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carcinogenic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2초

마늘이 햄스터 협낭에서 DMBA 발암성에 미치는 항암효과 - 체중, 색조, 모세혈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 (Anticarcinogenic Effect of Garlic Juice against DMBA Induced Carcinoma on the Hamster Buccal Pouch)

  • 김은실;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9-542
    • /
    • 1993
  • 화학적 발암제인 DMBA를 이용하여 햄스터 협낭에 암을 유발 시키면서 마늘즙을 투입하여 항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햄스터의 체중, 협낭의 색조, 모세혈관 분포도를 조사 하였다. 햄스터의 체중 증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마늘즙을 복용한 실험군에서 증가량이 현저히 감소 하였는데 1% 마늘즙을 먹인군에 비하여 3% 마늘즙을 먹인군에서 체중증가량이 적었고 협낭의 색조는 3% 투여군은 현저하게 엷은 분홍색을 나타내었지만 대조군은 붉은색을 나타내었다.그리고 협낭의 모세혈관 분포정도는 3% 마늘즙 투여군에서는 경도를 나타내었지만 대조군은 심도를 나타내었다.

  • PDF

Anticarcino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 Park, Eun-Ju;Kim, Kee-Tae;Kim, Cheon-Jei;Kim, Chang-Han;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852-858
    • /
    • 2004
  •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colon cancer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westernization of food habit. Probiotic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tarding colon carcinogenesis by possibly influencing metabolic, immunologic, and protective functions in the col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B. polyfermenticus SCD on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induced DNA damage in CHO-K, cells and human lymphocytes, and on prolifera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 Using the Comet assay to detect DNA damage, we found that B. polyfermenticus SCD protected cells from the DNA damage induced by MNNG in $CHO-K_1$ cells and in human lymphocytes. B. polyfermenticus SCD was also found to inhibit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detected by the MTT ass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polyfermenticus SCD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not only DNA damage induced by a carcinogen, but also the proliferation of colon cancer cells.

F344랫트를 이용한 다장기 발암모델에 나타난 Allyl Methyl Trisulfide와 Methyl Propyl Disulfide의 항발암효과 (A Study of Anticarcinogenic Effects of Allyl methyl Trisulfide and Methyl Propyl Disulfide on F344 Rats in a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 손화영;강부현;하창수;노정구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7-118
    • /
    • 1997
  •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allyl methyl trisulfide(AMT) and methyl propyl disulfide(MPD) were studied in a 28 weeks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Tumor incidence rate was decreased by AMT or MPD treatment comparing with the positive control. AMT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cidence of neoplastic and preneoplastic lesions in the kidney thyroid gland urinary bladder alimentary tract lung and Zymbal's gland. MPD also inhibited incidence of noplastic and preneoplastic lesions in the liver kidney urinary bladder alimentary tract lung and Zymbal's gland but increased that in the thyroid gland. GST-p positive foci in the liver were slightly decreased by AMT or MPD. There was no significant histopathological lesions in AMT or MPD treated group without pretreatment of carcinogens.

  • PDF

새로이 분류된 천연 항암제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LA) (Naturally-Occurring Novel Anticatcinogens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iec Acid (CLA))

  • 하영래;마이클파리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1-407
    • /
    • 1991
  • 동물실험을 통하여 새로이 밝혀진 항암제(anti-initiator/anti-ptomotor)인 CLA는 grilled ground beef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CLA는 grilled ground beef 외에도, cheese 및 이들 관련식품에 많이 존재한다. CLA는 반추동물의 위에 서식하는 혐기성 bacteria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성되며, 식품 가공 중에서도 생성된다. 이것은 또한 in vivo에서 linoleic acid의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형태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CLA는 아주 강력한 항산화제임이 밝혀져, 지금까지 알려지 있지 않았는 free radical에 대응하여 membrane을 보호하는 in situ defense mechanism 역할을 한다. 이는 또한 cytochrome P450 isozyme의 활성을 저해하는 반면, ODC 효소 활성 역시 저해한다. 그래서, 적어도 CLA의 이 세가지 biological activity가 CLA 항암기작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outan radix의 mouse sarcoma 180 cell로 유발한 mouse ascites cancer에 대한 항암효과 (Potent Anticarcinogenic Action of Moutan radix for Mouse Ascites Cancer Induced by Mouse Sarcoma 180 Cells)

  • 반경녀;이은주;양민석;김정옥;하영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64-369
    • /
    • 1995
  • 목단피의 mouse 복수암에 대한 항암성을 다른 생약제의 항암성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천연생약제(목단피, 주목, 울금, 인경쓱, 여정실, 맥문동) m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acetate (EtOAc), butanol (BuOH)로 fractionation하여 mouse leukemia L1210 cell과 Sarcoma 180 (S-180) cell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 fraction에 대해 mouse 복수암 억제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수형 종양세포 S-180을 ICR mouse (male, $6{\sim}7$주령, $23g{\pm}3g$, 처리당 7마리)의 복부에 주사 ($1{\times}10^{6}$ cells/0.1 ml PBS)한 1일 후 부터 10% DMSO에 용해한 시료 ($30{\mu}g/g$ body weight)를 매일 0.1ml씩 10일간 주사하고 수명연장 효과와 몸무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처리 fraction 중에서 목단피의 EtOAc fraction이 가장 강한 항암성을 보였는데, 수명연장에서는 대조구의 17.2일 (100%)에 비하여 28.7일로서 167%로 연장되었으며, 체중 증가율도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목단피의 농도별 (5, 10, 30, $60{\mu}g/g$ body weight) 항암효과는 $30{\mu}g$에서 가장 높았고, $60{\mu}g$처리구 에서는 독성이 나타났다. 목단피의 EtOAc fraction으로부터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동정된 2-methoxyphenol, 1-(4-hydroxy-3- methoxyphenyl)-ethanone, 8-methyl-2,4(1H,3H)-pteridinedione, 2,5-furandicarboxylic dimethyl ester 가 mouse 복수암 억제에 관련이 있는 주요 화합물로 추정된다.

  • PDF

도라지 추출물 첨가에 의한 돌나물의 항발암 상승효과 (Enhancement of Anticarcinogenic Effect by Combination of Sedum sarmentosum Bunge with Platycodon grandiflorum A. Extracts)

  • 박윤자;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6-142
    • /
    • 2002
  • 본 연구는 다른 산채류에 비해 칼슘이 칼슘이 특히 많은 우수한 식품으로 예부터 물김치나 겉절이 무침, 돌나무 김치로 많이 이용되어온 돌나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및 암예방 효과를 검색하고 나아가 도라지 추출물과의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를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돌나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MCF-7) 모두 돌나물의 ethylether 분획층(SSMEE)에서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ethylacetate 분획층(SSMEA)에서도 유의적인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돌나물 분획물의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ethylether 분획층(SSMEE)과 hexane 분획층(SSMH)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돌나물과 도라지와의 일정비 조합을 통해 상승효과를 본 결과, $IC_{50}$/이 되는 도라지의 butanol층 (PGMB)dfm 일정량 첨가했을 때 용매별 돌나물의 분획층 모두에서 암세포 증식억제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도 훨씬 상승하였으므로, 돌나물 조리시 유사한 부재료를 사용하는 도라지의 성분을 일정량 첨가하여 겉절이 무침이나 김치로 이용될 때 돌나물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더욱 상승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후 돌나물의 생리활성 물질 구조 및 기전 규명에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감자 껍질 분획성분의 항발암 효과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Solanum tuberosum Peel Fractions)

  • 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905-909
    • /
    • 2002
  • 일상생활에서 애용되고 있는 감자는 조리 시 껍질이 거의 폐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폐기 농산물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감자껍질(Solanum tubverosum Peel)을 수거하여 추출, 분획한 후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균성 검사로는 5가지의 균주에 대한 감자껍질의 분획물의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SPMEE에서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으며, 특히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서는 앞서 4가지 균에서는 활성이 없던 수층인 SPMA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껍질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 한 결과,3종류의 암세포 HepG2, HeLa 및 MCF- 7세포주에서 모두 ethylether분획층인 SPMEE층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MCF-7의 경우는 저농도 첨가 시부터 SPW층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 HepG2세포를 이용한 감자껍질의 분획물의 암예방 QR 유도 활성효과를 본 결과, butanol 분획층인 SPMB에서 괄목할 만큼 높은 QR 유도 활성이 증가되었다. 본 실험 결과, 감자껍질에는 전반적으로 SPMEE층에서 높은 항균성을 보여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충분히 엿보이며, 나아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도 SPMEE층에서 아주 컸다. SPMB와 SPMEA층에서도 그 효과가 돋보인다. 암을 예방하는 inducer는 SPMB층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폐기 감자껍질을 이용한 단계적인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 폐기식품 활용 및 건강 대체 식품 개발의 연구 대상으로서 기대가 되는 바이다.

CLA의 생물학적 기능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하영래;김정옥;김영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65-973
    • /
    • 2017
  • CLA는 탄소가 18개(C18)인 linoleic acid의 이중결합이 C9,C11; C10,C12 위치로 이동됨으로 생성되는 입체이성(c,c; c,t; t,c; t,t)체를 총괄적으로 일컷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성체 중에서 c9,t11-CLA가 rumen bacteria, lactic bacteria, 버섯균 등의 linoleate isomerase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합성된다. 그러나 linoleic acid를 알카리 이성화로 합성한 CLA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CLA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중 c9,t11-CLA와 t10,c12-CLA가 약 45%씩 동일량 존재한다. CLA가 1939 년 linoleic acid의 elaidinization 반응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과학적인 이용가치가 없어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7년에 CLA가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으로 유도한 mouse skin carcinogenesis에서 항암성이 있다는 보고 이후 CLA에 관한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약 6,100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CLA와 c9,t11-CLA 및 t10,c12-CLA 이성체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암성, 항당뇨성, 항혈압성, 항동맥경화성, 면역증강성, 항산화성, 체지방감소성, testosterone 생산성 등의 생물학적 기능이 갖는다고 밝혀졌다. 이들 생리활성에 c9,t11-CLA와 t10,c12-CLA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다른 활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합성 CLA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t,t-CLA가 carcinogen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이나 암세포에서 다른 이성체 보다 강한 항암성을 보이는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CLA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39년부터 현재까지의 CLA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밝혀진 주요 기능성을 보고한다.

따개비 분획물의 항균 및 항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Amphitrite albicostatu Fractions)

  • 신혜정;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505-15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갑각류에 속하는 따개비를 각 용매 별로 분획하여 항균효과, 암세포 증식 억제 및 QR 유도 활성 효과를 알아보았다. 따개비의 각 분획물 AAMH, AAMB, AAMM 및 AAMA층을 식중독 원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E.coli (ATCC 21990) 및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와 단백질 부패 원인균인 Proteus mirabilis (ATCC 25933)의 4가지 균주에 처리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부탄올 분획층인 AAMB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pG2와 B16-F10 세포주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 본 결과 메탄올 분획층인 AAMM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간암 세포인 HepG2세포주를 이용한 QR 유도 활성 효과의 결과에서도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메탄올 분획층인 AA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을 1로 하여 비교한 결과 20, 40, 60, 80 및 100 ${\mu}g$/ml의 시료 농도 첨가 시 AAMM층에서 그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1.20, 1.54, 1.59, 1.82 및 2.04 배의 QR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따개비를 이용한 항균, 항암관련 기능성 식품에 대한 개발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한 부탄올 및 메탄올 분획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그리고 해양 동물 중의 하나인 갑각류에 속하는 따개비에 대한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양생물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 유사 종의 갑각류인 새우나 게에 비해 그 활용도가 극히 낮은 따개비에 대한 소비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자가분해에 의한 항암성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분리 (Isolation of Anticarcinogenic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s from a Submerged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ycelia by the Autolysis Process)

  • 김소영;김영숙;장정순;김보현;라키브 압두르;김곤섭;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16-1324
    • /
    • 2014
  • 신령버섯균사체(Agaricus blazei mycelia: ABM)를 대두박이 함유된 액체배지에 배양하고, 이것을 자가분해($53^{\circ}C$, pH 5.5, 120 rpm, 3 hr)하여 항암성이 강한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Gluvone 이라 명명)을 분리하였다. Gluvone은 지금까지 알려진 당단백질과는 달리 분자량이 작고(9,400 Da), isoflavone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Gluvone은 60% 탄수화물(glucose, fructose, ribose), 31% 단백질 및 2% isoflavone (daidzein, genistei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Gluvone은 S-180 복수암세포, MCF-7 인체유선암세포에 대한 독성이 강하였고, S-180 세포로 유발한 mouse 복수암을 강하게 억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