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whitening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28초

호두의 화장품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Walnut in Cosmetics)

  • 김미경;김진성;조분성;김정환;이인철;이명섭;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8-864
    • /
    • 2011
  • 호두과육으로부터 용매별로 추출한 추출액중의 phenolic compound 함량은 열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순서로 24.3, 34.4, 32.5, 15.1 mg/g의 함량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compoun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인체에 무해한 추출 용매인 열수 및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phenolic compound 비교한 결과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34.7 mg/g과 열수 추출물에서 24.6 mg/g 함량의 phenolic compound를 나타내었다. 호두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중 전자공여능의 경우 열수추출물에서 78.1%, 60% 에탄올추출물에서 80.6%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에서는 열수추출물과 60% 에탄올추출물 각각 98.1%와 98.3%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의 경우는 열수추출물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1.1{\pm}0.2$ PF와 $1.1{\pm}0.4$ PF로 높지는 않았으며, TBARs inhibitory activity 측정에서는 열수추출물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60%와 75%로 비교적 높은 항산화력을 가졌음이 확인되었다. 호두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살펴본 결과 100 ${\mu}g/ml$의 농도에서 50%의 NO발현이 억제되었고, western blot에 의한 iNOS 및 COX-2의 억제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100 ${\mu}g/ml$의 농도에서 10% 정도의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의 경우 60% 에탄올추출물에서 43%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수렴효과의 경우 60% 에탄올추출물에서 5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호두추출물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품소재로서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 기업지원센터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 수피의 화장품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 박정미;이진영;박태순;현석준;김한혁;조영제;권오준;손애량;김동석;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70-78
    • /
    • 2008
  • 산벚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것으로, 수피인 화피의 radical 소거능과 항염증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로 이용하고자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추출물 500 ppm에서 92%의 효능을 보여 열수추출물 59% 보다 우수하였고, SOD 유사활성의 경우 열수추출물 1,000 ppm에서 에탄올추출물의 경우는 50%의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500 ppm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의 경우 40%,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60%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패 억제능 측정의 경우 $Cu^{2+}$에 의한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효과가 높았으며, $Fe^{2+}$에 의한 저해 효과는 열수와 에탄올추출물 모두 500 ppm에서 80% 이상의 저해능을 보였다. 피부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저해능의 경우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의 경우는 26%,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20%의 저해능을 보였다. 항염증과 관련된 hyaluronidase 저해능의 경우 500ppm에서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96%의 효능을 보였다. 산벚나무 수피추출물의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및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저해환형성을 관찰한 결과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효능이 더 우수하였다.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의 생리활성 (Charactriz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 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43-949
    • /
    • 2012
  • 숙지황(Rehmannia glutinosa)으로부터 유용성분 추출은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5.1{\pm}0.2mg/g$으로 가장 높은 phenolic compound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지황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전자공여능의 경우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85~93%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경우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이 55~62%의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효과를 효과를 나타내었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200{\mu}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1.6~1.9 PF의 높은 항산화력이 확인되었고, TBARs는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이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효과를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숙지황 추출물의 고혈압억제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87.2%, 40% ethanol 추출물에서 81.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관절염억제효과는 매우 낮게 측정 되었으며,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확인되었다. 숙지황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40% ethanol 추출물에서 70%의 높은 저해효과가 확인되어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76%, ethanol 추출물 57%의 높은 elastase 억제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숙지황 추출물에 대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40% ethanol 추출물에서만 $200{\mu}g/ml$ phenolic의 농도에서 약 5%의 매우 낮은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제의 타겟 단백질인 인간 티로시나제의 3차원 구조 상동 모델링 (Comparative Modeling of Human Tyrosinase - an Important Target for Developing Skin Whitening Agents)

  • 최종근;서주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350-5355
    • /
    • 2012
  • 사람의 티로시나제는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생합성의 첫 번째 반응을 촉매하며, 이 단계는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많은 화장품 회사들은 hTyr의 저해제를 찾고자 하였으나 사람 티로시나제의 3차원구조의 부재로 구조기반의 가상탐색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기반의 저해제 탐색을 위하여 기존에 그 구조가 알려진 Bacillus megaterium의 티로시나제의 3차 구조를 이용하여 인간 티로시나제의 3차원 구조를 상동모델링법으로 예측하였다. 3차원 구조 분석 결과 인간 티로시나제의 활성부위에 위치한 여섯 개의 히스티딘 잔기가 2개의 구리원자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 활성부위는 단백질의 안쪽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기질 또는 저해제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위는 단백질의 표면에서 안쪽 깊은 곳의 활성부위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구 쪽은 넓고 납작했으며 활성부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와 같은 모양의 구조를 하고 있었다. 자체 제작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solvent accessible surface를 만들고 여기에 가장 최적의 위치 및 형태를 갖는 모델을 티로신과 저해제로 가장 잘 알려진 코직산의 결합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결과 티로신과 코직산의 페놀그룹의 히드록시 기능단의 산소가 정확히 구리와 배위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미백제를 설계하고 스크리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회화나무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phora Japonica L. Flowers, Fruits and Branches on Improvements in Skin Condition)

  • 송행선;장혜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1-3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ophora japonica L. (S. japonica)학명의 콩과 식물 낙엽교목인 회화나무의 꽃, 열매, 가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l,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력 측정 및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저해력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각각 261.37 mg/g, 187.49 mg/g, 81.26 mg/g이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50~1,000 mg/L 농도에서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17.68{\pm}1.59{\sim}51.40{\pm}1.04%$, 열매 추출물은 $27.48{\pm}0.22{\sim}50.89{\pm}0.13%$, 가지 추출물은 $30.79{\pm}0.55{\sim}45.17{\pm}0.83%$ 범위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저해능과 PPE 저해능을 실험한 결과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 $0.27{\pm}0.12{\sim}11.38{\pm}0.57%$, $3.70{\pm}1.23{\sim}7.28{\pm}1.01%$ 열매 추출물은 $0.27{\pm}0.02{\sim}0.82{\pm}0.27%$, $3.06{\pm}2.13{\sim}13.03{\pm}2.99%$, 가지 추출물은 $0.09{\pm}0.16{\sim}0.55{\pm}0.27%$, $6.00{\pm}0.96{\sim}9.71{\pm}0.44%$ 범위로 티로시나제 저해능은 꽃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화나무의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능, 효과를 살펴본 결과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이 각 부위별로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감태(E. cava Kjellman) 효소분해산물의 항당뇨 및 알코올 분해능과 미용효과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 김혜윤;조은경;강수희;배정미;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1-7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장 해안의 해수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로부터 해조류의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Microbulbifer sp. SC092로 명명하였다. Microbulbifer sp. SC092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 분석으로 agar 및 alginic acid를 분해하는 효소활성이 각각 146.2%로 agarase와 algi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은 각각 84.1, 89.6%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혈당 강하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활성은 58.7%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염증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은 인체의 위의 pH와 비슷한 조건에서 아질산염소거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는데, 0.5 mg/ml 농도에서 56.3%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알코올분해능은 ADH와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23.3, 215.2%로 나타나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보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효과로 분석하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해산물의 농도 2.5 mg/ml 농도에서 각각 42.2%와 73.1%로 높은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 추출법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데 효과적인 추출법인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유용성 생리활성성분을 포함한 고분자 마이크로입자 제조 (Electrospray-assisted Preparation of Polymer Microparticles Containing Water-insoluble Bioactive Compounds)

  • 황윤균;정민국;조성연;박성일;조은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18
    • /
    • 2017
  • Ethyl (4-(2,3-dihydro- 1H-indene-5-carboxyamido) benzoate)는 노화방지 효과가 있으나 난용성 및 결정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제형화 및 2차 가공을 통해 입자내 활성성분을 담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3,5,7-trihydroxy-4'-methoxy-8-prenylflavone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의 일종으로 미백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복합제형에 사용할 경우 제형의 착색을 일으키는 물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유용성/난용성 생리활성성분인 ethyl (4-(2,3-dihydro-1H-indene-5-carboxyamido) benzoate)와 3,5,7-trihydroxy-4'-methoxy-8-prenylflavone 성분을 각각 poly (methyl methacrylate)와 polycaprolactone 고분자 입자 내에 담지 시키고 이를 화장품 제형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효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입자내 활성성분을 담지시킨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과정에는 고분자의 농도, 노즐의 구조, 그리고 고분자와 생리활성 성분의 상용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3,5,7-trihydroxy-4'-methoxy-8-prenylflavone가 캡슐화된 polycaprolactone 고분자 입자를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화장품 제형과 혼합하였을 경우, 고분자 입자는 캡슐화 되지 않은 flavonoid가 제형에 포함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착색현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복숭아 유과 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Using Unripe Peaches Seed Extracts)

  • 김다미;김경희;김영식;고종호;이경행;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씨의 추출수율을 관찰한 결과,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20~6.16%의 수율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33~27.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천중도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용택골드, 천중도백도에서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마도카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elastase 저해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항산화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 또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 씨는 항노화, 미백, 주름방지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백 및 주름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Poly(methylmethacrylate-co-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구의 제조와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co-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Spheres Containing Whitening and Anti-wrinkle Agents)

  • 정택규;임미선;김영백;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44
    • /
    • 2006
  • 최근에 고분자, 지질 또는 그 밖의 여러 소재를 이용한 캡슐화 연구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 및 방출 제어를 목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주요한 기능성 성분들을 캡슐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방법으로써, methylmethacrylate (MMA)와 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 (TMPMA)로 구성된 MMA-TMPMA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Poly(MMA-co-TMPMA)로 제조된 구는 속이 빈 형태의 미립구이며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유도체나 유용성감초추출물과 같은 기능성 성분들을 core 성분으로 캡슐화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제조된 poly(MMA-co-TMPMA) core-shell 형태의 미립구 평균 입도는 $0.1{\sim}10{\mu}m$, 기능성 성분의 로딩 함량은 $15{\sim}25%$이며 로딩 수율은 90% 이상이었다. Poly(MMA-co-TMPMA) core-shell 형태의 미립구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의 안정화는 캡슐 자체에 의한 안정화 외에 미립구 표면에 자외선차단 silane 전구체를 도입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다. 기능성 성분에 대한 광안정성은 자외선차단 전구체가 함유된 poly(MMA-co-TMPMA) 미립구의 경우, 자외선차단 전구체가 도입되지 않은 미립구에 비해 25%정도 더 항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꽃의 항산화효과 및 화장품소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smetic Materials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rsythia koreana Nakai)

  • 정수현;조우아;손준호;최은영;박찬익;이인철;안봉전;손애량;김세기;김영선;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68
    • /
    • 2005
  • Objectives : This is the study of the application as the ingredients of cosmetic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function for physiological activity of Forsythia koreana Nakai. Methods : Forsythia koreana Nakai, which had been extracted, concentrated, and freeze drying with water and ethanol, have been used for the experiment. The effects on electronic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whitening effect, nitric oxide inhibi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measurement of function experiment. Results :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activity measurement of function experiment, it had been found tha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t over 100ppm of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showed relatively high donating ability by more than 80%,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In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test, 500ppm of water extract showed an effect of 18% and ethanol extract showed an effect of 31.5%. In the tyrosinase inhibition test, 5000ppm of water extract showed an effect of 60% and ethanol extract showed an effect of 85%. In the anti-inflammatory test, the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generation of nitric oxide.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tract of Forsythia koreana Nakai can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s with biological function in cosmetics ingredients.

  • PDF