY2을 glucose 10% (w/v) 첨가의 조건으로 아로니아와 함께 발효시킬 경우, 탄닌 성분의 저감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탄닌 성분의 저감화를 통해 특유의 떫은맛을 감소시킨 아로니아를 식용 혹은 식품의 2차 가공물의 재료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로니아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 박미정;김형국;최경근;구본열;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7-35
    • /
    • 2016
  • 아로니아 첨가량을 0.3, 0.8, 1.3 및 1.9%로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과정 중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여 발효 6일에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pH는 3.49-3.74였다. 당도는 담금 직후에는 $1.31-2.75^{\circ}Bx$로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아로니아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발효 2일째 7.96-8.53으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그 이후부터 최종 발효일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담금 직후 발효 6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서 아로니아를 첨가함에 따라 산도가 증가되었고 최종발효 14일에는 0.50-0.62%로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은 최종 발효 14일까지 완만히 증가하였고, 11.97-14.13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아로니아 첨가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은 막걸리를 담금 직후에는 1.57-2.22%에서 최종발효 14일에는 5.86-6.92%로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발효 2일째까지 증가하다가 4일 후부터 감소되었으며, 최종발효시점에 1.67-1.97%로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효모수는 모든 시험구가 발효 4일째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담금 직후부터 최종 발효시까지 증가하였으며,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평가결과에서 색은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단맛은 아로니아 1.3% 첨가군에서, 신맛과 쓴맛은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높게 나왔으며. 목넘김(목에 넘어가는 느낌)과 종합적 기호도가 아로니아 1.3% 첨가군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아로니아 막걸리의 개발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황은선;뉴안 도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3-308
    • /
    • 2014
  • 아로니아 열수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여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신선한 아로니아를 일광건조, 스팀 후 일광건조, 동결건조 및 오븐건조의 방법으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100^{\circ}C$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 열수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의 총 폴리페놀 함량(mg gallic acid/g 기준)은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팀 후 일광건조 > 일광건조 > 및 오븐건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을 기준으로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팀 후 일광건조 > 일광건조 > 오븐건조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에 함유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cyanidin-3-glucoside를 기준으로 동결건조 > 일광건조 > 스팀 후 일광건조 > 오븐건조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5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가지 건조방법 중에서 동결건조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오븐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며 고온의 건조방법보다는 저온의 동결건조 방법이 아로니아의 유효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사료된다.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균사체 생장 및 항산화 효과 (Mycelial growth and antioxidant effects of Pleurotus ostreatu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ronia berries)

  • 최성주;편하영;박태민;박윤진;오태석;조용구;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2-106
    • /
    • 2022
  • 아로니아 첨가 시 생육 일자에 따른 느타리 균사체 생장량 및 pH 양상을 확인하였다. 무처리 대비 아로니아 첨가 시 균사체 직경과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의 경우 아로니아 처리 시 배지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로니아 10%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 균사체와 일반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 균사체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는 61.81%, 무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는 49.65%로 약 12%의 라디칼 소거 활성 차이를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 59.83%, 무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 52.66%로 나타나 7.17%의 라디칼 소거 활성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생육 균사체 6.54 mg GAE/g, 무첨가 배지 내 생육 균사체 5.77 mg GAE/g로 0.77 mg GAE/g의 차이를 나타냈다. 생육 배지에 아로니아를 첨가함에 따라 느타리 균사체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아지며 ABTS,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동결 및 열풍건조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s)

  • 박미혜;김범식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15-3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2가지 방법으로 건조된 아로니아의 항산화 기능과 항염증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아로니아의 최적 가공법과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결건조는 $-18^{\circ}C$의 냉동고에서 8시간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55^{\circ}C$에서 48시간 동안 실시하였고, 열풍건조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50^{\circ}C$에서 48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아로니아 추출은 분말화된 원료에 70% 에탄올을 10배수로 가하여 2시간 동안 $70^{\circ}C$로 연속 3회 환류추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동결건조 추출물이 155.76 mg GAE/g, 열풍건조 추출물이 134.93 mg GAE/g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결건조 추출물이 105.7 mg QE/g, 열풍건조 추출물이 82.29 mg QE/g으로 분석되어 동결건조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전 농도에 걸쳐 동결건조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결건조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RAW 267.4를 이용한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아로니아 추출물 모두 100-300 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항염활성 평가에서는 동결건조 추출물이 300 ug/mL 농도에서 LPS 처리군에 비해 NO 생성을 62.7% 감소시킨 데 비해 열풍건조 추출물이 33.5%를 감소시켜 동결건조 추출물이 열풍건조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항염증 활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열풍건조보다는 동결건조 방법이 아로니아의 유효성분 함량 증대를 통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높이는 더 나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단, 동결건조 방법이 산업적인 측면에서 장비 및 운용비용 등의 문제를 가진 만큼, 향후 열풍건조 대비 기능성분 및 기능성 개선과 함께 원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가공법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추출방법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김남영;김정환;최근표;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7-222
    • /
    • 2014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skin wrinkle effect of aronia extracts by extraction processes. The 70% ethanol extract by ultrasonification process (UEE) showed highest DPPH scavenging activity of 90.4% in order water extract (WE), 70% ethanol extract (EE) was measured 84.2%, 84.3%. collagen production measured $245ng/m{\ell}$ from UEE. WE was measured $53.5ng/m{\ell}$ and EE was measured $224.4ng/m{\ell}$. MMP-1 production was observed lowest $22.5pg/m{\ell}$ at UEE. MMP-1 production of EE was $34.6pg/m{\ell}$ and WE was $102.3pg/m{\ell}$. These results were found the highest antioxidant and anti-wrinkle effect at UEE among three process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anti-skin wrinkle activities of the aronia extract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due to high amounts of antocyanins in the extract.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erries produced in South Korea

  • Lee, Yongcheol;Lee, Jea-Kyoo;Kim, Jeong-Gon;Park, So-Hyun;Kim, Young-Eun;Park, Sung-Kyu;Kim, Moo-Sa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297-303
    • /
    • 2020
  • Berries are rich sources of phenolic compounds, which are known to have health-promoting effects. In this study, phenolic compounds of seven popularly consumed berries were analyzed by HPLC-ESI-MS/MS. In additi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for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berry extracts. Chlorogenic acid was the major phenolic acid, which had the highest content in aronia, followed by blueberry. The rutin and isoquerceti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mulberry, followed by aronia, black raspberry, and blueberry. The anthocyan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black raspberry. Aronia showe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with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proanthocyanidins.

Antibacterial Activity of Crude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Extracts against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Cronobacter sakazakii, and Salmonella Enteritidis in Various Dairy Foods: Preliminary Study

  • Kim, Dong-Hyeon;Lim, Hyun-Woo;Kim, Se-Hyung;Lee, Jun-Man;Chon, Jung-Whan;Song, Kwang-Young;Bae, Dongryeoul;Kim, Jinhyun;Kim, Hyunsook;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155-163
    • /
    • 2018
  •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ethanol extract against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Cronobacter sakazakii, and Salmonella Enteritidis was investigated using the spot-on-lawn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extract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complete inhibition) and Staphylococcus aureus (partial inhibition), bu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Cronobacter sakazakii and Salmonella Enteritidis. This study shows that the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ethanol extract was more effectiv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than Gram-negative bacteria. Hence, it is suggested that Aronia melanocarpa could be a useful food supplement, and could be utilized as a naturally derived additive for maintaining the safety of various dairy products. Furthermor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such products as functional ingredients for improving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ood products.

다양한 과일을 이용한 대추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jube Wines Produced from Various Fruits)

  • 박정미;최원일;박혜진;한봉태;노재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96-70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jube wines produced from various fruits (Campbell Early, aronia, apply). Before the preparation of jujube wine, jujube juice was extracted using hot water ($100^{\circ}C$, 2 hr). Different blends of jujube wines were produced by blending jujube juice with various fruits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fter 18 day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of jujube wines ranged between 11.5~12.7%. The pH of the wine ranged from 3.31 to 3.53 and the total acid content from 0.47 to 0.68%. The hue value of jujube wines ranged from 0.88 to 2.21 and the color intensity ranged from 0.93 to 6.29. The brightness of jujube wines ranged from 32.35 to 92.47, the redness from 0.85 to 59.05, and the yellowness from 17.35 to 51.02. By combining aronia with jujube juic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ine was observ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401.77 mg%)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76.29%) were the highest in the jujube wine blended with aronia.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of jujube wines ranged from 81.66 to 135.98 mg% and the tannic acid content from 42.48 to 316.36 m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jujube wine produced by blending jujube juice with aronia had excellent quality as well a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ine.

항생제 대체 천연물질을 위한 아로니아 주정 추출물 개발에 있어 다양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를 이용한 발효가 페놀계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 in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thanol Extracts following Fermentation Using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to Develop Natural Antibiotic Alternative)

  • 황주환;강주희;이기환;이재훈;이상무;김남형;김주영;김은중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25-839
    • /
    • 2014
  • Antioxidant activity is important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that causes various metabolic disorders. Metabolic disorders are highly related to loss of productivity in livestock. Therefor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oxidant compounds originating from plants is important for organic agriculture. Phenolic compounds in edible plants are regarded as major components relevant to antioxidant activ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profiles of Aronia (Aronia meloncarpa) by fermentation using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 total of 5 strains of L. mesenteroides were used as starter cultures and their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measured. A total of 6 experiment runs were prepared, one for control (uninoculated) and the others (inoculated) for treatments. For biological activity,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phenolic compound profiling, TLC and HPLC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trains of KACC12313 and KACC12315 showed greater enzyme activity than others. Treatment with KCCM35046 showed strong and bro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Listeria monocytogenes. Treatments with KCCM35046 and KACC12315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in KACC12315 treatment. No remarkable alteration was found in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In phenolic compound profiling analysis, KCCM35046 showed notable alteration in compound area ratio compared to others and also showed the highest caffeic acid content. In chlorogenic acid, treatments with KCCM35046 and KACC12315 showed great content than others. Treatment with KACC12315 showed the greatest content of trans-ferulic acid. As a result of relative performance indexing analysis, L. mesenteroides KCCM35046 and KACC12315 were selected as the best strain for the fermentation of Aro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